2025.09.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WSJ "머스크, 트럼프 닮아간다…사업 순항 걸림돌 작용"

WSJ "극단적 발언으로 팬층 형성…트럼프와 유사한 포퓰리즘적 행보"
'X' 광고 수입 1년 새 반 토막 추정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풀턴카운티 구치소에 자진출석해 '머그샷'을 촬영했다. [풀턴카운티 보안관사무소]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엑스(X·옛 트위터)를 인수한 후 이를 활용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같은 포퓰리즘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론 머스크가 엑스(X·옛 트위터)에서 내놓는 극단적인 화법이 포퓰리즘적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비슷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 같은 화법이 처음엔 팬층 형성으로 사업 성장의 원동력이 됐지만, 이제는 역으로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3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의 억만장자 포퓰리즘을 완전히 받아들이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WSJ는 "요즘 머스크에게서 트럼프의 메아리를 보는 건 어렵지 않다"면서 "수년간 엑스를 교묘하게 이용해 포퓰리스트 지지층을 구축했다"고 보도했다.

 

머스크가 엑스에서 이른바 ‘정치적 올바름’(PC·political correctness)에 반대하는 발언과 극단주의적 발언을 이어가며 지지자를 확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달 9일 머스크는 엑스에 기업체의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정책을 상징하는 약어 ‘DEI’와 관련해 "비행기가 추락해 수백명이 죽어야 이 미친 정책이 바뀔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선거 시스템 건전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정부가 이민자 수용을 위해 집을 빼앗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는 머스크의 마약 복용 의혹이 제기된 지난 7일 이후 일주일이 채 안 돼 벌어진 일이다.

 

예컨대 머스크는 X에 마약 복용 의혹을 부인하며 "내가 무슨 일을 하든 나는 이 일을 계속해야 한다!"고 올렸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16년 대선 유세 때 "5번가 한가운데 서서 누군가를 쏴도 난 유권자를 잃지 않을 것"이라는 대사를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엑스, SNS]

 

머스크가 초기 포퓰리즘 지지자 구축을 통해 성공한 사업가가 된 트럼프와 유사하다고 짚은 후 이 같은 방식이 최근 들어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WSJ는 “이들은 수년간 X를 통해 사회적 문제에 대해 내놓는 도발적인 발언들이 정치적으로 틀릴 수 있고, 때로는 조잡하다”면서도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자신들 사업 성공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이런 화법은 머스크가 트럼프처럼 초기 자신의 사업을 성장시키는 데 기회로 작용했지만 사업이 크고 난 이후에는 순항하는 데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다. 머스크는 지난해 11월 반유대주의 음모론을 담은 X 사용자 글에 동조 댓글을 달았다. 또 X에서 나치 관련 콘텐츠 옆에 주요 광고가 배치돼 있다는 한 미디어 감시단체 보고서까지 나오면서 대기업 광고주들이 줄줄이 X에 광고를 중단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이더리움 창립자 "100배 가격 급등해 44만 달러 간다"…기관투자 폭발에 파격적 예측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이더리움(ETH) 공동 창업자 조셉 루빈이 최근 “ETH는 여기서 100배 상승할 것, 아마 그보다 더 클 수 있다”며 파격적 예측을 내놓아 전 세계 암호화폐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코인텔레그래프, ainvest, 크립토슬레이트, 코인센트럴, 크립토뉴스넷에 따르면, 펀드스트랫의 톰 리에게 답하는 소셜 미디어 게시글에서 루빈은 세계 2위 암호화폐의 대규모 성장은 기관투자자들의 도입에 의해 견인될 것이라는 확신을 드러냈다. 게다가 루빈은 “월가의 금융 인프라가 탈중앙화 레일로 전환되면서, 기관들은 스테이킹과 이더리움 네트워크 참여를 필수전략으로 삼게 될 것”이라며, "이로 인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이더리움의 현재 가격은 약 4400달러(한화 613만원)선으로, 100배 상승 시 44만 달러에 도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전망은 기관 참여와 실물 자산 토큰화,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핵심 근거로 삼고 있다. 기관 자금 유입, ETF 시장의 지각변동 8월 한 달 동안 이더리움 ETF에는 순유입액 40억 달러가 발생해, 동기간 비트코인 ETF의 순유출 8억300만 달러와 극명하게 대조된다. 8월 26일 기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