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성공적 실패’의 우주영웅, 짐 로벨 별세…아폴로 13호 리더가 남긴 불멸의 기록과 인간승리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8월 7일(현지시간), 미국 일리노이주 레이크 포레스트의 자택에서 미국 우주 탐사의 상징적인 존재, 짐 로벨(Jim Lovell) 전 NASA 우주비행사가 97세의 일기로 영면에 들었다.

 

NASA 및 가족 측은 8월 8일 공식적으로 그의 별세를 발표했고, New York Times, BBC, ABC News, Space.com 등의 매체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아폴로 13호 임무를 비롯해 네 번의 유인 우주비행을 경험한 로벨은 “냉철한 판단력과 리더십, 꺾이지 않는 인간승리의 아이콘”으로 기억된다.

 

 

715시간 우주 비행, 네 번의 신화적 임무


짐 로벨은 미국 우주항공국(NASA)의 2기 우주비행사로 선발(1962)되어, 제미니 7호(1965년), 제미니 12호(1966년), 아폴로 8호(1968년, 인류 최초 달 궤도비행), 아폴로 13호(1970년) 등 전설적 비행을 지휘했다.


총 715시간5분(29일 19시간 5분)의 우주체류 기록은 스카이랩 선발대가 등장하기 전까지 인류 최장기 우주기록이었다.

 

아폴로 13호는 1970년 4월 11일 발사되어 달 착륙을 노렸으나, 55시간 46분 뒤 서비스 모듈 산소탱크 폭발로 미증유의 위기를 맞았다. ‘670g 이하로 식수 제한’, ‘섭씨 3도 이하 저온’, ‘과도한 이산화탄소 농도 속 필사적 사투’란 극한 속에서 로벨과 동료들은 NASA 지상관제소와 협업으로 귀환 성공, 이를 ‘성공적 실패(Successful Failure)’로 남겼다.


임무 지속시간은 5일22시간54분41초였으며, 200,000마일(약 320,000km) 떨어진 무중력 속에서 인류가 경험한 한계의 시험장이기도 했다. 또 1970년 4월 인류 사상 최장 거리(400,171km)까지 비행한 유인 우주선 기록을 갖고 있다.

 

 

인류 우주개척사…냉정과 용기의 리더십


로벨의 가장 탁월한 업적은 위기에서 빛난 리더십과 인간적 품성이었다. NASA 청장 대행을 수행중인 션 더피는 “로벨의 용기와 낙담하지 않는 정신이 미국을 달로 이끌었고, 잠재적 참사를 배움의 기회로 바꿨다”며 “수백만 명의 꿈에 불을 지폈다”고 평가했다.

 

영화 ‘아폴로 13’(1995, 감독 론 하워드, 주연 톰 행크스)도 실제 임무와 리더십, NASA의 협업 역량을 대표한다. 영화 제작자 론 하워드는 “지성과 배짱, 책임감의 롤모델이자 미국이 배출한 최고의 인간형이며 우리 모두의 영원한 영웅”이라며 추도했다.

 

개척정신의 상징, 가족 사랑의 본보기


해군사관학교 졸업 뒤 7000시간 이상 시험비행사로 활약한 로벨은 1973년 NASA·해군에서 은퇴 후, 통신·운송 산업에서 경영자로 일하며 일리노이주에 정착했다.


동년배 최고령 생존 우주비행사이자, 71년을 동행한 아내 마릴린(2023년 8월 별세)과의 사랑은 달 표면 ‘마운트 마릴린’으로도 영원히 기록됐다. 로벨이 아폴로 8호 미션에서 그녀를 기려 달 산에 이름을 직접 붙인 것이 과학계 자료에도 남아 있다.

 

 

우주 개척사의 마침표…그리고 영원한 영웅


로벨의 죽음으로 NASA 초기 인류 우주개척사의 또 한 명의 산증인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NASA 및 세계 각국 우주기관, 언론, 영화계 인사들은 “실패를 누구보다 위대하게 승화시킨, 불굴의 인간 정신”을 기리며 애도를 표했다.

 

로벨은 자신의 경험을 기초로 저서 『실패 없는 성공(Lost Moon: The Perilous Voyage of Apollo 13)』(1994)에서, “우주에는 완벽이 없다. 예기치 못한 위기에 우리는 창의와 협력, 낙관적 태도로 맞서야 한다”라는 명언을 남겼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한국투자파트너스, 스페이스X에 138억원 투자…xAI·앤트로픽·람다 이어 '우주산업' 베팅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의 대표 벤처캐피털 한국투자파트너스가 일론 머스크가 창업한 글로벌 우주발사업체 스페이스X에 1000만 달러 규모의 구주를 매입하는 투자에 나섰다. 이 투자는 스페이스X 기업가치가 약 4000억 달러(한화 약 549조원)로 평가되는 가운데 진행됐다. 한국투자파트너스의 컨티뉴에이션 펀드와 US 시그니처 투자조합이 각각 500만 달러씩 분담해 투자했으며, 스페이스X 임직원이 보유한 주식 매입에 초점을 맞췄다. 스페이스X는 2002년 설립 이후 재사용 가능한 팰컨9 로켓을 비롯해 우주 발사체 개발과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를 주력 사업으로 성장시켜왔다. 현재 약 7000개 이상의 위성이 지구 저궤도에 배치돼 있으며 전 세계 약 500만 가구가 스타링크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스타링크는 스페이스X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2025년 매출은 약 12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투자파트너스는 과거부터 미국 AI 스타트업에도 꾸준히 투자해왔다. 지난해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xAI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한 데 이어, 올해는 오픈AI 출신 연구진이 만든 앤트로픽, AI 클라우드 기업 람다에도 각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