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6 (수)

  • 맑음동두천 6.3℃
  • 맑음강릉 9.5℃
  • 구름많음서울 6.9℃
  • 맑음대전 9.5℃
  • 연무대구 7.9℃
  • 연무울산 8.4℃
  • 구름조금광주 10.0℃
  • 맑음부산 10.2℃
  • 구름많음고창 9.2℃
  • 흐림제주 11.0℃
  • 구름많음강화 5.4℃
  • 맑음보은 7.3℃
  • 구름조금금산 8.0℃
  • 맑음강진군 10.3℃
  • 맑음경주시 8.6℃
  • 맑음거제 9.7℃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 탐사의 미래는 도전과 협력" NASA 멜로이 前 부국장, 한화 ‘우주의 조약돌’서 강연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베테랑 우주 탐사가인 파멜라 멜로이(Pamela Melroy) 전 NASA 부국장이 2025년 8월 21일 대전 KAIST에서 열린 한화그룹과 KAIST가 공동 운영하는 우주 인재 육성 프로그램 ‘우주의 조약돌’ 특별강연에서 우주 탐사의 도전과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멜로이 전 부국장은 미국 공군 조종사 출신으로 1994년 NASA 우주비행사로 선발되어 총 세 차례 우주왕복선 임무를 수행했다.

 

2007년에는 여성으로서는 두 번째로 우주왕복선 사령관(STS-120)을 맡아 디스커버리호를 지휘했으며, 우주에서 924시간(약 38일)을 비행하며 국제우주정거장(ISS) 조립 미션에 참여했다. 이후 2021년부터 2025년까지 NASA 부국장으로서 미국 우주 정책과 심우주 탐사 계획을 총괄한 바 있다.

 

 

이번 강연에서 멜로이 전 부국장은 “우주 탐사의 원동력은 인류가 공유하는 더 나은 미래에 대한 도전과 글로벌 협력”이라고 역설하며, “다양한 배경과 관점을 가진 인재들이 함께 협력할 때 혁신이 가능해지며, 민간과 국제 파트너십이 우주 탐사의 미래를 견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그룹과 KAIST가 공동 추진하는 ‘우주의 조약돌’ 프로그램은 대한민국 우주 산업의 미래를 이끌 우주 인재를 발굴하고 교육하는 데 주력하는 대표적 우주 교육 플랫폼으로, 1~3기 수료생과 4기 참가자 100여 명이 참여해 멜로이 부국장의 경험과 메시지를 생생히 접했다.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KAIST 교수진과 멘토들의 지도 아래 우주 산업 최신 동향 학습뿐만 아니라 실무형 프로젝트도 수행하며 글로벌 우주 시장에 대비하고 있다.

 

 

특히 멜로이 전 부국장은 국제우주정거장 미션에서 나타난 도전과 성공 사례를 소개하며, 7시간의 우주유영 과정에서 임무 중 발생한 ISS 태양광 패널 손상을 창의적 방법으로 수리한 NASA 팀의 노력을 통해 위기 극복과 협력의 중요성을 피력했다. 이는 우주개발이 단순한 과학기술 활동을 넘어 인류 공동체의 협력과 도전에 기반한 인본주의적 여정임을 보여준다.

 

한화 ‘우주의 조약돌’ 1기 수료생 노윤아 학생은 “NASA의 실제 미션과 국제협력 사례를 접하며 도전과 협력이라는 메시지에 깊이 공감했다”며 “우리도 미래 우주 탐사의 주역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얻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멜로이 전 부국장이 주도한 NASA의 국제 파트너십과 민간 공간산업 진출 확대 경험이 한국 우주 산업 성장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평가한다. 우주탐사 경쟁이 글로벌 협력체제로 전환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 우주 교육과 산업 생태계가 더욱 긴밀한 국제 네트워크 구축과 인재 양성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누리호 11월 27일 새벽 네 번째 발사…"우주서 바이오 신약 단서 찾는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네 번째 발사가 오는 11월 27일 새벽 0시 54분부터 1시 14분 사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예정되어 있다. 이번 발사에는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큐브위성 12기가 싣혀 우주로 발사된다. 특히 이번 4차 발사부터는 우주 의료와 바이오 기술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한다. 주목받는 큐브위성 ‘BEE-1000’은 미국 MSD의 면역항암제(펨브롤리주맙, 키트루다) 단백질 결정화 과정을 미세중력 환경에서 관찰하여 신약 개발 고해상도 데이터를 확보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이번 누리호 발사는 1~3차 발사와 동일한 3단 로켓 구조이지만, 고도 600km 태양동기궤도에 진입하는 특수 임무의 차세대중형위성 3호 탑재를 위해 야간(새벽) 발사를 최초로 추진한다. 발사 성공률은 전문가들이 약 90% 이상으로 분석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기상 조건과 우주 물체 충돌 위험성 등을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최종 발사 시각을 결정한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주로 오로라 관측 및 우주 환경 연구를 수행하며, 탑재된 ‘바이오캐비닛’은 한림대 연구팀이 개발한 3D 줄기세포 프린팅과 세포 분화·배양 기술을 우주 환경에서 검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