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NASA, 2030년까지 달에 100kW 원자력발전 설치…中·러와 달 패권 경쟁 본격화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030년까지 달 남극에 100킬로와트(kW)급 원자력 발전소를 설치하는 계획을 가속하고 있다.

 

Politico, NPR, Sky News, Forbes, Astronomy.com과 NASA 공식 발표에 따르면, 이는 기존 목표였던 40kW의 두 배를 넘는 규모이며, 기존 2030년대 중반 이후로 예상되던 일정을 5년 이상 단축한 것이다. 이번 조치는 중국과 러시아가 2035년까지 달에 핵발전소를 공동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데 따른 지정학적 경쟁의 고조에 따른 것이다.

 

NASA의 임시 청장 숀 더피(Sean Duffy)는 2025년 7월말 내부 지시문을 통해 이번 계획을 공식화하며, “우리는 달로 향하는 경쟁, 특히 중국과의 경쟁 속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초로 원자로를 설치한 국가가 달의 특정 구역을 ‘접근 금지 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이는 미국의 달 자원 접근을 봉쇄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기술적으로, 달은 14일간의 긴 야간과 영구 음영 극지 지역에서 태양광 에너지원 확보가 어려워 생명 유지 및 연구 시스템에 연속 전력 공급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NASA는 지구에서 조립 및 연료 보급 후 달에 운송하는 6톤 이하 무게의 자율 운용 원자로 시스템을 구상 중이다.

 

이 원자로는 10년간 유지보수가 필요 없으며, 록히드 마틴, 웨스팅하우스, X-에너지 등 주요 민간 기업들로부터 제안서를 6개월 내에 접수할 예정이다.

 

하지만 초대형 예산 삭감 위험도 산재해 있다. 2026년 NASA 예산안은 전년 대비 24% 삭감이 제안되어 과학 연구 및 여러 임무의 중단 위기를 초래할 전망이다. 이로 인해 NASA 내부 인력도 감축 위기에 놓여, 전문가는 2030년까지의 원자로 설치 일정이 예산 및 인력 환경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우려를 표했다.

 

반면 아이다호 국립연구소의 세바스티안 코르비시에로는 충분한 자금 지원과 아르테미스 계획의 정상 추진시 실행 가능하다고 전망한다.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아르테미스 III 임무와 중국-러시아가 함께 추진하는 국제 달 연구 기지(ILRS) 사업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두 진영은 모두 달 남극의 영구 음영 지역에 주목하며, 물 얼음과 같은 전략적 자원의 확보를 겨냥하고 있다. NASA는 2026년 아르테미스 III를 통해 인류 최초로 달 남극에 착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처럼 NASA의 핵 반응로 계획은 단순한 과학 탐사의 영역을 넘어, 달 자원과 우주에서의 전략적 우위 확보를 위한 국가 안보 차원의 경쟁으로 확장된 상태다. 핵발전소 건설과 전력 공급 능력이 향후 달에서의 거주 및 탐사 역량을 좌우할 핵심 요소임이 재확인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한국투자파트너스, 스페이스X에 138억원 투자…xAI·앤트로픽·람다 이어 '우주산업' 베팅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의 대표 벤처캐피털 한국투자파트너스가 일론 머스크가 창업한 글로벌 우주발사업체 스페이스X에 1000만 달러 규모의 구주를 매입하는 투자에 나섰다. 이 투자는 스페이스X 기업가치가 약 4000억 달러(한화 약 549조원)로 평가되는 가운데 진행됐다. 한국투자파트너스의 컨티뉴에이션 펀드와 US 시그니처 투자조합이 각각 500만 달러씩 분담해 투자했으며, 스페이스X 임직원이 보유한 주식 매입에 초점을 맞췄다. 스페이스X는 2002년 설립 이후 재사용 가능한 팰컨9 로켓을 비롯해 우주 발사체 개발과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를 주력 사업으로 성장시켜왔다. 현재 약 7000개 이상의 위성이 지구 저궤도에 배치돼 있으며 전 세계 약 500만 가구가 스타링크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스타링크는 스페이스X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2025년 매출은 약 12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투자파트너스는 과거부터 미국 AI 스타트업에도 꾸준히 투자해왔다. 지난해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xAI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한 데 이어, 올해는 오픈AI 출신 연구진이 만든 앤트로픽, AI 클라우드 기업 람다에도 각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