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1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2조원짜리 ‘지구의 심장’ 켰다…NASA-인도, 첫 듀얼 레이더 지구관측 시대 열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나사(NASA)와 인도 우주연구기구(ISRO)가 2025년 7월 30일(현지시간) 15억 달러(약 2조800억원) 규모의 합작 위성 ‘NISAR(NASA-ISRO Synthetic Aperture Radar)’를 인도 남부 스리하리코타의 새티시 다완 우주센터에서 GSLV-F16 로켓으로 성공적으로 쏘아올렸다.

 

이는 전 세계 재해 대응과 기후 모니터링 체계에 변혁을 불러올 글로벌 파트너십의 쾌거로 평가받는다.

 

결코 뒤로 갈 수 없는 신기술…듀얼 레이더 최초 탑재

 

NASA, ISRO, PIB 인도 정부 등의 공식발표와 Hindustan Times, Economic Times, Science NASA 등의 보도에 따르면, NISAR 위성은 세계 최초로 두 가지 주파수(나사 제공 L-밴드, 인도 제공 S-밴드) 합성 개구 레이더(SAR)를 장착했다.

 

지름 12m(39피트) 금도금 메시형 안테나를 펼쳐 지상 747km 궤도에서 12일마다 지구 전체의 육지와 빙하를 1cm 이하 정밀도로 관측한다. 이는 기존 지상관측 위성의 한계를 뛰어넘는 감도와 반복률이다.

 

특히 L-밴드는 울창한 수림과 숲 내부까지 관측이 가능하고, S-밴드는 지표면 변화 감지에 특화돼 있어, 낮‧밤, 구름, 비, 눈 등 모든 조건에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고해상도 이미지와 변위 측정으로 지진, 홍수, 산사태, 빙하 해빙, 해수면 상승, 산림 파괴, 곡물 생장 등을 정밀 추적·분석한다.

 

 

“지구 변화의 진실, 80TB 데이터가 말해준다”


NISAR는 하루 80테라바이트(TB), 3년간 140페타바이트(PB) 대용량 데이터를 생산한다. 이는 기존 NASA 지구관측 아카이브 전체(2024년 기준 116PB)를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80TB는 512GB 하드디스크 150개 분량, 노래 2000만곡 다운로드와 맞먹는다. 이 방대한 데이터는 기후변화, 극지빙상, 지진, 산사태, 해수면 상승, 식생‧임업, 수자원, 인프라 상태를 실시간처럼 보여준다.

 

모든 데이터는 수집 후 1~2일 이내 무료 공개, 긴급재해 발생 시에는 몇 시간 내에 실시간 제공한다. 주요 대학(인도공대 카니푸르, 파트나 등)에 설치된 기준반사판이 칼리브레이션을 담당한다.

 

NASA 12억 달러, ISRO 9100만 달러…양국 최대 규모 ‘기술·재원 동맹’


NISAR 프로젝트는 약 10년 간의 양국 우주기관의 협력의 산물로, 공식 파트너십은 2014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정상회담에서 체결됐다.

 

미국 NASA는 L-밴드 레이더, GPS, 통신체계, 데이터 저장 시스템, 12m 메시 안테나 등 예산 12억 달러를 집중 투자했다. 인도 ISRO는 S-밴드 레이더, 위성 본체, 발사체 및 관련 서비스를 맡아 9100만 달러를 집행했다. 이는 양국간 단일 우주개발 협력사상 최대 규모에 해당한다.

 

 

자연재해에서 식량·인프라까지…NISAR가 바꿀 미래는?

 

NISAR의 최대 강점은 ‘정밀, 반복, 실시간, 개방성’이다. 전 세계 재난 대응, 기후예측, 심층 농업·임업·토지 관리, 건설·항만·교량 등 인프라 모니터링, 해상‧항공 안전, 도시계획, 연안 관리 등 과학‧산업 전 분야에서 프런티어 역할을 할 전망이다.

 

NASA는 “식량안보, 홍수예방, 산불예방 등 모든 의사결정에서 NISAR의 데이터가 핵심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개방형 빅데이터, 지구과학 민주화 열어


NISAR 데이터는 미국‧인도뿐 아니라 UN, 개발도상국, 재난관리·기후변화 대응 기관 등 전 세계에 무료로 제공된다. ‘지구 빅데이터의 민주화’가 현실화되는 것이다.

 

NISAR의 성공적 발사는 ‘기술 외교의 정점’으로 평가받으며, 듀얼 레이더와 대용량 실시간 데이터가 지구촌 재난 대응, 기후위기 극복, 인류 공동선 차원에서 거대한 변화의 촉매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데이터 과학, 환경전략, 국제협력, 선진 감시기술이 집약된 ‘하늘의 거대한 눈’ NISAR. 이 위성의 궤적이 가져올 변화를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비즈니스라면서 이정도?” 안선영, 대한항공 서비스 '저격'…프레스티지 클래스 불만 '폭주'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방송인 안선영(49)이 캐나다 출국길에 올라 국내 대표 항공사인 대한항공의 비즈니스 클래스인 ‘프레스티지석’ 서비스에 대해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출해 화제가 됐다. 안선영은 2025년 10월 29일 자신의 SNS를 통해 “프레스티지라면서 좌석 좁고 칸막이도 없으며 구형”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핸드폰 충전 케이블 USB타입 하나도 없는데 X망”이라며 강한 불편감을 나타냈다. 이어 모닝캄 회원 혜택까지 포기하고 싶어지는 순간이었다고 토로했다. 대한항공의 프레스티지 클래스는 국제선 비즈니스석으로, 일반적으로 좌석은 풀플랫(180도 완전 평면) 형태이며 승객에게 고급 라운지 이용, 우선 탑승, 추가 수하물 허용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하지만 최근 이 좌석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안선영뿐 아니라 배우 왕빛나, 방송인 이지혜 등도 SNS를 통해 라운지 환경, 식음료 구성, 좌석 구조 등에 대해 불편함을 토로한 바 있다. 안선영이 언급한 “좌석 좁음” 및 “칸막이 미비” 문제는 일부 구형 보잉777-300ER 기종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이 기종 프레스티지석은 2-2-2 배열로 상대적으로 사생활 보호와 좌석 간 공간이 현

[이슈&논란] “한반도 핵추진 잠수함 시대 열린다” 李대통령, 트럼프에 ‘핵잠 연료 공급 허용’ 공개 요청…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논의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2025년 10월 29일 경북 경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연료 공급을 허용하는 결단을 공개적으로 요청했다. 이는 30여 년간 이어진 한국 군의 숙원 사업인 핵추진 잠수함 도입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공식 논의되는 첫 사례로, 한미 간 원자력협정 개정을 통한 핵추진 잠수함 도입 추진이 본격화되는 계기가 됐다.​ 핵추진 잠수함은 일반 디젤 잠수함과 달리 고농축 우라늄(U-235)으로 동력을 얻는 원자력기관을 사용해 소음이 적고 잠항 능력이 뛰어나 전략적·전술적 측면에서 현대 해전의 핵심 무기로 평가받는다. 특히 한국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 능력을 확보한 만큼, 핵추진 잠수함 확보 시 북한에 대한 억제력이 크게 강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번 이 대통령의 발언은 ‘핵무기 탑재’가 아닌 ‘핵연료 추진’ 잠수함 도입에 중점을 둔 것으로, 재래식 무기를 탑재하는 전술 핵추진 잠수함(SSN)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 대통령은 “디젤 잠수함은 잠항 능력이 부족해 북한과 중국 잠수함 추적에 제한적”이라며, 연료 공급을 허용해주면 한국 기술로

한미, 기술협력 전방위 확대…AI·6G 그리고 우주탐사까지 '협력강화'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미 정상회담에서 체결된 '기술번영 업무협약(MOU)'은 AI, 6G, 우주, 바이오, 양자기술 등 첨단 과학기술 분야에서 전방위적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아, 양국의 과기 협력 관계를 새로운 도약대로 끌어올릴 전망이다. 이번 협약은 10년 만에 맺어진 것으로, 양국이 미래 핵심기술 분야에서 기술적 리더십과 신뢰 기반 협력을 도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 협력 내용 및 기대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협약을 통해 ▲AI 응용 및 혁신 가속화, ▲신뢰할 수 있는 AI 기술 수출을 비롯한 데이터셋 개발, 안전한 AI 혁신 촉진, 그리고 교육과 미래세대 양성까지 광범위한 협력 방안을 마련했다. 특히 양국은 AI 정책 프레임워크를 공동 개발하고, AI 생태계 조성 및 기술 수출 확대를 추진하며, 글로벌 수준에서 공동 연구와 인력 교류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차세대통신인 6G 연구개발과 우주 탐사 분야에서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상업용 지구 저궤도 우주정거장 개발까지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우주 분야에서는 글로벌 우주 경쟁에서 선도적 역할을 모색하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