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NASA, 외계행성 탐지 위한 두 가지 획기적 기술 개발…우주 관측 혁신 '예고'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NASA가 외계 행성 탐사 및 특성화에 핵심적인 두 가지 혁신적 기술을 공개했다.

 

첫 번째는 스토니브룩 대학 연구팀이 개발한 정교한 항성 흑점 지도 작성 기술 ‘StarryStarryProcess’이고, 두 번째는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에서 추진 중인 팽창식 스타셰이드(별가리개)다.

 

Space Daily, centauri-dreams.org, NASA Scientific Visualization Studio, Jagran Josh, NASA Science의 발표와 보도에 따르면, 이 두 기술은 외계 행성 대기 관측과 별빛 간섭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해 향후 여러 임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정교한 항성 흑점 지도 작성 기술: 별빛 간섭 문제 해결의 열쇠


2025년 8월 25일 《The Astrophysical Journal》에 발표된 ‘StarryStarryProcess’는 NASA의 외계행성 탐사 위성인 TESS와 은퇴한 케플러 우주망원경 데이터를 활용해 멀리 떨어진 별의 흑점을 고정밀로 매핑하는 계산 모델이다. 스토니브룩 대학 사비나 사귄바예바 대학원생이 이끄는 연구팀은 이 모델이 기존 ‘별은 균일한 빛을 발하는 원반’이라는 가정을 넘어 별 표면의 복잡한 흑점 분포를 정확히 분석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특히 처녀자리 141광년 거리의 가스행성 TOI 3884 b 주변 별이 북극 부근에 흑점이 집중돼 있음을 확인, 외계 행성 대기 신호에서 별빛 간섭을 보정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다. 이는 생명지표인 수증기 등 대기 구성의 오차를 줄이고 외계 생명 탐색의 신뢰도를 크게 높인다.

 

브렛 모리스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연구원은 “항성 특성을 더 잘 이해하면 행성에 대해서도 더 많이 알 수 있는 일종의 피드백 루프”라며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팽창식 스타셰이드: 질량·비용 획기적 절감 및 자외선 관측 혁신


한편 NASA 고다드센터의 존 매더 박사가 주도하는 ‘지구형 외계행성을 위한 팽창식 스타셰이드(ISEE)’는 35~100미터 크기의 팽창식 가림막으로 설계돼 기존 전개식 스타셰이드 대비 10배 이상 질량 감소와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한다. 팽창식 구조는 운반과 전개를 용이하게 해 향후 거주가능 세계 관측소(Habitable Worlds Observatory, HWO) 및 유럽 대형 망원경(39m급)의 관측 능력을 크게 보완할 전망이다.

 

스타셰이드는 망원경과 대상 별 사이에 위치해 별빛을 최대 100억 배까지 차단, 오존 탐지가 가능한 자외선 파장에서도 외계행성 관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이 큰 차별점이다. 코로나그래프와 달리 어떤 망원경에도 호환되며 광학 효율이 완벽한 것이 특징이다.

 

매더 박사는 “어떤 망원경이라도 외계행성을 볼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임무 시사점과 우주 관측 혁신


두 기술은 NASA의 판도라(Pandora) 미션과 긴밀히 연계돼 있다. 올해 가을 스페이스X 팰컨(Falcon) 9 로켓으로 발사되는 판도라는 1년 임무 동안 최소 20개 외계행성을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동시 관측 방식으로 분석해 별빛 간섭과 행성 대기 신호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예정이다.

 

이러한 다중 파장 관측은 StarryStarryProcess와 팽창식 스타셰이드의 기술적 진보와 시너지를 내며 외계행성 대기 조성 및 거주 가능성 연구에 새로운 획기적 전환점을 마련한다.

 

2020년 천체물리학 10년 계획에서 권고된 지구형 외계행성 직접 영상화 및 바이오시그니처 탐색 목표 달성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며, HWO가 포함하는 코로나그래프의 한계를 팽창식 스타셰이드가 보완, 특히 자외선 관측 분야에서 혁신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NASA의 두 가지 첨단 기술 발표는 외계행성 연구에서 별과 행성 간 신호 분리 문제 해결, 비용과 무게 문제 극복, 보다 정밀한 잠재 거주 가능성 탐색 등 다방면에서 미래 우주 탐사에 중대한 이정표를 제시한다. 전문가들은 이 기술들이 향후 수십 년간 외계행성 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명적인 도약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지구칼럼] 세계에서 가장 높은 쓰레기, 드론이 치운다…"에베레스트 쓰레기 역사상 무인 항공기 최초 투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산에서 점점 더 심각해지는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드론이 큰 역할을 했다. 네팔을 기반으로 한 스타트업 에어리프트 테크놀로지가 중형 드론을 활용해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산의 쓰레기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Phys.org, DJI 공식 블로그, 네팔 현지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DJI 플라이카트 30 드론 두 대가 해발 6065m 캠프 1부터 베이스캠프까지 300kg의 쓰레기를 운반하며, 등반가들이 셰르파와 함께 힘겨웠던 쓰레기 수거 작업이 몇 시간에서 단 몇 분으로 단축됐다. 이번 드론 활용은 에베레스트 쓰레기 청소 역사상 최초의 전면 무인 항공기 투입 사례로 기록됐다. 기존 셰르파들은 불안정한 빙하와 위험한 크레바스를 4~8시간에 걸쳐 최대 20kg의 쓰레기를 운반하며 극한의 환경에서 생명을 담보로 작업해왔다. 이에 비해 드론은 15kg까지 화물을 싣고 단 6분 만에 같은 구간을 비행해 인력과 시간을 대폭 절감한다. 사가르마타 오염관리위원회 체링 셰르파 대표는 “10명이 6시간 동안 옮길 수 있는 쓰레기를 드론 한 대가 10분 만에 운반한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 혁신이 현장에서 얼마나 큰 변화를 가져왔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