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태양계 비밀 벗기는 행성 탐사선의 세계…수성 베피콜롬보·금성 마젤란·목성 주노·토성 카시니-하위헌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우주의 미지에 대한 인류의 도전은 멈추지 않는다. 지난 반세기 동안 지구인들은 태양계 곳곳으로 수많은 탐사선을 보내 행성의 비밀을 한 겹씩 벗겨왔다.

 

수성, 금성, 목성, 토성, 화성, 천왕성, 해왕성 등 대표적 행성 탐사선의 여정과 의미, 그리고 과학계의 평가를 알아봤다.

 

수성 : 극한의 세계를 향한 도전


수성은 태양과 가장 가까운 행성으로, 극단적 환경과 미스터리로 가득 차 있다. 1973년 NASA의 마리너 10호는 인류 최초로 수성에 접근해 표면 사진과 자기장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했다. 이후 2004년 발사된 메신저(MESSENGER)는 최초로 수성 궤도에 진입,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표면·지질·자기장 등 종합 연구를 수행했다.

 

현재는 유럽우주국(ESA)과 일본(JAXA)이 공동 개발한 베피콜롬보(BepiColombo)가 2018년 발사돼 2025년 12월 수성 궤도 진입을 앞두고 있다. ESA의 수석과학자 요하네스 벤크호프는 “베피콜롬보는 수성의 미스터리를 풀기에 완벽한 시점과 구성으로 설계된 임무”라고 평가했다.

 

 

금성 : 뜨거운 지옥의 베일을 걷다


금성 탐사는 1960~80년대 소련의 베네라(Venera) 시리즈가 선도했다. 베네라 착륙선은 최초로 금성 표면에 착륙, 사진과 대기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했다. 미국의 파이오니어 금성(1978년), 마젤란(1989년) 탐사선도 대기와 표면 지도를 작성하며 금성 연구에 기여했다.

 

최근에는 NASA의 다빈치(DAVINCI, 2029년 예정), 베리타스(VERITAS, 2031년 예정), ESA의 엔비전(EnVision, 2031년 예정), 인도의 슈크라얀(Shukrayaan) 등 차세대 탐사선이 금성의 비밀에 도전한다. NASA의 제임스 가빈 박사는 “금성은 여전히 미지의 세계다. 차세대 탐사선들이 금성의 본질을 밝혀줄 것”이라고 말했다.

 

 

목성 : 거대 행성, 거대한 탐사

 

목성 탐사는 태양계 탐사의 상징이다. 1970년대 파이오니어 10, 11호와 보이저 1, 2호가 최초로 목성에 접근해 대기·자기장·위성 데이터를 수집했다. 1989년 발사된 갈릴레오(Galileo)는 최초로 목성 궤도에 진입, 대기 탐사선 투입과 위성(이오, 유로파 등) 연구를 수행했다.


2011년 발사된 주노(Juno)는 목성의 자기장, 중력장, 대기, 극지 오로라 등을 정밀 분석했다. 

 

NASA의 스콧 볼튼 박사는 “주노의 발견은 목성의 형성과 내부 구조에 대한 기존 이론을 뒤흔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후에도 ESA의 JUICE(2023년 발사, 2031년 도착 예정), NASA의 Europa Clipper 등 목성 및 위성 탐사가 이어지고 있다.

 

토성 : 태양계에서 가장 화려한 구조물 '고리' & 태양계에서 가장 많은 145개의 위성

 

카시니-하위헌스(Cassini-Huygens)는 미국 NASA와 유럽우주국(ESA)의 공동 탐사선으로, 1997년 10월 15일 발사되어 2004년 토성 궤도에 진입했다.

 

카시니는 토성의 고리와 위성들을 상세히 연구했으며, 하위헌스 탐사선은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착륙하여 데이터를 전송했다.

 


천왕성 : 미지의 푸른 행성, 고리와 위성 그리고 자기장


천왕성은 1986년 NASA의 보이저 2호가 유일하게 접근한 행성이다. 보이저 2호는 천왕성의 고리, 위성, 자기장 등 다양한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했다.

 

영국 레스터대학의 리 페처 박사는 “천왕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흥미로운 천체 중 하나다. 미래의 플래그십 임무가 최우선 과제로 제안됐다”고 말했다.

 

현재 NASA는 2030년대 초 Uranus Orbiter and Probe(UOP) 임무를 추진 중이다. 이 임무는 궤도선과 대기 탐사선을 투입해 천왕성의 비밀을 본격적으로 파헤칠 계획이다.

 

또 NASA는 보이저 2호 (Voyager 2)를 통해 1989년 해왕성을 근접 통과하여 상세한 사진과 데이터를 전송했다.

 

이러한 탐사선들의 임무를 통해 태양계 행성들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NASA의 과학자들은 "이러한 탐사선들의 발견은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깊게 해주었다"고 평가합니다.

 

이외에 미국 NASA의 탐사선 마리너 4호 (Mariner 4)는 1964년 11월 28일 발사되어 1965년 7월 14일 화성 근접 통과 시 최초로 화성의 근접 사진을 전송했다. 이후 바이킹 1호 및 2호 (Viking 1 & 2)는 각각 1975년 8월 20일과 9월 9일에 발사되어 1976년 화성 표면에 착륙하여 생명체 탐색과 지질학적 연구를 수행했다.

 

큐리오시티 로버 (Curiosity Rover)는 2011년 11월 26일 발사되어 2012년 8월 6일 화성 게일 분화구에 착륙해 현재까지 화성의 지질과 기후를 연구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수성의 극한, 금성의 뜨거운 대기, 목성의 거대한 구조, 천왕성의 미지의 세계에 대한 끊임없는 호기심으로 비밀을 벗기는 도전을 계속중이다. 

 

각국의 탐사선은 미지의 행성에 한 걸음씩 다가서며, 우주와 인류의 기원을 밝히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수성, 금성, 목성, 천왕성 등 태양계 행성 탐사는 과학기술의 집약체이자 인류 호기심의 산물이다. 각국의 탐사선은 미지의 세계를 한 겹씩 벗기며, 우주와 우리 자신에 대한 근본적 질문에 답을 찾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스페이스린텍, 시리즈B 투자 유치 성공… '메이드 인 스페이스 신약시대' 가속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우주의약 전문기업 스페이스린텍(Space LiinTech, 대표 윤학순)이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고 10일 밝혔다. 구체적인 투자 금액은 비공개다. 이번 투자를 통해 스페이스린텍은 저궤도 기반 우주 바이오 제조 플랫폼의 상용화와 지상 드롭타워 인프라 고도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스페이스린텍은 미세중력 환경을 활용한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연구 및 생산 플랫폼을 개발하는 국내 유일의 우주의학 기업이다. 2021년 설립 이후 우주단백질 결정화 등 고부가가치 의약품 제조 분야에서 독보적 기술을 축적해왔으며, 올 8월 말 국내 최초 우주의약 연구 모듈 발사를 앞두고 있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기존 투자자인 컴퍼니케이파트너스와 선보엔젤파트너스를 비롯해, 스틱벤처스, 신용보증기금, 디캠프 등 신뢰도 높은 기관이 신규로 참여했다. 회사의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아 시리즈B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스페이스린텍의 주요 기술은 미세중력 상태에서 약물 결정이 더욱 균일하고 정밀하게 형성되는 물리적 특성을 활용해, 기존 지상 실험 대비 고순도·고정밀 바이오의약품을 제조할 수 있는 데 있다. 특히 구조 기반 신약 디자인이나 면역항암제

스페이스X, 550조원 시대 연다…비상장 기업 역대 최고가치로 우주산업 '빅뱅' 신호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사상 최대인 약 4000억달러(한화 약 550조원) 기업가치로 내부자 주식 매각 및 신주 발행을 추진하며 글로벌 금융·우주산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번 거래가 성사될 경우, 스페이스X는 미국 비상장 기업 중 역대 최고 기업가치에 오르게 되며, 상장사와 비교해도 시가총액 20위권 내에 진입하게 된다. 4000억달러 평가, ‘비상장 기업의 왕좌’ 오르나 블룸버그, 야후파이낸스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내부자(임직원·초기 투자자) 주식 매각과 함께 신규 자금조달(신주 발행)을 병행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번 거래의 기준 기업가치는 4000억달러로, 2023년 12월(3500억달러) 대비 500억달러가 상승했다. 이 수치는 미국 대표 상장사인 홈디포, 프록터앤드갬블(P&G), 팔란티어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이다. 미국 비상장사 중에서는 단연 독보적 1위이며, 글로벌로도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 오픈AI 등과 경쟁하는 ‘초거대 유니콘’ 반열에 올랐다. 기업가치 급등 배경: 스타링크·스타십의 폭발적 성장 이번 평가액에는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사업부 ‘스타링크’

HD현대인프라코어, K2 전차 엔진 923억원 대규모 수주…자체 기술로 국내 방산 주도권 확보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가 K2 전차용 대규모 엔진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독자적인 기술력과 공급 역량을 입증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최근 방위사업청과 총 923억 원 규모의 K2 전차 엔진(DV27K)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HD현대인프라코어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방위사업청에 단계적으로 엔진을 납품할 예정이다. 이 엔진은 주요 방산국의 주력 전차 엔진과 동급 출력인 1500마력으로, 56톤(t)급 K2 전차를 최대 70km/h로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를 활용해 압축한 공기를 실린더 내부로 밀어 넣는 설계로 출력과 연소효율을 극대화했고, 최적의 구조설계를 통해 진동을 줄이면서 동력을 고루 전달할 수 있어 전장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의 K2 전차 엔진은 기술력과 경제성은 물론, 공급 안정성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동급의 고속·고출력 엔진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실전에 배치한 국가는 미국, 한국, 독일, 프랑스 등 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에, 전차 엔진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국가들에게 관심을 끌고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10년에 걸친 연구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