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빅테크

베이조스의 760억원 결혼식, 그의 재산 0.02% 불과…"억만장자의 과시적 소비는 시대정신에 역행" 헐리우드 배우 '조롱'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61)와 방송기자 출신 로런 산체스(55)의 이탈리아 베네치아 초호화 결혼식이 2025년 6월 말, 세계 언론과 여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사흘간 이어진 이 행사에 대해 Forbes, CNN, Newsweek, Reuters등의 해외 유력매체들은 단순한 ‘억만장자 결혼식’ 이상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파장을 남겼다고 보도했다.

 

결혼식 규모와 비용, 그리고 ‘상징성’

 

베이조스 커플의 결혼식은 약 200명의 글로벌 슈퍼스타와 재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베네치아의 역사적 명소와 최고급 호텔, 미슐랭 3스타 셰프의 케이터링, 무라노 유리 기념품 등으로 꾸며졌다.

 

현지 벤치마크와 업계 소식통을 종합하면 실제 결혼식 비용은 최소 2000만 달러(약 270억원)에서 최대 5600만 달러(약 760억원)로 추산된다. 베네토 주지사 루카 자이아는 4000만 유로(약 64억원) 이상이 들었다고 밝혔으나, 해당 수치는 직접적 근거보다는 언론 추정에 가깝다.

 

이 금액은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 기준 베이조스의 총재산 2440억 달러(약 329조원)의 0.02%에 불과하다. 미국 평균 가계 순자산(약 106만 달러)과 비교하면, 평범한 미국인이 250달러(약 34만원) 미만을 결혼식에 쓰는 셈이다. 건설노동자, 간호사, 법조인 등 직업별 평균 순자산 대비로 환산하면, 스타벅스 커피 두 잔 혹은 햄버거 두 개 값에 불과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경제적 효과, 베네치아에 ‘1조5000억원’ 낙수효과

 

이 결혼식은 베네치아 현지 경제에도 엄청난 파급효과를 남겼다. 이탈리아 관광부와 컨설팅업체 JFC에 따르면, 결혼식이 창출한 직접·간접 경제효과는 약 9억5700만 유로(약 1조5000억원), 이는 베네치아 연간 관광수입의 68%에 달한다. 200명의 하객이 30대의 수상택시와 5개 이상의 최고급 호텔을 이용했고, 각 하객이 도시 경제에 미친 효과는 1인당 480만 달러에 달한다는 분석도 있다.

 

이 중 실제 결혼식 지출(숙박, 식음료, 교통 등)은 약 3300만 달러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글로벌 미디어 노출 효과 등 간접효과로 집계됐다. 베네치아는 최근 관광객 감소와 경제 침체를 겪고 있었으나, 이번 행사를 계기로 도시 이미지와 관광산업 회복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초호화, 초연예인 결혼식…비판과 논란도 ‘후끈’

 

그러나 이 같은 ‘호화 과시’는 현지 시민단체와 환경단체의 거센 반발을 불러왔다. “베이조스를 위한 공간은 없다(No space for Bezos)”는 현수막이 도심 곳곳에 내걸렸고, 시위대는 “억만장자의 사적 이벤트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도시를 사유화했다”며 비판했다. 베네치아는 이미 오버투어리즘, 주거난, 기후위기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이다.

 

베이조스 측은 환경단체와 연구기관에 1백만 유로씩 기부하며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으나, 시민단체는 “면죄부용 생색내기”라며 냉소적으로 반응했다.

 

헐리우드·정치권의 ‘조롱’과 사회적 논쟁


헐리우드 배우 샤를리즈 테론은 “우리가 베이조스 결혼식에 초대받지 못한 유일한 사람일 것”이라며 “그들은 재수 없고, 우리는 멋지다”고 직설적으로 꼬집었다. 그는 “세상이 불타는 이 시기에, 억만장자의 과시적 소비는 시대정신에 역행한다”고 비판했고, 코미디언 로지 오도넬 역시 “억만장자들의 사치와 쇼에 구역질이 난다”고 SNS에 남겼다.

 

이런 반응은 단순한 시기심을 넘어, 세계적 불평등과 사회적 책임, 자본의 윤리성에 대한 논쟁으로 확산됐다. 뉴욕타임스 등은 “베이조스의 결혼식이 헐리우드, 실리콘밸리, 정치권의 권력 네트워크와 자본 집중의 상징”이라고 보도했다.

 

‘사치의 극치’인가, ‘경제효과의 상징’인가


베이조스의 베네치아 결혼식은 억만장자 개인의 사치와 과시, 그리고 도시 경제 부흥과 글로벌 미디어 효과라는 두 얼굴을 동시에 보여줬다. 현지 경제에 단기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남겼으나, 사회적 불평등과 문화유산의 사유화, 환경문제 등 근본적 논쟁을 촉발했다는 점에서 단순한 ‘초호화 이벤트’ 이상의 의미를 남겼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뇌는 포도당을 구별한다...KAIST, 비만·당뇨 치료의 단서 찾았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우리의 뇌는 어떻게 장내에서 흡수된 다양한 영양소 중 포도당을 구별해낼까? KAIST 연구진은 이 질문에서 출발해, 뇌가 단순히 총열량(칼로리)을 감지하는 수준을 넘어 특정 영양소, 특히 포도당을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향후 식욕 조절 및 대사성 질환 치료 전략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생명과학과 서성배 교수 연구팀이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영균 교수팀, 생명과학과 이승희 교수팀, 뉴욕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배고픔 상태에서 포도당이 결핍된 동물이 장내의 포도당을 선택적으로 인식하고 선호하도록 유도하는 장-뇌 회로의 존재를 규명했다고 9일 밝혔다. 생물은 당, 단백질, 지방 등 다양한 영양소로부터 에너지를 얻는다. 기존 연구들은 장내 총열량 정보가 시상하부의 배고픔 뉴런(hunger neurons)을 억제함으로써 식욕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혀왔으나, 특정 포도당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장-뇌 회로와 이에 반응하는 특정 뇌세포의 존재는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뇌의 기능에 필수적인 포도당을 감지하고 필요한 영

[빅테크칼럼] ‘억만장자 여름 캠프’ 선밸리, 이재용 회장 참석한다…글로벌 네트워크·정보력 탑재로 삼성 '퀀텀점프' 기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이종화 기자]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7월 9일(현지시간)부터 미국 아이다호주 선밸리에서 열리는 ‘앨런&코 콘퍼런스’(일명 ‘선밸리 콘퍼런스’)에 참석한다. 이 행사는 1983년부터 미국 투자은행 앨런앤컴퍼니가 주최해온 초청제 네트워킹 행사로, ‘억만장자들의 여름 캠프’로 불린다. 올해도 60여 명의 글로벌 IT, 미디어, 금융계 리더들이 사적 전용기를 타고 모인다. 이 회장은 사실상 유일한 한국인 초청자다. 선밸리 콘퍼런스가 뭐길래? '미국 억만장자들의 여름 캠프'로 통하는 선밸리 콘퍼런스는 미국 부티크 투자 자문사 앨런앤컴퍼니가 1983년부터 미국 아이다호 휴양지 선밸리에서 매해 주최하는 비공개 행사다. 이들은 행사 기간 중 테니스나 골프를 치며 함께 스포츠를 즐기기도 하고 각종 주제로 토론 세션을 진행하면서 자유롭게 서로의 생각을 나누곤 한다. 이 행사는 언론사들의 접근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회의 및 강연 일정 등도 비공개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참석자 명단조차 확실치 않다. 다만, 미국 매체 버라이어티에 따르면 60명이 넘는 미디어 거물, 빅테크 최고경영자(CEO), 정치인들이 올해 행사에 초대 받았다. 세계 IT·미

[내궁내정] '머스크 타깃' 트럼프의 귀화시민권 박탈, 멜라니아 '불똥'…정치적 무기로 변질된 드라이브 '역풍'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귀화 시민권 박탈과 출생 시민권 제한 등 초강경 이민정책을 추진하면서, 미국 내에서 “멜라니아 트럼프부터 추방하라”는 역설적 청원이 온라인에서 급속히 번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배우자인 슬로베니아 출신 멜라니아 트럼프와 아들 배런, 장인·장모까지 추방 대상에 올려야 한다는 요구는 이민 정책의 형평성과 위선 논란을 정조준한다. 트럼프, 귀화 시민권 박탈 정책 전면화…25만명 청원에 “멜라니아도 예외 없다?” ABC뉴스와 CNN등 미국의 주요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2025년 6월 미 법무부는 귀화 시민권자 중 국가안보, 테러, 전쟁범죄, 성범죄, 인신매매, 재정 사기, 갱단 연루, 허위 정보 제공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