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10.2℃
  • 흐림서울 3.8℃
  • 구름조금대전 7.8℃
  • 구름많음대구 9.9℃
  • 구름조금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8.5℃
  • 맑음부산 14.4℃
  • 구름많음고창 9.8℃
  • 흐림제주 13.4℃
  • 흐림강화 2.6℃
  • 구름조금보은 7.1℃
  • 흐림금산 6.9℃
  • 흐림강진군 9.8℃
  • 구름조금경주시 11.8℃
  • 맑음거제 14.2℃
기상청 제공

빅테크

베이조스의 760억원 결혼식, 그의 재산 0.02% 불과…"억만장자의 과시적 소비는 시대정신에 역행" 헐리우드 배우 '조롱'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61)와 방송기자 출신 로런 산체스(55)의 이탈리아 베네치아 초호화 결혼식이 2025년 6월 말, 세계 언론과 여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사흘간 이어진 이 행사에 대해 Forbes, CNN, Newsweek, Reuters등의 해외 유력매체들은 단순한 ‘억만장자 결혼식’ 이상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파장을 남겼다고 보도했다.

 

결혼식 규모와 비용, 그리고 ‘상징성’

 

베이조스 커플의 결혼식은 약 200명의 글로벌 슈퍼스타와 재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베네치아의 역사적 명소와 최고급 호텔, 미슐랭 3스타 셰프의 케이터링, 무라노 유리 기념품 등으로 꾸며졌다.

 

현지 벤치마크와 업계 소식통을 종합하면 실제 결혼식 비용은 최소 2000만 달러(약 270억원)에서 최대 5600만 달러(약 760억원)로 추산된다. 베네토 주지사 루카 자이아는 4000만 유로(약 64억원) 이상이 들었다고 밝혔으나, 해당 수치는 직접적 근거보다는 언론 추정에 가깝다.

 

이 금액은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 기준 베이조스의 총재산 2440억 달러(약 329조원)의 0.02%에 불과하다. 미국 평균 가계 순자산(약 106만 달러)과 비교하면, 평범한 미국인이 250달러(약 34만원) 미만을 결혼식에 쓰는 셈이다. 건설노동자, 간호사, 법조인 등 직업별 평균 순자산 대비로 환산하면, 스타벅스 커피 두 잔 혹은 햄버거 두 개 값에 불과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경제적 효과, 베네치아에 ‘1조5000억원’ 낙수효과

 

이 결혼식은 베네치아 현지 경제에도 엄청난 파급효과를 남겼다. 이탈리아 관광부와 컨설팅업체 JFC에 따르면, 결혼식이 창출한 직접·간접 경제효과는 약 9억5700만 유로(약 1조5000억원), 이는 베네치아 연간 관광수입의 68%에 달한다. 200명의 하객이 30대의 수상택시와 5개 이상의 최고급 호텔을 이용했고, 각 하객이 도시 경제에 미친 효과는 1인당 480만 달러에 달한다는 분석도 있다.

 

이 중 실제 결혼식 지출(숙박, 식음료, 교통 등)은 약 3300만 달러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글로벌 미디어 노출 효과 등 간접효과로 집계됐다. 베네치아는 최근 관광객 감소와 경제 침체를 겪고 있었으나, 이번 행사를 계기로 도시 이미지와 관광산업 회복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초호화, 초연예인 결혼식…비판과 논란도 ‘후끈’

 

그러나 이 같은 ‘호화 과시’는 현지 시민단체와 환경단체의 거센 반발을 불러왔다. “베이조스를 위한 공간은 없다(No space for Bezos)”는 현수막이 도심 곳곳에 내걸렸고, 시위대는 “억만장자의 사적 이벤트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도시를 사유화했다”며 비판했다. 베네치아는 이미 오버투어리즘, 주거난, 기후위기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이다.

 

베이조스 측은 환경단체와 연구기관에 1백만 유로씩 기부하며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으나, 시민단체는 “면죄부용 생색내기”라며 냉소적으로 반응했다.

 

헐리우드·정치권의 ‘조롱’과 사회적 논쟁


헐리우드 배우 샤를리즈 테론은 “우리가 베이조스 결혼식에 초대받지 못한 유일한 사람일 것”이라며 “그들은 재수 없고, 우리는 멋지다”고 직설적으로 꼬집었다. 그는 “세상이 불타는 이 시기에, 억만장자의 과시적 소비는 시대정신에 역행한다”고 비판했고, 코미디언 로지 오도넬 역시 “억만장자들의 사치와 쇼에 구역질이 난다”고 SNS에 남겼다.

 

이런 반응은 단순한 시기심을 넘어, 세계적 불평등과 사회적 책임, 자본의 윤리성에 대한 논쟁으로 확산됐다. 뉴욕타임스 등은 “베이조스의 결혼식이 헐리우드, 실리콘밸리, 정치권의 권력 네트워크와 자본 집중의 상징”이라고 보도했다.

 

‘사치의 극치’인가, ‘경제효과의 상징’인가


베이조스의 베네치아 결혼식은 억만장자 개인의 사치와 과시, 그리고 도시 경제 부흥과 글로벌 미디어 효과라는 두 얼굴을 동시에 보여줬다. 현지 경제에 단기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남겼으나, 사회적 불평등과 문화유산의 사유화, 환경문제 등 근본적 논쟁을 촉발했다는 점에서 단순한 ‘초호화 이벤트’ 이상의 의미를 남겼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혈당을 넘어 당뇨병 합병증 근본 해결"…NYU 연구진, 염증 원천 표적하는 혁신 약물 RAGE406R 개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미국 뉴욕대학(NYU) 랭곤 헬스 연구진이 혈당 조절과 무관하게 당뇨병 합병증의 근본 원인을 표적하는 혁신적 저분자 화합물 RAGE406R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 약물은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염증과 조직 손상, 특히 상처 치유 지연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2025년 11월 14일 생화학 분야의 권위지 ‘Cell Chemical Biology’에 발표됐다.​ 현재 당뇨병 치료제는 주로 혈당 수치를 낮추는데 집중되어 있으나,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만성 염증과 같은 합병증에 직접 작용하는 치료법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 RAGE406R은 당뇨병 환자의 세포 내에서 염증 신호를 촉발하는 RAGE(최종당화산물 수용체)와 DIAPH1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기전으로 작동한다. 이 상호작용이 억제되면서 염증 매개물질 CCL2의 분비가 현저히 줄어들어 대식세포 내 염증 반응이 완화됐다.​ 특히, 비만형 제2형 당뇨병 생쥐에 국소 적용된 실험에서 RAGE406R은 상처 치유 속도를 대폭 높여, 치유 지연으로 고통받는 당뇨환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증명했다. 남녀 당

[빅테크칼럼] 테슬라, 美 전기차 생산서 중국산 부품 전면 배제…"미중갈등 지정학 리스크 대응차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전기차 선두주자 테슬라가 미국 내 생산 전기차에 사용되는 부품에서 중국산을 전면 배제하는 전략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는 미·중 간 고조된 지정학적 긴장과 무역 분쟁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평가받는다. 월스트리트저널, 로이터, CBS, 배터리테크온라인, 테슬라매그에 따르면, 테슬라와 주요 공급업체들은 이미 미국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 들어가는 일부 중국산 부품을 현지 혹은 타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대체했으며, 앞으로 1~2년 내에 모든 중국산 부품을 중국 외 지역에서 조달한 부품으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같은 결정은 2025년 초 확정됐으며, 공급망 다변화의 일환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국산 부품 수급 차질 경험과 올해 들어 미국 정부가 중국산 품목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영향이 컸다.​ 특히 테슬라가 대체에 가장 난항을 겪는 부문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다. 기존에 중국 CATL이 주요 공급사였던 LFP 배터리는 미국 내 판매 차량의 세액공제 대상에서 중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이 제외되면서 사용이 중단됐다. 이에 테슬라는 네바다주에 10GWh 규모의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