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한중 해빙에 날개 단 롯데관광개발"…카지노 실적 '신기록' 증권가 목표주가 잇단 '상향'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롯데관광개발이 한·중 관계 개선에 힘입어 카지노 실적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증권가에서 목표주가가 잇따라 상향 조정되고 있다.

 

하나증권은 6월 19일 롯데관광개발에 대해 "중국인 관광객 증가와 카지노 매출 급등이 실적 개선을 견인하고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함께 목표주가 1만9000원을 제시했다.

 

카지노 실적, 월 400억원 돌파…방문객·드롭액 모두 신기록

 

최근 5월 롯데관광개발의 제주 드림타워 카지노는 월 매출 400억원을 처음 돌파했다. 4~5월 누적 매출은 740억원에 달하며,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기존 207억원에서 299억원으로 43% 상향됐다. 카지노 방문객 수도 급증해 상반기 월 평균 2만8000명 수준이던 방문객이 최근 5만1000명까지 치솟았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한 수치다.

 

드롭액(고객이 칩으로 바꾼 금액)도 5월 기준 2200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순매출 역시 410억원을 넘어서며, 지난해 8월의 종전 최고치(329억5000만원)를 크게 경신했다.

 

호텔 객실 활용률·국제선 노선 확대, 추가 성장 여력 충분


롯데관광개발은 1600개의 호텔 객실을 보유하고 있으나, 1분기 기준 카지노 영업에 활용되는 객실은 약 30%에 불과하다. 하나증권은 향후 최소 50%까지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이에 따라 방문객당 드롭액 상승 등 선순환 구조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카지노 테이블 가동률도 약 65%에 그치고 있어, 운영 확대에 따른 실적 개선 여력이 충분하다는 평가다.

 

또한 제주국제공항의 국제선 취항 도시 수가 과거의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어, 중국 노선 확대 등 인바운드 회복이 본격화될 경우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도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증권가, 목표주가 줄상향…2025년 영업이익 960억~1258억원 전망

 

하나증권은 올해 롯데관광개발의 매출을 5921억원(+26%), 영업이익을 960억원(+146%)으로 추정했다. 다올투자증권도 목표주가를 1만9000원으로 대폭 상향 조정하며, 2025년 영업이익을 1258억원(+220.6%)으로 전망했다. 한화투자증권 역시 최근 목표주가를 1만8000원으로 상향하며, "방문객 수, 드롭액, 순매출액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진단했다.

 

중국인 단체관광 회복 기대…“마카오식 복합리조트 모델에 근접”


중국 정부의 반부패 정책과 규제 강화로 마카오 VIP 매출 비중이 줄어든 가운데, 롯데관광개발은 일반 고객 및 비카지노 매출 확대에 주력해왔다. 증권가는 "공급이 수요를 창출하는 카지노 산업 구조상, 대규모 호텔 객실을 갖춘 롯데관광개발이 마카오 복합리조트 모델에 가장 근접해 있다"고 평가했다.

 

2024년 중국인 방한 관광객 수는 460만명으로, 사드(THAAD) 사태 이전(2016년 807만명)의 57% 수준에 불과하다. 향후 점진적인 회복이 이어질 경우 롯데관광개발 등 외국인 전용 카지노 업체들이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중 해빙 수혜 본격화…“구조적 성장 국면 진입”


전문가들은 "한중 관계 개선에 따른 중국인 관광객 유입 확대와 카지노 실적 급등이 맞물리며, 롯데관광개발이 단순 실적 회복을 넘어 구조적 성장 국면에 진입했다"고 평가한다.

 

증권가의 목표주가 상향과 실적 전망치 상향이 이어지는 가운데, 호텔 객실 활용률과 국제선 노선 확대 등 추가 성장 동력도 충분하다는 진단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KCC, 대리점 가공·시공 품질 강화로 소비자 신뢰 높인다…"교육설비 3억 투자·교육 확대·품질 협약 체결"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KCC가 대리점 창호 가공·시공(이하 가시공) 품질 강화를 위한 실무형 교육을 확대하고, 품질 협약을 체결하는 등 소비자 신뢰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KCC는 최근 프리미엄 하이엔드 창호 브랜드 ‘Klenze(클렌체)’의 가시공이 가능한 대리점 네트워크인 ‘Klenze 이맥스 클럽(e-MAX Club)’ 회원사를 대상으로 ‘Klenze 가시공 아카데미’를 진행했다. 이맥스 클럽은 KCC가 대리점의 창호 가공 기술, 사후관리(A/S) 역량, 설비 기준 등 엄격한 심사기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인증하는 프로그램으로, 특히 ‘Klenze 이맥스 클럽’은 이맥스 클럽 회원사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Klenze 제품 가시공 능력이 탁월한 곳 만을 선정한 프리미엄 대리점 네트워크다. 최초 인증 후에도 정기적인 재평가를 통과하고 본사 교육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이맥스 클럽 자격을 이어갈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품질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번 Klenze 가시공 아카데미에서는 ▲Klenze 제품 기능 및 사양 이론 교육 ▲실제 가시공 시연 및 실습 ▲고객 응대 서비스 마인드 교육 등이 진행됐다. KC

K-뷰티, 수출로 미국 제치고 세계 2위 등극…강관·조선·음식료 ‘정책+글로벌’ 모멘텀에 증시 활기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2025년 상반기 한국 증시는 K-뷰티(화장품) 업종의 글로벌 약진과 강관·조선·음식료 등 주요 테마주의 동반 강세 속에 투자 심리가 뚜렷이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는 3거래일 만에 상승 전환해 3071.70에 마감했고, 코스닥은 소폭 약보합세로 마쳤다. 특히 한국 화장품 수출이 사상 처음 미국을 추월하며 세계 2위에 올라선 점이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K-뷰티, 사상 첫 美 추월…세계 2위 수출국 등극 2025년 1~4월 한국 화장품 수출액은 36억609만 달러로, 같은 기간 미국(35억7069만 달러)을 앞질렀다. 이는 지난해 독일을 제치고 3위에 오른 데 이어, 프랑스에 이어 세계 2위로 올라선 것이다. K-뷰티의 저력은 한류 확산, 기능성 제품 혁신, OEM·ODM 경쟁력, 글로벌 유통망 확장에 기반한다. 업계는 신생 브랜드 발굴과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 증시에서는 한국콜마, 잉글우드랩, 실리콘투, 삐아 등 화장품 관련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였고, 한국콜마는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강관·피팅·밸브, 한미정상회담·LNG 프로젝트 기대감에 강세 7월 말 한미정상회담 추

[The Numbers] '티웨이항공 팔고, 런던베이글 인수' JKL, 보유 포트폴리오 어디?…엑시트후보 크린토피아·페렌벨 '몸값 저울질'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국내 대표 사모펀드(PEF) 운용사 JKL파트너스가 최근 베이커리 프랜차이즈 ‘런던베이글뮤지엄’ 인수를 확정지으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JKL파트너스(JKL)는 2001년 세 명의 회계사 출신인 정장근, 강민균, 이은상 대표가 함께 설립한 회사다. 기업구조조정에 주력하다 2004년 PEF를 설립해 운용에 나섰다. 2015년 하림그룹과 팬오션의 1조원 규모의 공동경영권 인수후 국내 최대 벌크 해운사로 성장시키며 시장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JKL은 다양한 산업군의 중견·중소기업에 투자해 구조조정, 성장 지원, 기업가치 제고를 추진하는 전략으로, 올해도 주요 포트폴리오의 매각(엑시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무엇보다 올해 JKL은 대명소노그룹에 티웨이항공 지분을 모두 처분하며 투자금액의 약 2배를 회수했다. 콜옵션 권리대금 300억원을 포함해 매각대금은 총 2000억원 수준이다. 내부수익률(IRR)은 약 23%로 투자 당시 목표로 잡았던 수익률(20%)을 크게 웃돌았다. 투자한 지 약 3년 만에 엑시트 성공은 업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최근에는 국민연금 사모투자 위탁운용사로 선정되는 성과도 거뒀다. JKL파트너스의 주요 포트폴리

[혼쭐위원회] “가맹점주 희생양, 상생은 메아리" ‘수수료 지옥' 치킨산업…배민·쿠팡이츠에 뜯기고, 교촌·BBQ·bhc에 바치고 ‘이중고’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이 배달플랫폼과 본사의 이중 착취에 시달리며, 수익성 악화의 늪에 빠지고 있다. 배달앱 시장의 독과점 구조와 치킨본사의 고율 유통마진, 그리고 가격정책 통제까지 겹치며, 정작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점주만이 모든 부담을 떠안고 있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가장 큰 부담은 매출의 절반가량이 배달플랫폼을 통해 발생하면서 플랫폼 종속 현상이 심화되는 것이다. 배달플랫폼에 지급하는 수수료때문에 치킨업체들의 부담도 점점 커지고 있다. 매출 절반이 ‘배달앱’…24%가 수수료로 증발 서울시가 2024년 프랜차이즈 실태조사를 통해 발표한 결과, 치킨·햄버거 등 주요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매출 절반(48.8%)이 배달플랫폼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킨과 햄버거 업종은 배달 플랫폼 매출이 각각 75.7%, 51.7%로 높았다. 모바일상품권 매출(7.9%)까지 합치면 온라인 기반 매출 비중은 56.7%에 달한다. 치킨집 등 자영업자들은 이제 오프라인 매장보다 배달앱에 더 크게 의존하는 구조로 전환된 셈이다. 이 과정에서 치킨집의 매출 24%가 배달플랫폼 수수료로 빠져나간다. 2023년 10월 17.1%였던 수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