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대한항공이 올해 1분기 영업이익 350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수치다.
대한항공은 올해 1분기 매출 3조9559억원, 영업이익 3509억원, 당기순이익 1932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5% 증가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9.5%, 44.0%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각각 1.8%, 19.4%, 23.2% 감소했다. 자산총계는 34조1928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2% 증가했다. 부채총계는 23조8366억원으로 3% 늘었다. 자본총계는 10조3592억원으로 1% 줄었다.
대한항공은 사업 환경 불확실성에도 여객·화물 부문의 적극적 수요 유치 노력 등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영업이익은 신규 항공기 도입에 따른 감가상각비·정비비 증가, 환율 상승에 따른 조업 단가 인상 등으로 비용이 늘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지연됐던 신규 항공기 도입 영향으로 영업비용이 증가하기도 했다. 대한항공은 중장기적 공급 확대와 서비스 고급화를 위한 투자 비용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서비스를 개선해 수익성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사업별로 보면 여객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한 2조4355억원을 기록했다. 전반적인 항공시장 공급 증가에 따른 경쟁 심화·대내외적 불확실성에도 연초 설 명절, 3월 연휴 효과 등 견조한 여행 수요 지속으로 매출·수송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화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한 1조540억원을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등 영향에도 전자상거래,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출하 증가와 한국발 신선 화물 등 수요가 지속됐다. 유연한 공급 조정과 고정 수요 확보 등 노력으로 수익성을 높일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2분기 여객 사업이 5월 초 연휴를 필두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발 동남아, 중국, 일본 노선 수요를 바탕으로 실적 증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신규 취항지 발굴과 부정기 운영 등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2분기 화물 사업은 미국 관세 부과 정책에 따른 항공화물 변동성 추이를 면밀히 분석해 모니터링하며 적시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