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이번엔 다낭, 제주항공 불안해서 타겠나”…반복되는 사고에 고객 불신 ‘임계점’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제주항공이 또다시 안전 논란에 휩싸였다. 183명의 승객을 태운 제주항공 여객기가 베트남 다낭공항에 비상착륙하며 활주로를 이탈, 타이어가 찢어지는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승객들은 14시간 넘는 지연과 현지 공항에서의 혼란을 겪어야 했다. 문제는 이번 사고가 단발성 해프닝이 아니라는 데 있다. 최근 1년 사이 제주항공에서는 대형 참사부터 잇따른 기체 결함까지 사고가 반복되면서, 고객들의 불안과 피로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

 

또다시 '제주항공'…다낭공항 활주로 이탈, 14시간 지연


사고는 5월 28일(현지시각) 인천을 출발한 제주항공 7C2217편(B737-800)이 베트남 다낭공항에 착륙하면서 발생했다. 항공기는 착륙 직후 활주로 오른쪽 완충지대로 벗어났다가 곧바로 복귀했지만, 이 과정에서 착륙장치(랜딩기어) 타이어가 찢어졌다.

 

승객 183명과 승무원 6명은 다행히 무사했지만, 복귀편은 대체기 투입 등으로 14시간 38분이나 지연되며 승객들은 장시간 불편을 겪었다.

 

현장에 있던 승객들은 “딜레이를 한 번에 통보하지 않고 1시간 뒤, 또 1시간 뒤 하겠다며 계속 미뤘다”며 혼란을 토로했다. 제주항공 측은 현지 호텔 숙박과 식사를 제공했지만, 고객들의 불만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반복되는 사고…“불안해서 제주항공 못 타겠다”


문제는 이번 사고가 예외적 사건이 아니라는 점이다. 불과 5개월 전인 2024년 12월, 제주항공 2216편은 무안국제공항 착륙 중 활주로를 이탈해 179명이 사망하는 대참사를 겪었다. 이 사고는 제주항공 19년 역사상 최악의 인명피해로, 국내 항공사고 사상 세 번째로 많은 사망자를 기록했다. 사고 원인도 랜딩기어 결함 등 기체 문제로 지목됐다.

 

참사 직후에도 같은 기종에서 랜딩기어 이상이 감지돼 회항하는 등 비슷한 문제가 반복됐다. 2006년, 2007년에도 제주항공은 테일 스트라이크(동체 꼬리 활주로 접촉), 활주로 이탈 등으로 사고 이력이 있다. 최근 몇 년간은 준사고(버드 스트라이크, 활주로 미끄러짐, 산소마스크 오작동)도 꾸준히 보고됐다.

 

이런 사고가 반복되자 이용객들은 탑승때 마다 “기종이 뭐냐고 묻고, 제주항공은 못 타겠다는 이야기가 공공연한 비밀”이라며 실제로 일부 승객은 사고 이후 항공사 변경이나 아예 항공기 이용을 포기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고객 불신, 피로감 ‘임계점’…제주항공 신뢰 회복 가능할까

 

제주항공은 “정비와 안전점검을 철저히 하고 있다”고 해명하지만, 하루 만에 같은 기종에서 반복된 랜딩기어 문제, 대형 참사 이후 또다시 발생한 활주로 이탈 사고에 고객 신뢰는 바닥을 치고 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저비용항공사(LCC) 특성상 기재 노후화, 정비 인력 부족, 비용 절감 압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제주항공이 신뢰를 회복하려면 근본적인 안전관리 시스템 강화와 투명한 정보공개, 고객 소통이 필수”라고 지적했다.

 

고객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항공사의 기본 가치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제주항공이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지 업계와 소비자 모두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부품 국산화 ‘주춧돌사업’ 본격 착수 "5년간 225억 투자"…6종 핵심소자 개발 및 우주방사선 시험기술 확보 목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총 22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소자급 우주 부품 국산화와 우주방사선 환경 시험방법 개발을 본격 추진하는 ‘미래 우주경제 주춧돌사업’을 착수했다고 29일 밝혔다.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주 분야 핵심 부품 6종(수동소자 3종과 능동소자 3종)을 국산화해 양산 공급 단계까지 개발하는 것이 사업의 주요 목표다. 수동소자는 전류 흐름 제한, 전하 저장, 신호 통과·차단 역할을 하며, 능동소자는 전기 신호 증폭, 스위칭,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우주 환경에서 소자의 성능과 내구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양성자 및 중이온 기반의 우주방사선 환경 시험방법을 국내 장비를 활용해 개발한다. 이 과제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큐알티(주) 등 총 8개 기관 및 기업이 참여한다. 한창헌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산업국장은 “주춧돌사업을 통해 핵심 우주 부품에 대한 해외 공급 위험도를 완화시키고, 기술 자립을 통해 국내 우주산업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업은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이자, 우주 개

[이슈&논란] "비행기만 있고 승무원이 없네" 대한항공 승무원 단체 지각…90분 기다린 200명 승객들 '분통'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대한항공 세부발 인천행 항공편이 승무원들의 '단체 지각'으로 1시간 반 늦게 출발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8월 16일 필리핀 세부 막탄세부공항에서 인천으로 출발할 예정이던 대한항공 KE616편이 승무원들의 단체 지각으로 인해 예정 시각보다 1시간 30분 넘게 지연 출발해 승객들의 불만이 크게 폭발했다. 항공사 측은 지연 사유로 ‘연결 항공편 도착 지연’을 안내했으나, 실제 이유는 승무원들의 단체 지각으로 탑승 준비가 늦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당일 자정 출발 게이트 인근에서는 이미 항공기 한 대가 탑승교에 연결되어 대기했음에도 승무원들이 오전 2시가 돼서야 유니폼을 입은 상태로 도착해 탑승이 시작됐다. 이로 인해 제 시간에 도착한 200여명의 승객은 1시간 30분 동안 공항 게이트 앞에서 기다려야 했던 상황이다. 승객 A씨는 “출발 지연 이유에 대해 공식 안내는 연결 항공편 문제였으나, 실제로는 승무원들이 늦게 도착했다는 말을 들었다”고 증언했다. 대한항공은 악천후로 인해 세부 지역에서 선행 항공편 도착이 늦어지고, 현지 폭우로 교통 통제가 발생하면서 승무원들의 공항 도착이 지연됐다고 해명했다. 다만 승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