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신설 조직인 정부효율부(DOGE)의 수장으로 지명된 후 자신이 해고하고 싶은 공무원 실명을 소셜미디어(SNS)에 직접 올려 논란이 일고 있다. 이른바 여론형성을 통한 압박전략이면서 동시에 불필요한 직책이라고 생각한다면 스스로 물러나도록 종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머스크는 미 행정부의 불필요한 예산 삭감과 공무원 감축 등 구조조정을 예고한 바 있다.
27일(현지시각) 미 CNN에 따르면 지난주에 머스크는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기후 관련 정부 직책을 맡고 있는 4명의 이름과 직함을 밝힌 두 개의 X(옛 트위터) 게시물을 올렸다. 각 게시물은 수천만번 조회됐고, 이름이 거론된 4명의 여성 중 적어도 1명은 SNS 계정을 삭제했다. 온라인으로 해당 인물이나 직책을 확인할 수 있지만 일반 대중들과는 직접 접촉하지 않아 거의 알려지지 않은 연방 정부 직원들이라고 CNN은 설명했다.
게시물 중 하나는 "미국 납세자들이 미국 국제개발금융공사(USIDFC)의 '기후 다변화 국장' 고용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 머스크는 이 게시물에 "가짜 일자리가 너무 많다"는 댓글을 달며 사실상 해고하고 싶은 공무원에 대한 '좌표'를 찍자, 해당 게시물은 3300만회 이상의 조회수와 함께 "사기 일자리", "돈벌이는 끝났다" 등의 부정적인 댓글이 달렸다.
머스크는 또 미 에너지부 산하 대출프로그램사무국(LPO)의 최고기후책임자도 끌어냈다. 이 사무국은 초기 투자가 필요한 신생 에너지 기술에 자금을 지원한다. 2010년에는 테슬라 모터스에 4억6500만 달러를 지원해 머스크의 회사를 전기차 업계에서 산업 리더로 자리매김하는 데 도움을 줬다고 CNN이 보도했다.
미 보건복지부(HHS)에서 환경 정의 및 기후 변화 선임고문으로 근무하는 또 다른 여성도 표적이 됐다. HHS는 오염 및 기타 환경적 위험으로부터 공중 보건을 보호하는데, 특히 그러한 위험에 노출되기 쉽고 영향을 크게 받는 저소득·유색인종 지역 사회 보호에 중점을 둔다. 환경 정의 및 기후 변화 선임고문은 2022년 바이든 행정부의 HHS에서 신설된 직책이다.
주택도시개발부(HUD)의 기후 담당 선임고문을 맡은 여성도 머스크에 지목됐다. 원래 X 게시물에는 "HUD의 '기후 고문'이 미국 납세자들에게서 18만1648달러를 받아서는 안 된다"는 내용이었지만, 머스크는 "하지만 그녀의 조언이 대단할 수도 있다"는 코멘트와 함께 웃는 이모티콘을 달았다.
미 연방공무원노조(AFGE)의 에버렛 켈리 위원장은 "이러한 전술은 연방 직원에게 공포와 두려움을 심어주기 위한 것"이라며 "이는 그들이 목소리를 내는 것을 두려워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하기도 전에 잠재적 해고 대상을 언급한 것은 사실상 대규모 구조조정을 공식 선포한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수많은 연방 정부 공무원들에게 자신의 일자리가 위태로울 수 있다는 사실이 단순 위협이 아닌 실제적인 위험이라는 것을 미리 알린 셈이다.
CNN은 머스크는 이런 종류의 일을 예전에도 한 적이 있으며, 그렇게 언급된 사람들에게 실제로 위험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CNN은 조지메이슨 대학교의 공학 및 컴퓨터 과학 교수인 메리 미시 커밍스를 소개하며, 그가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서 근무했을 때 테슬라의 운전자 보조 프로그램을 비판해 머스크의 분노를 산 적이 있다고 짚었다. 당시 커밍스 교수는 머스크의 추종자들로부터 살해 위협을 받아 일시적으로 거주지를 옮기기도 했다.
커밍스 교수는 이날 CNN에 “사람들에게 (스스로) 그만둘 것을 위협하거나 다른 모든 기관에 ‘다음은 너다’라는 신호를 보내는 그만의 방식”이라며 “지목된 사람들이 겁을 먹고 스스로 그만두게 만들어서 해고하는 수고를 덜어내려는 의도”라고 지적했다.
CNN은 머스크의 이러한 행동에 어떤 의도가 담겼는지 사이버 폭력, 온라인 학대 등의 전문가들에게 연락했으나, 일부는 머스크의 표적이 될 것을 두려워해 발언을 거부했다고 전했다.
한 전문가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무섭고 소름 돋는 효과를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사이버 폭력의 고전적 패턴”이라며 “놀랍지 않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