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이슈&논란]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화재 참사…뇌물과 인허가 비리, 시행사 내분까지 '사면초가'

2025년 2월 부산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 화재로 6명 사망, 27명 부상
공정률 91% 미만 상태에서 3000만원 뇌물 등으로 허위 감리보고서 제출, 사용승인
시행사 회장은 혐의 부인, 간부들은 인정하며 내부 책임 공방
경찰, 시행사·시공사·공무원 등 29명 입건, 8명 구속, 44명 불구속
안전관리 부실, 인허가 비리, 경제적 손실 우려 등 복합적 구조적 문제 드러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 신축 공사장에서 2월 발생한 대형 화재는 단순 산업재해를 넘어, 인허가 비리와 뇌물 제공, 그리고 시행사 내부의 책임 공방까지 얽힌 복합적 사회문제로 번지고 있다.

 

6명 사망·27명 부상…대형 참사로 드러난 안전관리 부실

 

2025년 2월 14일 오전 10시 51분, 부산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공사 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작업자 6명이 숨지고 27명이 연기 흡입 등 부상을 입었다. 당시 현장에는 780여명의 하청업체 근로자들이 근무 중이었다. 경찰과 소방당국의 합동 감식 결과, 화재는 B동 1층 배관 관리실(PT룸)에서 용접 작업 중 튄 불티가 가연성 단열재에 옮겨붙으면서 시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현장에는 화재 감시자와 안전관리자가 부재했고, 불티 비산 방지 덮개와 방화포 등 기본적인 안전장치조차 갖춰져 있지 않아 인명 피해가 더욱 컸던 것으로 드러났다. 자동화재신고장치 역시 설치되지 않은 상태였다.

 

 

준공률 91% 미만에도 허위 감리보고서…뇌물·로비로 인허가 통과


경찰 수사에 따르면, 시행사와 시공사는 공정률이 85~91%에 불과한 상태에서 준공 승인을 받기 위해 감리업체를 회유·압박하거나, 3000여만원의 뇌물을 제공해 허위 감리보고서를 기장군청과 소방당국에 제출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소방시설이 미비해 사용 승인이 불가능한 상황임에도, 감리업체 소방담당자에게 1억원을 주겠다는 확약서까지 작성하고, 현금 3000만원을 전달했다는 진술이 확보됐다.

 

이밖에도 시행사 측은 기장군청 고위 공무원에게 골프 접대, 소방서 간부에게 고급호텔 식사권(장당 15만원, 총 124장 중 57장 사용)을 제공하는 등 각종 로비를 벌인 사실이 드러났다. 경찰은 시행사, 시공사 대표와 기장군청·소방 공무원 등 29명을 입건해 조사 중이며, 관련 혐의로 8명이 구속, 44명이 불구속 입건됐다.

 

 

시행사 내부 ‘책임 공방’…회장은 부인, 간부들은 인정


최근 부산지법 동부지원에서 열린 공판준비절차에서 시행사 루펜티스(주) 김대명 회장은 뇌물 공여 등 모든 혐의를 전면 부인한 반면, 본부장과 이사는 뇌물 수수 사실을 인정하며 “김 회장의 지시였다”고 주장해 내부 갈등이 표면화됐다. 김 회장 측은 오히려 본부장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등 피고인들 간 진술이 엇갈리고 있다.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의 공식 시행사인 루펜티스(주)는 부산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에서 반얀트리 브랜드의 고급 리조트 개발을 주도했다. 

 

 

경제적 손실 우려가 불법행위로…프로젝트파이낸싱 압박


시행사와 시공사는 준공 지연시 하루 2억9000만원의 지체상금과 325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회수 등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우려해 불법 로비와 허위 서류 제출에 나선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미완공 상태(공정률 91%)에서 2024년 12월 19일 사용승인을 받았다.

 

전문가 “인허가·안전관리 법제도 개선 시급”


경찰과 전문가들은 “현장 확인 없는 서류심사만으로 준공승인이 가능한 현행 건축법 등 관련 제도의 허점이 대형 참사로 이어졌다”며, 소방시설 완공검사 등 인허가 과정에서의 실질적 현장 확인 의무화와 법·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혁신] "국내 최대 규모" 태평염전, 소금 장인 위한 ‘쉼터 휴게실’ 열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제적 환경 보호 지역에서 염전을 운영하는 태평염전이 임차 생산자인 소금 장인과 생산 근로자들을 위한 ‘쉼터 휴게실’을 신규 개소하며, 염전 근로자의 휴식권 보장과 복지환경 확대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번 쉼터 개소는 태평염전이 수년간 이어온 복지 인프라 확대 노력의 일환이다. 쉼터 휴게실은 총 3개소로 작업장 인근에 위치해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주로 여름철(6월~9월) 시기에 집중되는 계절성 작업의 특성을 고려해 내부 시설을 조성했다. 쉼터 내부는 에어컨, 냉장고, 휴게용 의자를 비롯해 비상용 전화기와 관내 연락처 안내문, 혹서기 건강관리 요령 안내문 등을 비치하여 작업 환경의 안전과 편의성을 강화했다. 이번 쉼터 조성은 기존에 무상 제공되던 사택이 이전되면서 확보된 공간을 적극 활용한 사례이다. 태평염전은 다년간 함께해온 염전 장인들이 안정적으로 소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지속해왔으며, 사택 무상 지원을 통해 주거 편의성과 작업 접근성을 높여왔다. 매년 사택 개보수는 물론 22년에는 약 10억원을 투입해 총 9동 규모의 사택 신축 공사를 진행하여 보다 쾌적하고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제공했다. 아울

[공간사회학] 꿀벌, 안정적 벌집 짓는 기발한 건축 전략 3가지…"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숙련된 건축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꿀벌이 불규칙한 건축 기반 위에서도 안정적인 벌집을 짓기 위해 최소 세 가지 독창적 건축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꿀벌이 단순히 ‘본능에 의한 건축 기계’가 아니라 복잡한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숙련된 건축가임을 재조명하는 성과로, 공학 분야에서 생체모방 설계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The Scientist, EurekAlert의 보도와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캠퍼스 연구팀이 8월 26일 과학 저널 PLOS Biology를 통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꿀벌들에게 꿀벌이 선호하는 크기와 차이가 나는 3D 프린트 플라스틱 기반판을 제공하고, X선 현미경 영상으로 벌집 속 건축 과정을 실시간 관찰했다. 그 결과, 꿀벌들은 ▲너무 작은 셀은 다수의 셀을 합쳐 적절한 크기로 조정하고 ▲너무 큰 셀은 벌집 벽을 경사지게 지어 개구부를 축소하면서 저장 깊이를 유지하며 ▲매우 큰 셀에는 기존 크기의 벌집을 새로운 층으로 쌓아 올리는 ‘겹층 쌓기’ 전략을 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꿀벌들은 3차원적 배열까지 구현하며 놀라운 적응력을 보였다. 공동 교신 저자인 프란시스코 로페즈 히메네즈는 "우리가 제공한 3D 프린팅 기반

[랭킹연구소] Z세대가 가장 살고 싶은 도시 TOP10, 1위는 ‘방콕’…2~5위, 멜버른·케이프타운·뉴욕·코펜하겐 順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전세계 Z세대(1997~2012년 출생자)들이 가장 살고 싶어 하는 도시 1위로 태국의 수도 방콕이 선정됐다. CNBC, CNN, 인디언익스프레스의 보도에 따르면, 영국 여행잡지 타임아웃(Time Out)이 지난 2025년 8월 전세계 1만8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세계 최고 도시’ 설문조사에서 방콕은 행복도와 저렴한 물가 부문에서 압도적인 점수를 받으면서 1위를 차지했다. 84%의 응답자들이 방콕에서의 생활에 행복감을 표했고, 71%는 생활비 부담이 적은 ‘가성비 좋은 도시’로 꼽았다. 1인당 월 생활비(주거비 제외)는 약 617달러(태국 바트 약 2만141바트선)로 다른 글로벌 대도시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다. 2위는 호주의 멜버른으로, 77%가 다양성과 포용성을 높게 평가하며, 96%는 예술과 문화 수준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이 도시는 삶의 질에서도 91%가 ‘좋거나 훌륭하다’고 평가했다. 3위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으로, 82%의 행복 지수와 저렴한 야간 외출 비용(76%)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케이프타운은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풍부한 음식 문화, 활기찬 밤문화로 Z세대의 큰 호응을 얻었다. 4위는 미국 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