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구름조금동두천 2.5℃
  • 맑음강릉 9.6℃
  • 구름조금서울 7.0℃
  • 구름많음대전 4.5℃
  • 맑음대구 4.5℃
  • 맑음울산 7.9℃
  • 구름많음광주 7.7℃
  • 맑음부산 11.7℃
  • 흐림고창 4.4℃
  • 맑음제주 11.9℃
  • 구름조금강화 4.0℃
  • 맑음보은 1.1℃
  • 구름조금금산 1.8℃
  • 구름많음강진군 3.7℃
  • 맑음경주시 3.3℃
  • 맑음거제 8.7℃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오픈AI, AI 생물무기 위협 대응 스타트업 레드퀸바이오에 1500만 달러 투자…‘AI 시대 바이오안보' 패러다임 시프트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픈AI가 인공지능(AI) 기반 생물학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안보 스타트업인 레드퀸바이오(Red Queen Bio)의 1500만 달러 시드 라운드 투자를 주도해 업계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오픈AI 공식 발표, 레드퀸바이오 홈페이지, 로이터, AI Daily에 따르면, 이번 투자는 챗GPT 제작사 오픈AI가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 지난 10월 뉴욕의 Valthos에 3000만 달러를 투자한 데 이은 두 번째 주요 생물안보 투자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레드퀸바이오는 mRNA 치료제 개발사 헬릭스나노(Helix Nano)에서 분사한 샌프란시스코 소재 스타트업으로, AI가 생물무기 개발에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한 AI 기반 방어 기술을 개발한다. 공동 창업자 한누 라자니에미(Hannu Rajaniemi)는 AI가 생물학적 시스템을 빠르게 진화시키는 현실을 직시하며, AI와 실험실 데이터 결합을 통해 생물학적 취약점을 신속히 식별하고 대응책을 설계하는 ‘공격-방어 동시 진화’ 전략인 ‘방어적 공동확장(defensive co-scaling)’에 주력한다고 밝혔다.​

 

오픈AI의 최고전략책임자 제이슨 권(Jason Kwon)은 “AI 공격 위협에 맞서기 위한 최선의 해법은 방어 기술의 발전”이라며 “생태계 전반의 회복력을 높이는 데 더 많은 기술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투자에는 세르베러스 벤처스(Cerberus Ventures), 피프티 이어스(Fifty Years), 할시온 퓨처스(Halcyon Futures) 등도 함께 참여했다.​

 

레드퀸바이오는 AI와 실험실 자동화 기술, 강화학습(RL)을 활용해 AI로 강화된 생물학적 위협을 선제적으로 탐지하고, 이를 차단·무력화할 의료 대응책을 사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기존 생물안보 규제체계의 한계를 보완하는 혁신적 접근으로, AI가 가속화하는 단백질 설계, 유전자 서열 최적화, 바이러스 구조 모델링 등 첨단 생명과학 영역에서 나타나는 ‘양날의 칼’ 같은 기술 발전에 대응하는 것이다.​

 

특히 ‘레드퀸’이라는 이름은 루이스 캐럴의 『거울 나라의 앨리스』 속 ‘레드 퀸’에서 따온 것으로, 적과 아군 모두 끊임없이 빠르게 진화해야 살아남는 진화 경주를 상징한다. 스타트업은 모든 AI 연구소, 바이오 제약 회사, 정부 기관과 협력하는 공개 협업 구조의 ‘퍼블릭 베네핏 코퍼레이션(Public Benefit Corporation)’으로 운영되며, 미 전역과 글로벌 차원에서 열린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을 촉진한다.​

 

이번 투자는 AI가 과학 및 생명공학 영역에서 가지는 잠재적 위험을 방어하기 위한 최초의 큰 자금 집행 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AI 생명보안 분야에서 기술과 규제, 국제 협력이 본격적으로 맞물리기 시작했다는 신호탄이다. 향후 AI 강화 화학, 합성 생물학, 소재과학 등 고위험 기술 영역으로 유사 모델이 확산될 가능성도 주목된다.​

 

오픈AI CEO 샘 올트먼과 이사회 멤버 니콜 셀리그만은 헬릭스나노에 대한 기존 투자로 인해 레드퀸바이오 지분을 보유하게 되었으나, 투자 결정 과정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오픈AI의 최고 컴플라이언스 책임자 및 이해관계 없는 이사회 구성원들이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승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AI 기술 진화가 가져오는 생물학적 안전 리스크와 맞서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미래 생물안보를 강화하는 녹색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워런 버핏 버크셔, 6조원대 구글 알파벳 주식 보유, 왜?…"기술주 투자 전략 변화 신호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가치투자의 전설’ 워런 버핏(95) 회장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구글 모회사 알파벳 주식 43억3000만 달러(약 6조3000억원) 어치를 3분기 포트폴리오에 신규 편입한 사실을 공식 공시했다. 이는 전통적으로 기술주 투자를 자제해온 버핏의 투자 방침에 있어 큰 변화로 평가된다.​ 버크셔, 구글 알파벳 지분 430억 달러로 신규 편입 CNBC, 로이터, 야후 파이낸스, 블룸버그, 버크셔 해서웨이 공식 공시에 따르면, 버크셔 해서웨이는 2025년 9월 30일 기준 알파벳 주식 약 1780만주를 보유 중이라고 신고했다. 해당 주식 가치는 약 43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 시점에서 알파벳 주식은 버크셔 주요 투자처로 부상했으며, 애플 지분은 동반 매도해 15% 가량 줄였다. 애플 보유 잔액은 여전히 607억 달러(약 88조원) 규모로, 버크셔 포트폴리오 최상위 자산이다.​ 6조원대 구글 주식 투자 배경과 전략적 의미 버핏은 전통적으로 견고한 펀더멘털과 경제적 해자를 가진 산업에 집중하는 가치투자자로 알려져 왔다. 과거 구글에 투자 기회를 미처 잡지 못한 것을 아쉬워했으며, 버크셔 포트폴리오 매니저 토드 콤스 및 테드 웨실러가 이번

[빅테크칼럼] 구글, EU 광고시장 규제에 불복 '선언'…법적 대응 및 사업 분할 '논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구글이 유럽연합(EU)의 광고시장 지배력 남용 결정에 강력히 반발하며 법적 대응에 나선다. EU 집행위원회는 지난 9월 초 구글이 광고 기술(애드테크) 시장에서 경쟁사에 불리하게 자사 온라인 광고 서비스를 우대했다며 29억5000만 유로(약 4조80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에 대해 구글은 “EU의 결정은 경쟁이 매우 치열하고 빠르게 진화하는 광고 기술 분야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미 EU 요구에 맞춘 준수 계획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구글은 EU의 사업 분할·매각 요구에 대해 “수천에 달하는 유럽의 광고 게시자와 광고주에게 피해를 주는 사업 분할 없이도 EU의 결정을 완전히 반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구글이 제안한 시정안에는 광고 게시자가 입찰자별로 다른 최저 가격을 설정할 수 있는 옵션 제공 등, 광고주와 게시자에게 더 많은 선택권과 유연성을 부여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EU는 구글이 광고 구매·판매 시장에서 지배적 지위를 남용해 경쟁 광고 기술 서비스 제공업체, 광고주, 온라인 퍼블리셔(광고 지면 제공 매체)에게 손해를 끼쳤다고 판단했다. 특히 구글의 광고 서버(DFP, DoubleClick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