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AI챗봇 바드 '구글'도 "직원들 AI 챗봇 금지"···경쟁사에 기밀정보 유출 '우려'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지인의 목소리를 복제해 보이스피싱에 악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게티이미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인공지능(AI) 챗봇 ‘바드’를 개발중인 구글도 자사 직원들에게 바드를 포함한 AI 챗봇에 기밀정보를 입력하지 말 것을 경고하고, 내부단속에 나섰다.

 

로이터 통신의 15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최근 직원들에게 바드를 포함한 AI 챗봇을 조심하라는 지침을 내리며, 민감한 기밀정보를 AI 챗봇에 입력하는 것을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개발자들에게 챗봇이 생성할 수 있는 컴퓨터 코드를 AI 챗봇에 직접 사용하지 입력하지 말 것도 주문했다고 일부 소식통은 전했다.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MS)와 생성형 AI 주도권 경쟁을 벌이는 알파벳은 AI챗봇 바드를 개발해 서비스중이다. 구글이 이같은 조치를 내린 이유는 인간 검토자가 사용자들이 입력한 채팅 항목을 모니터링할 가능성이 있고, AI 챗봇 특성상 이전 사용자 입력 내용을 스스로 학습해 또 다른 정보 유출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로이터는 AI 챗봇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최근 기업들의 보안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구글 뿐만 아니라 최근 애플, 삼성전자,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은 전 세계적으로 내부 데이터 유출을 우려해 생성형 AI 챗봇 사용을 금지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는 상태다. IT기반의 기술기업 뿐만 아니라 JP모건과 뱅크오브아메리카, 도이치뱅크, 미즈호 은행 등 개인 정보에 민감한 금융업계도 직원들의 AI챗봇 사용을 제한했다.

 

그럼에도 업무에서 AI챗봇이나 생성형 AI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늘고 있는 추세다. 글로벌 네트워킹 사이트 피시볼이 지난 1월 직장인 1만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약 43%의 응답자가 상사에게 알리지 않고 챗GPT나 다른 AI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내궁내정] 삼성 갤럭시S·갤럭시노트·갤럭시폴드 시리즈 암호명(코드명)에 숨겨진 의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삼성전자는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보안 유지와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암호명을 사용한다. 이는 단순히 보안측면의 의미뿐만 아니라 제품의 철학과 기능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돼 많은 사람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하는 장치가 되기도 한다. 특히 이 암호명(코드명, 프로젝트명)은 삼성전자가 개발한 기기의 혁신성과 기술적 성취를 함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갤럭시 S10의 '비욘드'는 새로운 디자인과 기술을, 갤럭시 S20의 '허블'은 카메라 성능을, 갤럭시 S25의 '패러다임'은 삼성의 모바일 기술과 AI 통합에서의 새로운 표준을 설정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갤럭시 노트 10의 ‘다빈치(Da V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