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몸에서 나는 땀에 반응해 체온 조절을 위해 자동으로 두께를 조절하는 겨울 재킷 기술이 개발됐다.
TechXplore, Yahoo News, ITC 등의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난징항공우주대학교 연구진(책임자 리슈창)은 땀에 반응해 자동으로 두께가 변하는 혁신적인 겨울 재킷을 개발하며, 기존 체온 관리 한계를 극복하는 해법을 제시했다. 이 기술은 최근 국제 학술지 ‘Science Advances’에 발표됐다.
핵심 기술과 수치적 성과
이 재킷의 충전재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사용한다. 이 멤브레인은 저온 건조 상태에서는 13밀리미터 두께로 최대 단열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땀을 흘려 습도가 상승하면 두께가 2밀리미터까지 극적으로 얇아져 열이 효과적으로 빠져나가 과열을 방지한다.
실제 실험에 따르면 이 멤브레인 기술을 활용한 의류는 기존 겨울 의류 대비 체온조절 능력을 82.8%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0개 주요 도시에서 평균 7.5시간 동안 ‘열 스트레스 없는 구간’을 연장해주는 효과가 검증됐다. 이는 야외에서 장시간 근무하는 환경미화원, 택배원, 경찰관 등에게 매우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 작동 원리와 효용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이 습도에 따라 분자 구조가 자동 조절되는 원리를 사용해 두께 변화가 일어나며, 연구진은 인간 피부 시뮬레이터 시스템 등 실험실 및 실제 환경에서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했다.
상용 다운재킷에 소재를 통합해, 걷기 및 자전거 타기 중 실험 참가자의 체온 변화와 의복 반응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객관적인 데이터 기반의 기술 효용성을 확인했다.

국제 학계 반응 및 추가 연구 필요성
해외 주요 과학 미디어와 기술 전문 사이트은 이 기술이 겨울 장비로 인한 탈수, 피로, 현기증 등 열 관련 건강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아직 상용화까지는 몇 가지 과제가 남아 있다. 연구진은 극한 기후에서 장기적인 내구성과 세탁·압력·지속적 활동 등 다양한 환경 하에서 박테리아 셀룰로오스의 물리적 특성을 지속적으로 검증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렴한 가격대에서 대량 생산까지 확장하는 기술적 도전도 중요한 과제로 지적됐다.
미래 응용 분야와 전망
해당 기술은 사계절 내내 다양한 산업 현장과 스포츠, 군·경 제복, 아웃도어 의류 등으로 확장 적용이 가능하다. 지속가능 소재로서 환경적 이점도 부각되고 있다. 유사 연구로 오스트리아와 유럽에서는 대형 로봇을 활용해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의류의 입체 구조 성장 및 패턴 맞춤 생산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전문가 분석
기존 겨울 의류 시장의 한계는 다양한 소비자 데이터에서도 확인된다. 타공법, 나노 기술, 적외선 조절 등의 응용법을 통해 세균 셀룰로오스 기반 스마트 의류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가 기대된다. 이처럼 땀에 반응하는 자동 두께 조절 재킷은 앞으로의 겨울 의복 필수 기술로 부상할 것이며, 안전·경제·환경 모두를 아우르는 혁신적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