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11.0℃
  • 흐림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8.2℃
  • 구름많음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2.2℃
  • 구름많음광주 8.5℃
  • 구름많음부산 13.3℃
  • 흐림고창 9.1℃
  • 흐림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3.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조금금산 8.5℃
  • 흐림강진군 9.3℃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칼럼] 골드만삭스가 콕 집은 유럽 방산株 4종·한국 방산株 5종 어디?

세계 각국 국방비 ‘사상 최대’
군비 확장에 트럼프 재선 기대감...‘우주산업 육성’ 정책 수혜주도 한몫
유럽 방산주는 탈레스, 롤스로이스홀딩스, 에어버스, 라인메탈
한국 방산주는 한국항공우주(KAI),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호주에 수출 예정인 ‘레드백’ 보병전투장갑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어 이스라엘·이란 전쟁 등 지정학적 갈등이 확산되면서 세계 곳곳에서 군비 확장 경쟁까지 치열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각국의 정부들도 우주항공과 방위군수산업을 국가전략기술로 지목하면서 관련기업들에 대한 수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17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유망 유럽 방산주 4종을 선정했다. 프랑스의 탈레스, 영국의 롤스로이스홀딩스와 에어버스, 독일의 라인메탈 등이다.

 

유럽과 중동에서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프랑스, 독일 등 유럽 선진국들의 잇따른 국방비 증가가 그 근거다. 모두 유럽 각국을 대표하는 방산주로 이미 시가총액은 228억유로(라인메탈·약 33조원)에서 1269억유로(에어버스·약 186조원)에 달한다.

 

빅터 알라드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는 "유럽 국방비 지출이 ‘슈퍼사이클’의 한 가운데 있다고 믿는다"면서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전망했다. 

 

프랑스의 대표적 종합 방산업체인 탈레스는 올들어 상승률은 17%를 기록하고 있다. 전자포 개발이 장기인 독일 라인메탈은 올들어 상승률이 75%에 달한다. 영국 롤스로이스홀딩스의 지난해 매출액은 154억900만파운드(약 26조원), 프랑스 에어버스 지난해 매출액은 654억유로(약 96조원)를 기록했다. 주가도 올들어 각각 32.51%. 14.72%씩 올랐다.

 

골드만삭스는 유럽 국방비 연평균 증가율이 과거 대비 오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2015년부터 2020년까진 연평균 3%에 머물렀지만, 2022년부터 2027년까지 4.5% 상승이 이어진다고 했다. 

 

유로뉴스 등 현지 언론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의 말을 인용해 지난해 유럽연합(EU)의 국방비 지출은 2022년 2400억유로(약 352조원)에서 지난해 2800억유로(약 411조원)로 16.6% 증가했으며, 내년엔 3500억유로(약 513조원)까지 25% 늘어날 전망이라고 전했다.

 

영국 국제문제전략연구소(IISS)는 세계 군사력 균형 평가 보고서에서 2023년 세계 각국이 지출한 국방비가 2조2000억 달러(약 2930조원)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로는 9% 증가한 수치다. 특히 중국의 국방비가 29년 연속 늘며 아시아 지역의 43%를 차지했다.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이 높아진 것도 방산주 가치증대의 한 요인이다.

 

특히 각국의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추진을 위한 양적, 질적 투자도 방위산업 성장에서 한몫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오는 5월 우주항공청을 출범하고 2032년 차세대발사체 개발, 달 착륙선 개발 등 우주탐사에 속도를 낸다.

 

골드만삭스는 지난해 말 한국의 방산주 5곳을 콕 찍은 유망투자처로 발표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해 말 "한국은 세계 최대 무기 공급국 가운데 하나"라면서 "글로벌 군수 시장에서 한국 방산주가 차지하는 강력한 입지를 감안할 때 지정학적 위험을 피할 수 있는 좋은 투자처"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한국항공우주(KAI),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등을 기대 종목으로 꼽았다.

 

 

실제로 올들어 국내 방산 관련주는 급등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 들어 3월 말까지 64.2% 올랐고, LIG넥스원(36.7%), 현대로템(064350)(38.3%) 등도 일제히 급등했다. 국내 유일 방산 ETF인 ARIRANG K방산Fn도 같은 기간 25% 이상 상승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

[The Numbers] 제주항공, 3분기 550억원 영업손실…무안공항 참사 여파 '재무리스크'로 휘청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제주항공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55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3883억원에 그쳤고, 환율 상승과 경쟁 심화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올해 3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등 달러 결제 비용이 크게 늘었고, 중·단거리 노선에서 항공사 간의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점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지난해에 비해 일본 노선이 지진설 여파로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하고, 10월에 추석 연휴가 포함된 점도 실적 저하에 한몫했다.​ 재무적 타격은 3분기 실적에만 그치지 않는다. 2024년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부각됐다. 승객과 유족에 대한 보상 한도는 약 1조4720억원(10억 달러 상당)으로 책정됐으며, 이는 비행기 사고 관련 국제 약관인 몬트리올 협약에 따른 최고 한도액이다. 제주항공 측은 초기 예매금액 환불과 더불어, 약 2421억원(1억6500만 달러)에 달하는 단기 차입금 상환 부담까지 겹치며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 위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