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11.0℃
  • 흐림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8.2℃
  • 구름많음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2.2℃
  • 구름많음광주 8.5℃
  • 구름많음부산 13.3℃
  • 흐림고창 9.1℃
  • 흐림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3.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조금금산 8.5℃
  • 흐림강진군 9.3℃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민간 최초 달착륙 '美 인튜이티브 머신스'에 보령그룹 1000만달러 투자…"韓 우주강국 도약에 앞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보령(이하 보령)이 미국 휴스턴에 본사를 둔 민간 기업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한 인튜이티브 머신스(Intuitive Machines, Inc.)에 1000만 달러(한화 약 140억원)의 전략적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보령은 인튜이티브 머신스가 진행한 6,500만 달러 규모의 공모 유상 증자 절차(Underwritten Public Offering)와 연동된 사모 발행(Private Placement) 형태로 신주발행 절차에 참여해 Class A 보통주 95만2381주를 취득하게 된다.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공모 유상 증자 절차에는 보령과 동일한 조건으로 미국의 주요 기금,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이 참여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보령은 인튜이티브 머신스와 2023년 12월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달과 그 주변 환경에서 생명과학 연구에 필요한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어 올해 10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국제우주대회 ‘IAC (International Astronautical Congress)’에서 인튜이티브 머신스가 미 항공우주국(NASA)의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를 위해 제작 중인 달 착륙선과 달 탐사 차량(LTV, Lunar Terrain Vehicle)을 활용해 우주의학 실험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함께 개발하는 사업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보령은 필수적인 우주 인프라를 보유한 선도적인 기업인 인튜이티브 머신스와 2023년 말부터 사업 협력을 논의해왔고, 이번 투자는 전략적 협업을 강화하기 위한 투자라고 설명했다.

 

인튜이티브 머신스는 나스닥 상장사로, 올해 2월 첫 번째 달 착륙선 미션인 ‘IM-1’을 성공시키며 민간 회사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해 화제가 되었고, 2번째 달 착륙선 미션인 ‘IM-2’는 내년 2월로 예정되어 있다. 인튜이티브 머신스는 미 항공우주국(NASA)의 달 탐사 전략과 연계하여 달 인프라를 구축하며 다양한 달 탐사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무인 달 착륙선(Lunar Lander), 달 탐사 차량(LTV), 달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Lunar Network System) 사업 등이 있고, 해당 사업들 모두 미 항공우주국(NASA)으로부터 관련 계약을 수주하여 이를 바탕으로 달 탐사에 필요한 종합 인프라를 제공하는 회사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보령은 “보령의 우주의학 프로그램인 Humans In Space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미 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국(ESA) 등 파트너들로부터 저궤도를 넘어 달, 아르테미스 관점에서 우주의학의 중요성과 그에 대한 수요를 확인했다"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인튜이티브 머신스가 보유한 달 착륙선, 달 탐사 차량(LTV)의 인프라를 활용해 우주 의학 연구를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또 “인튜이티브 머신스는 기술적으로 가장 앞서 있는 달 인프라 전문 기업으로, 이번 투자를 기반으로 향후 대한민국의 신우주강국 도약을 위해 우리나라의 심우주 탐사 임무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모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

[The Numbers] 제주항공, 3분기 550억원 영업손실…무안공항 참사 여파 '재무리스크'로 휘청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제주항공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55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3883억원에 그쳤고, 환율 상승과 경쟁 심화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올해 3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등 달러 결제 비용이 크게 늘었고, 중·단거리 노선에서 항공사 간의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점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지난해에 비해 일본 노선이 지진설 여파로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하고, 10월에 추석 연휴가 포함된 점도 실적 저하에 한몫했다.​ 재무적 타격은 3분기 실적에만 그치지 않는다. 2024년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부각됐다. 승객과 유족에 대한 보상 한도는 약 1조4720억원(10억 달러 상당)으로 책정됐으며, 이는 비행기 사고 관련 국제 약관인 몬트리올 협약에 따른 최고 한도액이다. 제주항공 측은 초기 예매금액 환불과 더불어, 약 2421억원(1억6500만 달러)에 달하는 단기 차입금 상환 부담까지 겹치며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 위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