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테슬라 지금 429달러인데…JP모건, 목표주가 150달러로 상향·투자의견 ‘비중축소’ 고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최대 투자은행 JP모건이 2025년 3분기 역대 최고의 실적을 올린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TSLA)에 대해 목표주가를 기존 115달러에서 15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JP모건은 테슬라의 주가가 여전히 과대평가돼 있다며 투자의견은 ‘비중축소(Underweight)’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Teslarati, Techi.com, Stocktwits, Electrek, MarketBeat, FactSet에 따르면, 이는 테슬라의 주가가 현 시세(약 430~440달러) 대비 66% 가까이 하락할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여타 월가 주요 증권사의 긍정적 전망과는 극명하게 대조된다. 10월 3일 429.83달러로 마감했다.

 

3분기 차량 인도 50만대 육박, “세액공제 종료 전 몰린 수요 덕”


테슬라는 2025년 3분기에 49만7099대의 차량을 인도하며 시장 컨센서스(약 44만3000대)를 12%나 상회했다. 전체 인도량 중 모델3와 모델Y가 48만1166대, 프리미엄 모델군(사이버트럭·모델S·모델X)이 1만5933대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 성장한 수치다.

 

이러한 기록적 실적의 주 요인으로는 미국 연방정부의 친환경차 구매자 대상 7500달러 세액공제가 9월 말 종료된 것이 꼽히고 있다. JP모건은 ‘업계 전반에 걸친 일시적 수요 선매수(temporary industry-wide pull-forward)’가 실적을 견인했다고 진단했다.

 

전기차 구매 희망자들이 기존 세금혜택 만료를 앞두고 차량 구매를 대거 앞당기면서, 단기적으로 테슬라를 비롯해 포드와 GM 등 미국 내 다른 완성차 업체들도 동반 호조를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속가능한 성장 확신 이르다”…JP모건은 왜 신중한가

 

JP모건은 테슬라의 분기 실적 급등에도 불구하고, 정작 장기 성장성에는 신중한 전망을 고수한다. JP모건 측은 “현재의 수치는 세액공제 만료에 따른 일시적 특수가 작용한 결과로, 테슬라가 본업에서 지속적으로 성장세로 복귀했다고 단언하기엔 시기상조”라고 지적했다. 향후 분기 실적 전망치도 추가로 긍정적 조정될 가능성은 낮다고 덧붙였다.

 

실제 테슬라의 3분기 주당순이익(EPS)은 0.59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으나 월가 전망치(0.50달러)는 웃돌았다. 테슬라의 올해 누적 주가 상승률은 약 8%, 전년 동기 대비 83% 급등했으나, 세액공제 종료 후 수요 하락 우려와 이익 성장 둔화가 동반되며 최근 주가는 실적 발표 이후 반락세를 보이고 있다.

 

목표주가와 평가는 ‘극과 극’…AI·로보틱스 기대 여전


JP모건이 내놓은 150달러 목표가는 동종업계 다른 투자은행들과 확연히 대조된다. 웨드부시(Wedbush)는 최근 테슬라의 인공지능(AI)·로보틱스 잠재력을 강조하며 목표가를 600달러로 대폭 상향했고, 로버트 W. 베어드 등도 548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아웃퍼폼’ 등급을 부여했다.

 

아웃퍼폼(outperform)이란 특정 주식의 상승률이 시장 평균보다 더 클것이라고 예측하기 때문에 해당 주식을 매입하라는 의견이다. "중립(neutral)"보다는 강하지만 "매수(buy)"나 "강력매수(strong buy)"보다는 약한 매수의견으로 보면 된다.

한편 팩트셋 기준 테슬라에 대한 애널리스트 평균 목표가는 343~348달러 수준에 형성돼 있으며, 투자 의견 분포는 ‘중립’에 머무르고 있다.

 

테슬라, 본업 너머 미래 성장 동력은?


JP모건 보고서가 자율주행, 에너지 저장장치, 로보틱스 등 테슬라 미래사업의 확장성에 대한 평가는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최근 Wedbush 등은 이 분야에서 테슬라의 잠재력이 AI 드라이브 시대의 혁신동력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테슬라가 저가형 모델 발표와 함께 에너지·자율주행 등 신사업의 본격 출시에 따라 향후 실적 및 주가 흐름이 재차 탄력 받을 수도 있다는 시각도 공존한다.

 

테슬라는 2025년 10월 22일 3분기 전체 실적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어서, 미래 기대감과 펀더멘털 간의 힘겨루기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아스트라제네카, AI 접목 CRISPR 유전자 편집에 5억5500만 달러 투자…"면역질환 신약 개발 가속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영국-스웨덴 제약 대기업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바이오 스타트업인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Algen Biotechnologies)와 5억5500만 달러(한화 78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CRISPR 유전자 편집 치료제 개발에 착수했다. 로이터, 비즈니스와이어, 프리스탁, 마켓앤마켓, 프리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아스트라제네카는 알젠의 AI 기반 유전자 편집 플랫폼에서 도출되는 치료제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했다. 알젠은 초기 지급금과 개발·규제·상업적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최대 5억5500만 달러를 수령한다.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 제니퍼 도우드나(Jennifer Doudna)의 버클리 연구실에서 분사한 기업으로, AI와 CRISPR 기술을 접목한 ‘알젠브레인(AlgenBrain)’ 플랫폼을 통해 수십억 건의 RNA 변화를 모델링하며 질병 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정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 유전자 치료 타깃 발굴을 가속화하고, 신약 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이번 협력은 면역계 질환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으며, 아스

[이슈&논란] 구글코리아, 법인세는 '찔끔' 유튜브 가격인상은 '왕창'…네이버와 형평성 문제·세원 잠식 '논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빅테크 구글코리아가 네이버 등 국내 경쟁사 대비 현저히 낮은 법인세만 납부하면서, 동시에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은 최근 5년간 무려 71% 넘게 인상했다는 지적이 거세지고 있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가 실제 납부한 법인세는 172억원(1720만 달러)으로, 네이버의 3902억원에 비해 4% 수준에 불과하다. 구글코리아는 지난 한 해 최대 11조30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는 학계 추정과 달리, 공식 매출은 3869억원만 신고했다. 국내 데이터 트래픽 점유율은 31.2%로 네이버(4.9%)의 6배가 넘는 반면, 매출과 세금 신고는 터무니없이 낮아 ‘세원 잠식’ 논란이 거세다. “최대 11조원 매출…실납부세액은 172억원, 네이버의 4%” 가천대 전성민 교수 연구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의 실질 매출은 최대 11조3000억원~최소 4조836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네이버의 평균 법인세율(5.9%)로 적용하면 납부세액은 6000억원대를 훌쩍 넘겼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구글코리아의 실제 신고 매출은 3869억원, 법인세 납부액은 172억원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