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경찰이 한화솔루션(대표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계열사 한화NxMD가 충남 천안에 본사를 둔 벤처기업 CGI의 방열제품 기술을 무단 활용, 영업비밀 침해 혐의로 고소당한 사건을 강제 수사 중이다.
2일 업계와 소식통에 따르면, 경찰은 한화솔루션과 한화NxMD, 협력업체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하며, 관련 자료와 임원진 소환 조사에 나설 계획이다.
CGI 측은 "4개월간의 M&A 실사과정에서 한화 측이 기술자료를 확보한 뒤 인수 무산 이후 6개월 만에 자회사를 설립해 1년 반 만에 방열제품 양산에 성공, 통상 100억원 이상 투자되는 개발과정을 건너뛰었다"며 기술 탈취 의혹을 제기했다.
반면 한화솔루션은 "당시 실사 자료를 모두 폐기했으며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논문 등 공개된 기술을 기반으로 제품을 개발했다"며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경찰은 CGI가 제출한 고소장을 바탕으로 한화NxMD 설립 전후 과정, 임원진 기용 적절성 등을 조사 중이다.
이 사건은 김동관 부회장이 대표이사로 있는 한화솔루션이 고소당한 사건이라는 점에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한화NxMD 임원들이 CGI와 삼성전자 협력 당시 관련 업무를 담당한 경력자라는 점도 의혹을 더한다. 한화솔루션은 제3의 기관을 통한 기술 검증을 제안했으나 벤처기업은 최초 설계도와 생산 공장에 대한 직접 확인을 요구하며 맞서고 있다.

한편, 이번 의혹 보도에 대해 한화그룹 측은 A매체에 기사 삭제 및 수정 요구를 광고 집행 조건으로 내걸어 언론 자유 침해 논란까지 불거졌다.
한화 홍보팀은 기사 삭제를 집요하게 요구했고, 삭제가 불가하자 한화그룹 B상무는 연간 2000만원 광고를 미끼로 기사에 ‘김동관’과 ‘한화’ 명칭 삭제를 요구했다. 언론학자들은 이를 심각한 재갈 물리기 시도로 규정하며 강력 비판했다.
이번 사안은 대기업의 중소기업 기술 탈취 문제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미 한화솔루션이 다른 중소기업과의 태양광 관련 기술 탈취 소송에서 2심 법원이 중소기업 측 손을 들어주는 판결을 내리는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의 기술 탈취 분쟁이 사회적 이슈로 부상 중이다.
중기벤처부는 기술자료와 영업비밀 침해 소송 시 법원 지정 전문가가 현장을 조사하는 ‘한국형 증거개시 제도’ 도입과 손해배상 현실화 등에 나서고 있고, 국회에서도 김종민 의원이 기술탈취 예방을 위한 법개정안을 발의한 상태다.
한 경찰 관계자는 “현재 두 업체 간 주장이 엇갈리고 수사 중인 사안이라 자세히 밝히기 어렵다”면서 “증거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한화 측 관계자들을 소환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화솔루션은 적극적인 수사 협조 의사를 밝히고 있으나, 수사가 길어질 경우 기업 이미지와 경영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어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