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3.5℃
  • 맑음강릉 7.2℃
  • 맑음서울 8.0℃
  • 맑음대전 5.5℃
  • 맑음대구 5.3℃
  • 맑음울산 9.0℃
  • 맑음광주 9.0℃
  • 맑음부산 12.0℃
  • 맑음고창 4.8℃
  • 맑음제주 12.3℃
  • 구름조금강화 5.1℃
  • 구름조금보은 2.5℃
  • 맑음금산 3.1℃
  • 맑음강진군 4.9℃
  • 맑음경주시 4.5℃
  • 맑음거제 8.9℃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The Numbers] 폴스타, 나스닥 상장폐지 위기 속 1대30 역주식 분할 단행…매출 증가에도 손실 확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스웨덴 전기차 제조업체 폴스타(Polestar)는 미국예탁주식(ADS) 30주를 1주로 통합하는 역주식 분할을 단행한다고 11월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발표 직후 주가는 12.2% 급락했으며, 2022년 상장 이후 주가는 95% 이상 하락한 상태다.​

 

이는 나스닥 상장 유지 요건인 최소 주가 1달러 이상을 달성해 상장폐지를 피하기 위한 조치다.

 

Reuters, MarketScreener, The Driven, Electric Vehicles에 따르면, 이번 역주식 분할은 기존 주식 30주를 1주로 합쳐 주가를 기계적으로 약 30배 높이는 효과가 있지만, 회사의 전체 시가총액과 투자자 지분 비율에는 변동이 없다. 폴스타의 클래스 A ADS는 기존대로 PSNY 기호로 나스닥에서 거래된다.

 

이번 조치는 지난 10월 나스닥으로부터 10거래일 연속 주가가 1달러 미만으로 유지된 데 따른 공식 상장폐지 통보(디리스팅 워닝)를 받은 데 따른 후속 조치다. 폴스타는 2026년 4월 29일까지 주가를 1달러 이상으로 회복하지 못하면 상장폐지가 이뤄질 수 있으며, 이후 추가로 180일의 유예기간이 부여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2년간 주가가 꾸준히 1달러 이하에 머물고 있으며, 11월 14일 기준 종가는 0.67달러 선에 머물러 있다.​

 

재무 성과를 살펴보면, 폴스타는 11월 12일 밝힌 3분기 실적에서 3억6500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해 지난해 동기 3억2300만 달러보다 손실 규모가 커졌다. 매출은 7억4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으나, 월가의 예상치(8억5000만 달러)에는 미치지 못했다. 매출 성장은 주로 판매량 증가와 프리미엄 모델인 폴스타 3, 폴스타 4의 판매 확대로 설명된다.​

 

손실 확대의 원인으로는 미국 내 전기차 가격 압박, 관세 상승, 북미 시장에서의 잔존 가치 보증 관련 비용 증가 등이 지목된다. 특히 폴스타는 리스 차량의 재판매 가치가 약속된 수준보다 떨어질 경우 차액을 보전하는 잔존 가치 보증 부담이 커지면서 비용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

 

이 외에도 판매와 생산 비용 증가도 손실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 2025년 1~9월 누적 순손실은 15억6000만 달러에 달하며, 이 중 7억3900만 달러는 2분기에 계상된 폴스타 3 SUV 관련 비현금성 감손차손에서 비롯됐다.​

 

폴스타는 미국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및 내연기관 차량 선호가 강해지면서 유럽 시장에 더욱 기대를 걸고 있으며, 지난 2월부터 온라인 판매 외에도 볼보 딜러 네트워크를 통한 판매 확대를 시도 중이다. 마이클 로쉘러 CEO는 “도전적인 시장 환경 속에서 조직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를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폴스타는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주가 부진과 상장폐지 위기라는 난관에 직면해 있다"면서 "나스닥 상장 폐지를 피하기 위한 역주식 분할 조치가 단기 모멘텀을 제공할 수 있으나, 전기차 시장의 치열한 경쟁과 비용 부담 해소가 향후 관건이다"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이재용 8년 비상경영 끝내고 ‘뉴삼성’ M&A 속도전...글로벌 전장·AI·반도체 시장 주도권 공략 '잰걸음'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8년간 이어온 비상경영 체제를 마무리하고, 대형 인수합병(M&A)을 재가동하며 ‘뉴삼성’ 재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7년간 멈춰 있었던 대규모 M&A 활동을 올해부터 다시 적극 추진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1월 7일 임시 조직이던 사업지원TF를 상설 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격상했으며, 13일에는 전사적 M&A 전담팀을 신설하면서 중장기적인 투자와 사업 재편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사업지원실은 전략팀, 경영진단팀, 피플팀 등 3개 팀 체제에서 M&A팀이 추가되어 총 4개 팀 체제로 운영된다. M&A팀장은 2017년 약 80억 달러 규모 하만 인수를 이끌었던 안중현 사장이 맡아 신사업 개척과 글로벌 빅딜 추진을 총괄한다. 사업지원실장에는 재무·전략 전문가인 박학규 사장이 임명됐다. 그는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과 DS부문(반도체·디스플레이) 경영지원실장을 거친 기획과 운영 전문가로, 안정적인 비상경영 체제에서 공격적 변환과 확장을 설계하는 ‘뉴삼성’의 중심이 될 것으로 평가받는다. 반면 이 회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던 정현호 부회장은 회장 보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