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6일(현지시간) 미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CNBC, 유튜브]](http://www.newsspace.kr/data/photos/20241251/art_17344836026714_1c5850.jpg)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역시 손(孫)은 빨랐다. 게다가 일본의 한발 앞선 투자계획도 놀라울 따름이다.
손정의(孫正義·일본명 손 마사요시)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임기 중인 향후 4년간 미국에 1000억 달러(143조60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16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과 미 CNBC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손 회장은 이날 미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있는 트럼프 당선인의 마러라고 자택에서 공동 연설을 통해 "투자 결정은 트럼프가 지난달 대선에서 승리한 데 따른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미국 경제에 대한 내 확신은 엄청나게 올라갔다. 1000억 달러와 10만개의 일자리를 미국에 투자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이어 "투자를 통해 인공지능 및 인프라 구축과 관련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끝나기 전 자금이 모두 투입될 예정이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당선인도 손 회장을 소개하면서 8년 전 1기 행정부 당시에도 소프트뱅크가 미국에 500억 달러를 투자하고 5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한 약속을 언급했다. 1기때보다 딱 2배의 투자금과 일자리 창출을 약속한 셈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소프트 뱅크는 실제 그렇게 했고, 모든 면에서 그 약속을 지켰다"며 "이번 투자도 미국의 미래에 대한 엄청난 확신의 증거"라고 강조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발표는 경제 활성화를 대선 캠페인의 핵심으로 내세운 트럼프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는 최근 미국에 10억달러 이상을 투자하는 모든 기업이 패스트트랙(신속 심사)을 받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로이터는 "소프트뱅크가 어떤 방식으로 자금을 지원할지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진 않았지만, 내년 1월 20일 시작되는 임기 동안 미 경제를 강력하게 만들고 인플레이션을 완화하겠다는 트럼프 당선인의 공약과 맞아 떨어진다"고 긍정 평가했다.
CNBC는 "투자금은 트럼프 임기가 끝나기 전에 집행될 것"이라며 "자금은 비전펀드, 자본 프로젝트 또는 소프트뱅크가 대주주로 있는 반도체업체 암홀딩스 등 다양한 출처에서 조달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12월 1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중간)의 자택인 플로리다 팜비치의 마러라고에서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오른쪽)의 10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 발표에 이어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CNBC]](http://www.newsspace.kr/data/photos/20241251/art_17344836031441_5b52c1.png)
특히 영국 파이낸셜 타임즈(FT)의 전 편집국장인 라이오넬 바버는 이날 VOA에 "손 회장이 트럼프 자택에 나타난 것은 국제 투자자가 차기 미 대통령의 호감을 사려는 것 이상의 신호라고 생각한다"면서 "손 회장이 2016년에 500억 달러 투자를 약속했을 때도 트럼프와 이해관계가 완전히 일치했다"고 논평했다.
그는 "트럼프는 자신의 정책에 대한 강력한 신뢰를 원했고, 손 회장은 미국 통신 사업인 '스프린트'와 독일 도이치 텔레콤이 소유한 다국적 무선 통신 회사 '티-모바일(T-Mobile)'을 인수·합병한 자신의 사업을 위해 새 공화당 행정부와 협력하길 원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지금은 더 큰 무언가가 작용하고 있으며, 8년이 지난 지금은 전 세계가 전쟁을 치르고 있다. 손 회장은 소프트뱅크가 중국과 서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일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