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8.9℃
  • 흐림서울 3.2℃
  • 구름조금대전 6.6℃
  • 맑음대구 9.5℃
  • 연무울산 11.2℃
  • 맑음광주 8.7℃
  • 연무부산 13.6℃
  • 구름조금고창 8.0℃
  • 흐림제주 13.5℃
  • 구름많음강화 2.0℃
  • 구름조금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6.7℃
  • 구름조금강진군 9.6℃
  • 맑음경주시 10.6℃
  • 맑음거제 13.4℃
기상청 제공

빅테크

[이슈&논란] SEC·리플, 5년 만에 ‘XRP 분쟁 종결’ 공식 합의…가상화폐 시장에 새 바람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 랩스(Ripple Labs)가 2025년 8월 7일(현지시각) 미국 제2순회항소법원에 공동 합의서를 제출, 각각의 항소를 취하하며 지난 2020년 12월부터 이어진 XRP(리플)의 규제 분쟁을 공식적으로 종료했다고 Cointelegraph, Coindesk, BraveNewCoin, Yahoo Finance 등이 일제히 보도했다.

 

양측은 소송 비용과 수수료를 각자 부담하기로 했으며, 더 이상의 법적 절차는 없을 전망이다.

 

5년간의 역사적 분쟁, 판결과 수치로 정리

 

SEC는 2020년 리플이 XRP 토큰을 활용해 약 13억달러(한화 약 1조8000억원) 규모의 미등록 증권 공모를 실시했다고 고발했다. 이후 미국 뉴욕 연방지방법원의 Analisa Torres 판사는 2023년 7월, 리플의 XRP 기관 투자자 직접 판매가 미등록 증권에 해당된다고 판단해 1억2503만5150달러의 민사 벌금과 영구 인준(영구 명령)을 부과했다.

 

반면, 소매 투자자를 위한 공개 거래소 판매는 증권거래로 간주하지 않았으며, 이는 토큰 규제법의 분기점을 제시한 획기적 판결로 평가받는다.

 

법적 합의와 시장 반응

 

이번 합의로 리플은 이미 현금으로 1억2500만달러의 벌금을 에스크로(조건부 예치) 형태로 납부했음이 SEC 전 집행 변호사 마크 파겔(Marc Fagel)에 의해 확인됐다. 벌금은 XRP 토큰이 아니라 명백히 법정화폐로 납부됐으며, 이는 미국 내 기업 대상 암호화폐 제재 중 가장 높은 규모 중 하나다.

 

합의 발표 직후 XRP 가격은 5~11% 급등해 최대 3.29달러를 기록했고, 사건 종료 후 투자자들의 규제 명확성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했다. 2025년 상반기 XRP는 1.79달러에서 3.56달러까지 상승하며 시장의 관심을 받은 바 있다. 이번 판결로 암호화폐 시장 내 기관과 소매 투자 사이의 법적 경계가 명확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새로운 암호화폐 규제 환경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SEC 대행 마크 우에다(Mark Uyeda)의 지휘 하에 최근 6개월 동안 SEC는 12건 이상의 암호화폐 관련 소송을 철회했다. SEC는 기술적 사안이나 투자자 피해가 없는 사안에 대해서는 종결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기관 대비 소매 투자자 보호에 방점을 두는 기조로 전환했다.

 

리플의 법무총괄 Stuart Alderoty는 “끝…이제 본격적으로 사업에 복귀한다”고 X에서 밝히며, 회사의 전략적 재도약을 공식화했다.

 

향후 전망과 의미

 

이번 판결은 미국 디지털 자산 규제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해석된다. 리플은 1700개 이상의 글로벌 기관과 비공개 파트너십 협상을 진행할 수 있는 법적 안정성을 확보했으며, 시장 참가자들은 ETF 상장, 기관 투자 확대 등 추가적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향후 판례는 기타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SEC 대응 전략 및 미국 규제 지형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가상화폐 업계 법률 전문가들은 “최종 합의로 XRP의 규제·법적 지위가 명확해지면서, 암호화폐 산업 전반의 성장과 투자 심리 개선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혈당을 넘어 당뇨병 합병증 근본 해결"…NYU 연구진, 염증 원천 표적하는 혁신 약물 RAGE406R 개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미국 뉴욕대학(NYU) 랭곤 헬스 연구진이 혈당 조절과 무관하게 당뇨병 합병증의 근본 원인을 표적하는 혁신적 저분자 화합물 RAGE406R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 약물은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염증과 조직 손상, 특히 상처 치유 지연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2025년 11월 14일 생화학 분야의 권위지 ‘Cell Chemical Biology’에 발표됐다.​ 현재 당뇨병 치료제는 주로 혈당 수치를 낮추는데 집중되어 있으나,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만성 염증과 같은 합병증에 직접 작용하는 치료법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 RAGE406R은 당뇨병 환자의 세포 내에서 염증 신호를 촉발하는 RAGE(최종당화산물 수용체)와 DIAPH1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기전으로 작동한다. 이 상호작용이 억제되면서 염증 매개물질 CCL2의 분비가 현저히 줄어들어 대식세포 내 염증 반응이 완화됐다.​ 특히, 비만형 제2형 당뇨병 생쥐에 국소 적용된 실험에서 RAGE406R은 상처 치유 속도를 대폭 높여, 치유 지연으로 고통받는 당뇨환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증명했다. 남녀 당

[빅테크칼럼] 테슬라, 美 전기차 생산서 중국산 부품 전면 배제…"미중갈등 지정학 리스크 대응차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전기차 선두주자 테슬라가 미국 내 생산 전기차에 사용되는 부품에서 중국산을 전면 배제하는 전략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는 미·중 간 고조된 지정학적 긴장과 무역 분쟁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평가받는다. 월스트리트저널, 로이터, CBS, 배터리테크온라인, 테슬라매그에 따르면, 테슬라와 주요 공급업체들은 이미 미국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 들어가는 일부 중국산 부품을 현지 혹은 타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대체했으며, 앞으로 1~2년 내에 모든 중국산 부품을 중국 외 지역에서 조달한 부품으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같은 결정은 2025년 초 확정됐으며, 공급망 다변화의 일환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국산 부품 수급 차질 경험과 올해 들어 미국 정부가 중국산 품목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영향이 컸다.​ 특히 테슬라가 대체에 가장 난항을 겪는 부문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다. 기존에 중국 CATL이 주요 공급사였던 LFP 배터리는 미국 내 판매 차량의 세액공제 대상에서 중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이 제외되면서 사용이 중단됐다. 이에 테슬라는 네바다주에 10GWh 규모의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