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0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이슈&논란] 트럼프家 두 아들, 美 제조업체 인수합병 '시동'…3억 달러 SPAC 신청 "아빠 카드 논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에릭 트럼프가 주도하는 3억 달러(약 4200억원) 규모의 특수목적 인수회사(SPAC) ‘뉴 아메리카 어퀴지션 코퍼레이션(New America Acquisition Corp.)’이 미국 제조업 심장부 공략에 본격 나섰다.

 

2025년 8월 SEC(미 증권거래위원회) 제출 서류와 USAToday, Forbes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 SPAC은 자본금 3억 달러 유치 후, 기업가치 최소 7억 달러 이상인 미국 내 제조업체 인수·합병(M&A)을 추진하며 산업 생태계와 핵심 공급망 강화, 혁신 시스템 확대를 직접 목표로 삼는다.

 

플로리다 본사, 뉴욕증시 상장 추진…창립자 주식 500만 주 무상할당


플로리다에 본사를 둔 이 SPAC은 개당 10달러씩 3000만 단위(유닛) 공모로 NYSE(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을 추진한다. 창업주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에릭 트럼프는 자문위원회에 합류, 각각 200만주, 300만주 등 총 500만주 창립자 지분을 확보했다. 이는 M&A 성사 시 상당한 평가차익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다.

 

미디어·기술 베테랑 등 경영진 전진 배치


케빈 맥건(전 T-Mobile 광고·Vevo 사장)이 CEO·회장·CFO를 겸임, 도미나리 홀딩스의 카일 울이 자문에 참여하는 등 미디어·금융 인맥이 포진했다. 도미나리 시큐리티즈, D. 보랄 캐피털 등이 공동 주관사로 발빠르게 움직인다.

 

제조업·첨단기술 M&A 타깃…‘트럼프노믹스 2.0’ 실험장


뉴 아메리카 어퀴지션 코퍼레이션은 “미국 제조업 부흥, 혁신 생태계 확장, 공급망 안보 강화에 기여하는 업체에 초점을 맞출 것”임을 거듭 강조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 관세정책–중국산 최대 125%·전 수입품 기본 10%–및 생산기지 리쇼어링(pegged re-shoring) 전략과 맥을 같이 한다.

 

2025년 상반기 이후 미국은 관세 및 인센티브 정책 강화로 제조업 투자 유입을 노리고 있다.

 

"미국 철강산업이 곧 국가안보"…美 업계 호응과 불확실성 교차

 

뉴코어(Nucor) 등 대형 철강사는 트럼프식 관세 기조를 환영하며, 실적 호조·수주잔고 사상 최대 등을 강조한다. 레온 토팔리안 CEO는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정책 첫걸음을 환영한다”며 “산업 체질 강화의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공식 입장을 냈다.

 

반면, 제조업 전반의 생산비는 2~4.5% 상승, 연속적 관세로 인한 고용 둔화·불확실성도 적지 않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2025년 5~6월 제조업 순고용은 1만4000명 감소, 신규 공장투자 발표는 증가했으나 실질 고용창출 효과는 시차·혼선 등으로 지연되고 있다.

 

트럼프家 SPAC의 명암…트루스 소셜·총기유통 등 ‘엎치락뒤치락’


트럼프 가족의 SPAC 진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트루스 소셜의 모회사 TMTG는 이미 SPAC 합병으로 상장,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가치가 1일 만에 2.3억 달러→6.4억 달러로 껑충했으나, 주가 급락으로 최근에는 2.6억 달러에 그치는 등 변동성이 큰 모습을 보였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투자한 Grab-a-Gun(총기 이커머스)도 상장 후 20% 이상 하락하는 등 ‘화려한 데뷔-조정장세’ 패턴이 반복되고 있어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美 혁신의 기로, SPAC이 산업정책의 미래 가를 시험장


정치와 자본시장이 맞닿는 미국 특유의 SPAC 활용, 그리고 정책 아젠다와 투자활동의 결합이 이번 트럼프家 제조업 SPAC에서 가장 극적으로 드러난다.

 

스타트업과 전통 제조업체, 테크·로지스틱스·헬스케어 등 광범위한 M&A가 가능한 ‘투자형 보호무역’을 현실로 변모시키는 구조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美에너지부에 슈퍼컴 7대 구축·6G 통신 추진…미국내 반도체 리더십 강화 기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그래픽처리장치(GPU) 선도기업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와 긴밀한 협력 아래, 첨단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와 차세대 6G 통신망 구축을 추진하며 미전역의 첨단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최초의 개발자 행사(GTC)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장과 미국 내 반도체·통신 산업 회복을 동시에 노리는 모양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0월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발자행사(GTC) 기조 발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AI 슈퍼컴퓨터 구축으로 핵심 연구 역량 강화 엔비디아는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인 아르곤 국립연구소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 quantum 기반 AI 슈퍼컴퓨터 7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슈퍼컴퓨터들은 각각 강력한 연산 능력을 갖춘 양자컴퓨팅 시스템으로, 핵무기와 핵 에너지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며, 미국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의 핵심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황 CEO는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역량을 에너지 증진과 국방 강화를 동시에 지원하는 '게임체인저'"라고 평가했다. 6G 통신망

[빅테크칼럼] 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재료로 변신…"탄소화 기술로 환경·에너지 두마리 토끼 사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적으로 매년 3억9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 중 약 9%만이 재활용되고 있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심각한 환경 이슈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첨단 탄소화 기술의 발전으로 폐기된 플라스틱을 차세대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용 고성능 탄소 기반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적 방법들이 속속 공개되면서 플라스틱 문제를 에너지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길이 열리고 있다.​ EurekAlert, sciencedaily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광저우 에너지 전환 연구소의 Gaixiu Yang 박사가 주도한 연구는, 플라스틱에서 탄소를 회수해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등 다양한 고기능성 탄소 소재로 변환하는 여러 탄화 기술을 총망라했다. 특히 플래시 줄 가열(flash Joule heating) 기술은 킬로그램당 0.1kWh 미만의 낮은 에너지 소비로 밀리초 단위에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그래핀으로 전환하며, 촉매 없이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도 가공 가능해 매립 플라스틱 처리에 적합하다.​ 이같은 폐플라스틱 유래 탄소 소재들은 단순히 폐기물 저감 효과에 그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성능 측면에서도 탁월한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