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저커버그의 이상한 부업… 3000억원 투자 '와규 스테이크'에 맹비난

"세계 최고급 소고기"…저커버그 '스테이크 먹방'에 조롱·비난 쇄도

스테이크 먹는 사진 올린 마크 저커버그. [저커버그 페이스북]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기이한 행동은 천재들의 일상적인 습관일까. 미국 빅테크기업들의 천재형CEO들의 별난 괴짜행동들이 또 논란이다. 일론 머스크가 아니라 이번엔 저커버그 얘기다.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 플랫폼의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가 스테이크를 먹는 사진을 올린 후 거센 역풍을 맞고 있다. 환경을 생각하지 않는 행동이라는 비판이 쏟아진 것.이다.

 

마크 저커버그는 지구 종말을 대비한다며 하와이에 지하벙커 등 시설을 갖춘 대규모 복합단지를 짓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이곳에서 소를 사육할 계획을 밝혀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저커버그는 10일(현지시간) 자신의 페이스북에 "하와이 카우아이섬 목장에서 소를 키우기 시작했다. 목표는 세계에서 가장 좋은 품질의 소고기를 생산하는 것"이라며 레스토랑에서 스테이크를 먹는 사진을 공개했다.

 

그는 "이 소들은 와규와 앵거스 종으로, 목장에서 직접 재배한 마카다미아를 먹고 맥주를 마신다"며 "소 한 마리당 매년 5000~1만 파운드(약 2260∼4500㎏)의 먹이를 섭취하기 때문에 마카다미아 나무가 많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내 딸들이 마카다미아 나무를 심고 동물들을 돌보는 일을 돕고 있다"며 자신의 딸이 마카다미아 나무를 심기 위해 구멍에서 흙을 퍼내는 모습을 담은 사진을 공유하기도 했다.

 

저커버그는 "아직 시작 단계지만 매 계절 발전하는 것이 즐겁다. 내 프로젝트 중 가장 맛있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관련 조사에 따르면 소들이 마카다미아와 맥주를 먹고 자라는 저커버그의 농장은 지하 벙커와 에너지 시설 등을 갖추며 1억 달러(1300억원) 규모로 추산됐다. 그는 1400에이커(약 5.7㎢) 규모 토지를 매입하는 데 1억7000만 달러(약 2200억원)를 투입했다고 전해진다.

 

토지매입과 농장시설비까지 합치면 3000억원이 훨씬 넘는다. 자급자족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이 공간은 물탱크와 펌프 시스템이 있고 단지 내 농장·목장에서 이미 식품을 생산한다는 보도도 나왔다.

 

저커버그가 이 같은 내용을 올리자 환경 단체들이 일제히 비판했다. 환경단체 푸드 앤(&) 워터 워치의 미치 존스 정책국장은 "재배에 물이 많이 들어가는 마카다미아너트와 맥주로 소를 기른다는 것은 억만장자의 이상한 부업"이라며 "식량 시스템의 불평등과 지구온난화라는 현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진정한 농업 개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우리는 부유한 유명인뿐 아니라 모두에게 식량을 공급하는 중소 농장의 생존 능력을 높여야 한다"고 비판했다.

 

또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인 앤드루 그린버그는 메타의 경쟁 플랫폼 X(엑스·옛 트위터)에서 저커버그에게 "당신이 자랑스럽다. 인간에게 가능한 한 가장 큰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방식으로 입에 음식을 넣는 꿈을 이뤘다"고 조롱했다.

 

또 동물권단체 PETA의 샬린 갈라는 "마크 저커버그는 이제 하와이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소를 키우고, 맥주를 먹인 다음 죽이기 시작했다"며 "마크, 중세 암흑시대가 전화를 걸어 당신이 돌아오길 원한다"고 꼬집었다.

 

한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등은 소 한 마리는 하루에 500ℓ의 메탄을 배출하는데, 이는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7%를 차지한다. 소가 트림하면서 배출하는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28배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어 2019년 유엔과 IPCC는 기후변화를 막을 방법 중 하나로 육류 소비 줄이기를 제안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오픈AI 샘 올트먼, '머지랩스'로 머스크 '뉴럴링크'에 도전장…AI 활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경쟁 '후끈'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일론 머스크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와 정면 경쟁을 벌일 새로운 벤처기업 '머지 랩스(Merge Labs)'를 공동 설립하고, 총 2억5000만 달러(약 345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나선다. 파이낸셜타임스, 테크크런치, 쿼츠등의 보도에 따르면, 머지 랩스는 현재 약 8억5000만 달러(약 1조1700억원) 가치로 평가받고 있으며, 대다수 투자금은 오픈AI의 벤처팀이 부담할 예정이다. 올트먼은 일상 경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고 공동 설립자이자 주요 후원자로서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머지 랩스는 첨단 AI 기술을 활용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구축, 인간의 뇌와 기계를 더욱 원활하고 고도화된 방식으로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뉴럴링크가 2016년 창립된 후 첨단 뇌 이식 칩을 개발해 주로 직접 뇌에 이식하는 방식을 추진하는 것과 달리, 머지 랩스는 덜 침습적인 방법을 모색하며 AI를 적극 결합해 뇌 신호 해독과 컴퓨터 상호작용을 혁신적으로 확장하는 데 집중한다. 뉴럴링크는 최근 60억 달러 이상 투자 유치와 함께 이미 인간 임상시험을 진행하며, 중증 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