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마이크로소프트, 800억 달러 AI 인프라 투자로 오픈AI 의존 탈피…"AI 자립 선언”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2025 회계연도에 무려 800억 달러(약 108조원) 규모의 AI 인프라 투자를 단행하며, 오픈AI(OpenAI) 의존에서 벗어나 자사 첨단 인공지능 역량을 직접 키우려는 강력한 전략적 방향 전환에 나섰다. 이번 투자는 단일 기업 기준 역대 최대 AI 인프라 투입액으로, 미국 내 총 회사 투자액의 50%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CNN, CNBC, Reuters, AIbase, Techbuzz, Lucidity Insights, Statista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가 계획 중인 신규 컴퓨팅 클러스터는 지금까지 자사의 MAI-1-preview 모델 훈련에 사용된 1만5000개 엔비디아(Nvidia) H100 GPU보다 6~10배 큰 규모로, 글로벌 경쟁사인 구글(Alphabet), 메타(Meta), 일론 머스크의 xAI가 개발하는 첨단 AI 모델과 동등한 수준의 인프라를 목표로 한다.

 

실제로 메타와 구글, xAI 등은 10만~15만개에 달하는 GPU 클러스터로 AI 훈련을 진행해왔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그간 오픈AI에 대한 기술 및 인프라 의존도를 줄이고, 자사 AI 기술을 프런티어 경쟁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위기감과 의지를 그대로 반영한다.

 

AI 인프라 시장의 투자 경쟁도 사상 최고조다. 2025년 기준 아마존(Amazon)이 약 1000억 달러, 구글(Alphabet) 850억 달러, 메타(Meta) 650억 달러, 마이크로소프트가 800억~1200억 달러를 투입해 전 세계 빅테크 4개사가 AI 인프라에만 총 3640억~4000억 달러를 지출할 전망이다.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 주가는 AI 인프라 확대와 클라우드 실적 덕분에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의 시가총액은 4조 달러를 돌파했다. 핵심 경쟁사는 AI 칩 클러스터의 대형화와 맞춤형 기술 경쟁으로 진화하는 중이다.

 

이번 투자와 맞물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와의 전략적 관계도 재편했다. 2025년 9월 비구속적 양해각서(MOU) 체결로 오픈AI는 이젠 마이크로소프트 독점 구조를 벗어나 자본 유치 및 사업 확장에 더 큰 자유를 갖게 됐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체 멀티모델 AI 전략 아래 첫 번째 독자 모델(MAI-Voice-1, MAI-1-preview)을 올 8월 선보였다. MAI-Voice-1은 단일 GPU에서 1초 내에 고품질 오디오를 생성, Copilot Daily 팟캐스트를 비롯한 서비스에 적용 중이고, 텍스트 기반 MAI-1-preview는 벤치마크 사이트 LMArena에서 13위를 기록했다. 뿐만 아니라, 구글 등에서 우수 평가받는 앤트로픽의 클로드(Claude) 모델도 Office 365에 도입해 독자 및 외부 모델을 융합해 활용하는 전략으로 전환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AI 독립을 위한 기술 내재화에 속도를 내는 또 한 가지 방법은 맞춤형 반도체다. 최근 공개된 Maia 100 AI 가속기는 1050억 트랜지스터를 탑재해 Nvidia 의존도를 줄이고, ARM기반 Cobalt 100 서버용 CPU는 일반 클라우드 업무에서 40% 높은 에너지 효율을 제공한다. 이처럼 칩 수직 계열화를 추진하면서 AI 모델 효율성 강화 및 비용 절감, 생태계 확장까지 노리는 셈이다.

 

마이크로소프트 AI 무스타파 술레이만(Mustafa Suleyman) CEO은 사내 타운홀 미팅에서 “전 세계적 수준의 첨단 AI 모델을 직접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며, 파트너십 이점과 내부 역량 균형의 필요성을 직접 언급했다.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CEO 역시 “실용주의를 바탕으로 다양한 모델을 활용하되, 궁극적으로 AI 독립을 위한 인프라 확장에 회사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산업 전문가들은 이러한 전략 전환을 ‘AI 자립’ 시대의 서막으로 평가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200억 몸값 AI 천재, 오픈AI 떠나 中 텐센트로…‘위챗’ 서비스에 AI 기술 통합 임무 맡을듯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세계 인공지능(AI) 산업이 전례 없는 인재 쟁탈전을 벌이는 가운데, 오픈AI의 핵심 연구원이 중국 최대 정보기술(IT) 기업 텐센트로 전격 이직해 주목받고 있다. 블룸버그통신 9월 12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29세의 AI 연구원 야오순위(Yao Shunyu)는 중국 칭화대 졸업 후 프린스턴대에서 컴퓨터과학 박사학위를 최연소 논문자로 취득했고, 구글 인턴십을 거쳐 지난해 6월부터 오픈AI에서 AI 에이전트 연구를 담당해왔다. 그는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가 초지능 연구소 강화를 위해 영입을 적극 추진했던 인재이기도 하다. 텐센트는 야오순위에게 최대 1억 위안, 한화 약 195억원에 달하는 보상 패키지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 계약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이는 현재 글로벌 IT 기업들이 AI 인재 확보를 위해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는 상황을 반영한다. 메타는 오픈AI, 구글, 애플 출신 AI 연구원 50여 명에게 최대 1억 달러(약 1371억원)에 달하는 연봉 패키지를 제시하는 등 공격적 인재 영입 경쟁을 펼치고 있다. 세계 AI 인재 확보 경쟁의 중심지인 미국에서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 이민 정책과 연구개발 예산 축소

[빅테크칼럼] 테슬라 8년차 엔지니어 퇴사하며 머스크에 '직격탄'…"흔들리는 머스크 리더십과 경영진 이탈 가속”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에서 8년간 근무한 조르지오 발레스트리에리 에너지 엔지니어가 최근 사임하며, CEO 일론 머스크의 리더십 문제를 공개적으로 지적하는 강도 높은 링크드인 게시글을 남겨 업계 전반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 유나이티드 레드텍, 타임스오브인디아에 따르면, 발레스트리에리는 테슬라 유럽 에너지 트레이딩 알고리즘과 오토비더 플랫폼 등에서 핵심 역할을 맡았으며, 9월 11일 게시글에서 머스크가 “테슬라의 미션과 여러 국가의 민주주의에 심각한 피해를 줬다”고 비판했다. 조직 내 분위기도 심상치 않다는 점이, 최근 테슬라 경영진의 집단 이탈에서 드러난다. 2025년 한 해에만 최소 10명의 임원이 떠났으며(예: 북미 영업 부문 부사장 트로이 존스, 머스크의 측근 오미드 아프샤르 등), 2024년 중반 이후 14명의 고위 임원이 사임했다. 이러한 반복적 리더십 유출은 단순 퇴사를 넘어 조직 전반의 신뢰 및 전략적 방향성에 심각한 의문을 던진다. 비즈니스 인사이더 취재에 따르면, 테슬라는 내부 교육에서 직원 사기 저하와 번아웃 문제를 공식적으로 인정했으며, 2023년 말 약 14만473명에서 2025년 12만1000명으로 인력이

[빅테크칼럼] 테슬라, 주가 7% 올라 7개월만에 최고치…로보택시·에너지사업 낙관론·금리인하 전망 '모멘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업체 테슬라 주가가 9월 12일(현지시간) 하루 7% 넘게 올라 7개월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테슬라는 전날보다 7.36% 오른 395.94달러에 마감했다. 전기차 판매 부진 등 여러 악재가 산재돼 있지만 증시에서는 로보(무인)택시와 휴머노이드 로봇, 에너지 사업 등에 대한 낙관론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한 주간 주가 상승률은 13%에 달한다. 이번 주가 급등은 완전 자율주행(FSD) 기술 개선과 로보택시 확장, 그리고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맞물린 결과다. 9월 12일 기준 테슬라 주가는 395.94달러로, 연초 저점(3월 약 222달러)과 비교해 77% 가까이 상승했으며, 지난해 말 404달러 수준에 근접했다. 월가에서는 테슬라의 자율주행·AI 혁신과 더불어, 배터리 저장장치(메가팩3·메가블록) 사업 성장세, 장기 CEO 보상안 등 긍정적 이슈들이 투자심리를 자극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요 애널리스트 일타이 미카엘리(TD 코웬)는 테슬라 장기 성장 경로에 대한 신뢰가 더 커졌다며, 목표주가를 374달러로 제시했다. 게다가 시장 측면에서 금리 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