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2.8℃
  • 흐림강릉 11.6℃
  • 흐림서울 14.9℃
  • 흐림대전 13.0℃
  • 흐림대구 10.9℃
  • 흐림울산 16.8℃
  • 흐림광주 16.1℃
  • 흐림부산 17.8℃
  • 흐림고창 16.7℃
  • 제주 19.4℃
  • 흐림강화 13.2℃
  • 흐림보은 11.4℃
  • 흐림금산 9.9℃
  • 흐림강진군 16.7℃
  • 흐림경주시 11.5℃
  • 흐림거제 17.1℃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트럼프 지지 서명하면 매일 14억 지급"…경합주 유권자 정보 파악用

머스크 "청원 서명하면 100만 달러 지급"
표현 자유와 총기 소지 지지 서명자 중 매일 1명 뽑아 지급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캠페인 전면에 나선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럼프 지지운동에 서명하는 사람에게 매일 100만 달러를 주겠다고 선언했다. 

 

19일(현지시간) 더 가디언등 외신보도에 따르면, 머스크는 이날 펜실베이니아주 해리스버그 지원 유세 행사에서 표현의 자유와 총기 소지 권리를 지지하는 청원 서명자 가운데 무작위로 선정한 한 사람에게 매일 100만 달러(약 13억7000만원)를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 실제 머스크는 유세 현장에서 1명을 무작위로 뽑아 100만 달러를 지급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지지 유세에서 “최대한 많은 사람이 이 청원에 서명하길 원하기 때문에 깜짝 선물을 준비했다”며 대선일까지 매일 서명자 중 무작위로 선정된 1명에게 100만 달러를 지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머스크가 언급한 청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을 지지하기 위해 자신이 설립한 정치자금 모금 단체(슈퍼팩)인 ‘아메리카 정치행동위원회’가 진행 중인 청원이다. 이 조직은 7대 경합주(펜실베이니아·미시간·위스콘신·조지아·노스캐롤라이나·애리조나·네바다)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수정헌법 제1조(표현의 자유)와 제2조(총기 소지 자유)를 지지한다’는 서명을 받고 있다.

 

그동안 머스크는 이 청원 동참을 권유한 사람에게 서명자 1명당 47달러(약 6만3000원)를 지급해왔다. 47달러는 트럼프 전 대통령을 제47대 대통령으로 만들자는 뜻을 담은 액수다.

 

이번 주, 펜실베이니아에 대해선 그 보상금을 100달러(약 13만7000원)로 올린 데 이어, 이날 대규모 현금 지급을 추가로 약속하며 청원 참여 '인센티브'를 더욱 확대한 것.

 

이처럼 머스크가 청원 참여 독려에 열을 올리는 배경에는 초박빙 판세 속에 경합주 유권자들의 정보를 파악해 이를 선거운동에 활용하려는 목적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현행 미국 연방법은 매표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청원 서명자나 서명 권유자에게 금전적 보상을 제공하는 것은 불법이 아니다.

 

이번 주 제출된 FEC 공시에 따르면, 머스크는 지금까지 75만 달러를 아메리카 팩에 기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돈나무 언니 캐시 우드, 비트코인 2030년 목표가 120만 달러로 하향 조정…"스테이블코인 급성장 영향"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기술주와 가상화폐 투자 분야에서 ‘돈나무 언니’로 불리는 캐시 우드 아크인베스트먼트 최고경영자(CEO)가 2025년 11월 6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방송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의 장기 강세 전망을 기존 150만 달러에서 120만 달러로 20%가량 낮춘다고 밝혔다. 이는 비트코인이 맡을 것으로 기대했던 일부 역할을 스테이블코인이 대체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우드 CEO는 스테이블코인이 특히 신흥 시장에서 결제 및 송금 수단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비트코인의 성장 전망에서 약 30만 달러가 차감될 수 있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미국 금융기관들 역시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결제 인프라 구축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러한 빠른 시장 변화가 비트코인 시장 전망 조정의 핵심 배경으로 분석된다.​ 한편, 우드 CEO는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digital gold)’ 역할을 계속할 것이라는 낙관론은 유지했다. 비트코인은 완전한 디지털화된 글로벌 통화 시스템이자 새로운 자산군의 선두 주자로, 기술적 혁신도 계속될 것이며 기관들의 참여가 이제 막 시작되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크다고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