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덴마크, AI 딥페이크에 ‘내 얼굴·목소리 저작권’ 부여…‘디지털 자아 보호’의 글로벌 표준될까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덴마크가 AI 딥페이크 확산에 맞서 유럽 최초로 ‘개인 신체·음성·얼굴’에 대한 저작권을 부여하는 혁신적 법안을 추진한다고 Euronews, New York Post, CNN 등의 해외매체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이 법안은 단순한 프라이버시 보호를 넘어, 개인의 외형과 목소리를 지적재산권(IP)으로 간주해 무단 사용시 삭제 요구 및 금전적 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덴마크가 제시한 이 ‘디지털 정체성 보호’ 모델은 유럽연합(EU) 전체로 확산될 가능성도 높아, 글로벌 AI 규제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야콥 엥겔-슈미트, 덴마크 문화부 장관은 “누구나 자신의 신체, 목소리, 얼굴에 대한 권리를 갖는다. 이는 AI 시대에 반드시 지켜져야 할 기본권이다”고 강조했다.
 

딥페이크, 현실과 허구의 경계 허문다

 

딥페이크는 AI가 사람의 얼굴, 목소리, 몸짓을 정교하게 합성해 실제와 구분이 어려운 가짜 영상을 만들어낸다. 최근에는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 교황 프란치스코 등 유명 인사뿐 아니라 일반인까지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덴마크 정부는 “이미지와 영상이 사람들의 잠재의식에 빠르게 각인되기 때문에, 조작된 딥페이크는 현실에 대한 근본적 의심과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법적 프레임워크…‘신체·목소리’에 저작권 부여


덴마크 문화부는 2025년 6월, 여야를 아우르는 초당적 합의 하에 저작권법 개정안을 마련했다. 이 법안은 개인이 자신의 외모, 목소리, 신체적 특징에 대한 저작권을 갖도록 명문화했다.

 

이에 따라 본인 동의 없이 생성·유포된 딥페이크 영상·음성·이미지에 대해 삭제를 요구할 수 있고, 플랫폼이 이를 거부할 경우 ‘중대한 벌금’이 부과된다.

 

문화부 장관 야콥 엥겔-슈미트는 “기술이 법을 앞질렀다. 누구든 ‘디지털 복사기’를 통해 악용될 수 있는 시대에, 개인의 권리를 지키는 강력한 법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예외적으로 패러디와 풍자에는 적용하지 않으며, 예술가(뮤지션, 배우 등)의 공연을 AI가 무단 복제한 경우에도 보호가 적용된다.

 

 

정치권 합의, ‘정치 딥페이크’ 선제 대응


이번 법안은 2024년 6월, 덴마크 정당 9곳이 ‘정치 딥페이크’의 악용을 막기 위해 사전 동의 없는 딥페이크 사용 금지와 명확한 표시 의무를 도입한 것에서 출발했다. 이는 실제로 극우정당이 메테 프레데릭센 총리의 딥페이크 영상을 만들어 논란이 된 사건이 계기가 됐다.

 

글로벌 규제 동향과 차별점


미국은 2025년 5월 ‘TAKE IT DOWN Act’를 도입, 비동의 딥페이크 음란물 유포시 48시간 내 삭제 및 최대 3년 징역을 규정했다.

 

한국은 2024년 말 딥페이크 음란물 유포를 중범죄로 규정, 최대 7년형까지 부과한다.

 

EU는 AI법(AI Act)에서 딥페이크 ‘라벨링’(명확한 표시)만 의무화했으나, 유포 자체를 금지하지는 않았다. 덴마크는 이번 법안을 EU 전체로 확산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중국은 2023년부터 딥페이크 제작·유포시 명확한 라벨링, 정부 등록, 불법 딥페이크 신고 의무 등을 규정하고 있다.

 

기술-규제 간 ‘무한 경쟁’…실효성 논란도


AI 딥페이크 탐지 기술과 생성 기술의 ‘무한 경쟁’ 속에, 규제 실효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덴마크 공대 AI 전문가 모르텐 뫼룹은 “기술이 규제를 앞서가고 있어, 시민들은 정보 출처 비판적 사고를 더욱 키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럽 전체로 확산될까 '관심'


덴마크 정부는 2025년 가을 의회 통과를 목표로, 여름 동안 법안 의견수렴에 나선다. 덴마크는 내년 EU 순회의장국을 맡아, 이번 모델을 유럽 전체로 확대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디지털 자아 보호’의 글로벌 표준될까


덴마크의 이번 입법은 AI 딥페이크 시대 ‘디지털 자아’의 권리와 보호를 본격적으로 지적재산권(IP) 프레임으로 확장한 첫 사례다.

 

기존의 사생활·명예훼손 중심 규제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개인의 신체·목소리를 저작권으로 보호하는 방식은 향후 글로벌 규제의 표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 동시에 기술 발전 속도와 실효적 집행, 국제적 조화라는 과제도 남아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젠슨 황 “中 반도체는 ‘나노 초’밖에 안 뒤진다"…미중 기술패권 속 경쟁 '불가피'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엔비디아 젠슨 황 CEO가 최근 BG2 팟캐스트 및 주요 언론 인터뷰에서도 중국 반도체 산업의 미국과 격차를 ‘단지 몇 나노초’에 불과하다고 평가하며, 미중간 기술 경쟁이 불가피함을 강도 높게 주장했다. 로이터, 야후파이낸스, 블룸버그, BBC, SCMP, ITIF, TrendForce에 따르면, 황 CEO는 중국의 거대한 인적자원, 근로문화, 그리고 지방간 경쟁시스템이 반도체 제조 역량과 AI 기술 발전을 가속화한다고 진단했다. 미중 기술 격차와 정책 변수 황 CEO는 “중국은 미국에 단지 ‘나노초’밖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을 막는 것보다 오히려 경쟁을 허용해야 미국의 경제적·지정학적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미 엔비디아가 설계한 중국 특화 AI 칩 H20 판매는 2025년 4월 트럼프 행정부의 수출 규제로 중단됐으나, 7월 미중 협상을 통해 조건부로 다시 허용된 바 있다. 특히, 엔비디아와 AMD 등이 중국에 칩을 수출할 때 수익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는 새 제도(수출 라이선스 조건)가 시행되면서 반도체 분야의 국제 경쟁 규칙이 변화하고 있

[이슈&논란] 성범죄자 엡스타인 명단에 머스크 "초대받았지만 거절했다"…일정표의 진실 놓고 '갑론을박'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민주당은 최근 성범죄자로 알려진 제프리 엡스타인 관련 새로운 방문자 명단 문건을 공개하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등 유명 인사의 이름이 또다시 대중의 관심을 끌고 있다. 영국 스카이뉴스는 2025년 9월 27일(현지시간) 미 하원 감독위원회 민주당의 발표를 인용해 머스크가 2014년 12월 6일 카리브해 '리틀 세인트 제임스' 엡스타인 개인 섬 방문자 명단에 올랐다고 단독 보도했다. 문건에는 ‘알림: 일론 머스크, 12월6일 섬 방문(아직도 진행되나요?)’라는 메모가 포함돼 있었으나, 머스크는 즉각적으로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 공식 입장을 밝혀 “스카이뉴스의 보도는 완전히 왜곡된 제목이다. 엡스타인은 나를 섬으로 초대했지만 나는 거절했다”며 강력히 부인했다. 머스크는 자신이 사실상 ‘섬 방문’ 자체를 거부했으며, “실제로 방문한 요크 공작(앤드루 왕자)보다 내 이름이 먼저 언급된 것은 부당하다”고 비판했다. 앤드루 왕자(찰스 3세 영국 국왕의 동생)는 2000년 5월 12일 뉴저지에서 플로리다 팜비치로 향하는 엡스타인 전용기에 동승했다는 기록이 이번 문서에 포함됐다. 탑승자 명단에는 앤드루 왕자, 엡스타인, 당시 여자

[내궁내정] 삼성 갤럭시S·갤럭시노트·갤럭시폴드 시리즈 암호명(코드명)에 숨겨진 의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삼성전자는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보안 유지와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암호명을 사용한다. 이는 단순히 보안측면의 의미뿐만 아니라 제품의 철학과 기능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돼 많은 사람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하는 장치가 되기도 한다. 특히 이 암호명(코드명, 프로젝트명)은 삼성전자가 개발한 기기의 혁신성과 기술적 성취를 함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갤럭시 S10의 '비욘드'는 새로운 디자인과 기술을, 갤럭시 S20의 '허블'은 카메라 성능을, 갤럭시 S25의 '패러다임'은 삼성의 모바일 기술과 AI 통합에서의 새로운 표준을 설정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갤럭시 노트 10의 ‘다빈치(Da V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