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트럼프에 '통큰 투자'….'아메리카팩'에 1000억원 기부·공화당 '큰손' 부상

머스크, 트럼프에 '올인'…3개월간 1000억 기부
로이터, 美 선관위 자료 인용해 보도
"7~9월 간 슈퍼팩에 7500만 달러 기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고 부자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을 위해 3분기(7~9월)에만 약 7500만달러(약 1022억4000만원)를 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와 '더 힐' 보도에 따르면, 15일(현지시간) 연방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된 서류를 인용해 머스크 CEO가 아메리칸 팩의 유일한 기부자라고 보도했다. 아메리칸 팩은 머스크 CEO가 트럼프 전 대통령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여름 설립한 슈퍼팩(Super PAC·특별정치활동위원회, 정치자금 모금단체)이다.

 

폴리티코는 "한 사람이 기부한, 엄청난 액수"라며 "머스크는 트럼프가 (유세 중) 피격당한 지난 7월 이후 공식 지지를 선언했고, 이후 트럼프의 정치활동에 점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메리카 팩은 수백 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대선 승패를 결정짓는 격전지를 중심으로 트럼프에 대한 지원 활동을 진행 중이다. 6월 이래로 이 슈퍼팩은 1억220만 달러 이상을 민주당 대선 후보를 비난하고 트럼프를 지지하는 일에 사용했다. 머스크는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적극적으로 트럼프 지지에 나서는 것은 물론 지난 5일 트럼프가 피격당한 그 현장에 동행해 유세에 가세했다.

 

앞서 머스크 CEO는 펜실베이니아를 비롯한 7개 경합주에서 아메리칸 팩을 통해 수정헌법 제 1조(표현의 자유 보장)와 제 2조(총기 소지 권리 보장)에 대한 지지 서약을 받는 청원을 진행했고, 이 과정에서 서약에 동참하는 사람을 확보해올 경우 1명당 추천료 47달러를 지급하는 등 적극적인 현금 뿌리기에 나선 바 있다. 이달 초에는 펜실베이니아주 버틀러 유세장에도 나타나 트럼프 전 대통령 옆에서 "싸우자"고 외치며 껑충껑충 뛰는 모습을 보여 화제가 됐었다.


대표적인 공화당 큰손으로 꼽히는 미리암 아델슨은 트럼프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또 다른 슈퍼팩인 프리저브 아메리카에 1억달러를 기부했다. 친이스라엘 성향의 그는 미 최대 카지노그룹 라스베이거스 샌즈 공동 창업자다. 멜론 은행 상속자인 티머시 멜론은 MAGA 슈퍼팩에 1억2500만달러를 냈다.

 

미국 조지아주에선 이날부터 사전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CNN에 따르면 오후 4시(한국시간 16일 오전 5시) 기준 최소 25만2000명의 유권자가 표를 행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2020년 사전투표 첫날 투표자 13만6000명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한편 블룸버그 억만장자지수 집계에 따르면 머스크 CEO의 순자산가치 총액은 이날 기준 2410억달러로 1위를 기록 중이다. 이어 제프 베이조스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 메타플랫폼 CEO 순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텔레그램, ‘추적 불가’ 신화 깨졌다…한국경찰에 95% 정보제공, 디지털범죄 검거 급증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추적당하지 않는 메신저’로 악명 높았던 텔레그램이 2024년 8월 창업자 파벨 두로프 체포 이후 정책을 전면 수정, 한국 경찰의 수사 요청에 95% 이상 응답하며 디지털 범죄 검거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가입자 정보·IP 기록 등 핵심 자료가 제공되며, 딥페이크·마약·성착취 등 각종 범죄 검거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텔레그램, ‘범죄 안전지대’에서 ‘수사 협조’로 급선회 2024년 8월, 텔레그램 창업자 겸 CEO 파벨 두로프가 프랑스에서 아동 음란물 유포, 마약 밀매, 자금 세탁 방치 등 혐의로 체포된 것이 결정적 전환점이 됐다. 이후 텔레그램은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변경하고, 한국 경찰 등 수사기관의 자료 요청에 적극적으로 응답하기 시작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4년 10월 이후 텔레그램은 한국 경찰의 자료 요청에 95% 이상 응답하고 있다. 실제로 2025년 6월 기준, 경찰이 제공받은 자료는 1000여 건에 달한다. 요청이 들어오면 텔레그램은 자사 정책 및 국제법 위반 여부를 검토한 뒤, 가입자 정보와 IP 기록 등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나머지 5%도 요청서를 보내고 기다리는 상태로, 사실상 거의 모든 요청이 받

[공간사회학] 148년 역사 윔블던, AI 심판 도입…'전통 상징' 테니스 ‘혁신의 서막’ 열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6월 30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올잉글랜드클럽에서 개막한 ‘윔블던 챔피언십’이 148년 만에 사상 최초로 ‘AI 심판’ 시스템을 전면 도입했다. 1877년 창설 이래 ‘전통의 상징’이었던 윔블던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며 스포츠 혁신의 한복판에 섰다. AI 심판, 148년 만에 선심을 대체하다 BBC, Sky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올해 윔블던의 가장 큰 변화는 ‘인간 선심’이 완전히 사라지고, AI 기반 라인 판독 시스템이 모든 코트에서 인·아웃 판정을 맡는다는 점이다. AI 심판은 코트 주변에 설치된 고성능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공의 궤적을 실시간으로 추적,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인’과 ‘아웃’을 즉각적으로 판정한다. BBC와의 인터뷰에서 윔블던 조직위원회는 “기술의 발전이 경기의 공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AI 심판 도입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이미 2023년 US오픈, 2024년 호주오픈 등 일부 메이저 대회에서 부분적으로 도입된 바 있으나, 윔블던처럼 모든 코트에서 선심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I 심판은 판정의 일관성과 신속성, 그리고 인간 오심 논란을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