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강남비자] 강남·서초·송파, 실거래가 아파트 순위 TOP70…래미안원베일리(165억)>압구정 현대7차(130.5억)>압구정 현대2차(105억)>아리팍(100억)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지금 이순간에도 강남으로의 이주를 꿈꾸며 ‘강남 환상’ 혹은 '강남의 찐가치'에 사로잡혀 있는 비강남 사람들에게 진실된 모습을 알리고자 한다. 때론 강남을 우상화하고, 때론 강남을 비하하는 것처럼 느껴질 지도 모르지만, 언젠가 강남의 가치가 급등해 비자를 받아야하는 시대가 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서 '강남VISA'라 명명한다. 나아가 강남과 강북간의 지역디바이드를 극복하는데 일조하고 이해의 폭을 넓혀 허상도 파헤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 개인의 사적인 의견이니 오해없이 그냥 가볍게 즐겨주길 바란다.

 

강남 3구 아파트 시장은 초고가 거래가 이어지며 ‘강남불패’ 신화를 재확인했다. 토지거래허가제와 대출규제등의 악재속에서도 우량 자산 선호 현상과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지속되면서 강남권의 독주가 계속되는 모습이다.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서울 강남 3구(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의 아파트 실거래가 상위 70위가 공개됐다. 올해도 초고가 아파트의 ‘쏠림 현상’과 강남권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2025년 5월 20일 기준,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아파트랩이 조사한 강남3구(서초, 강남, 송파) 아파트 순위 70위 중 실거래가 1위는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전용 235㎡)로 165억원을 기록했다.

 

2위는 강남구 압구정 현대7차(245.2㎡, 130.5억원), 3위는 강남구 압구정 현대2차(198.4㎡, 105억원), 4위는 서초구 아크로리버파크(155.0㎡, 100억원), 5위는 강남구 압구정 신현대11차(183.4㎡, 99.5억원)로 나타났다.

 

상위 10위권에는 서초구 4곳와 강남구 6곳의 대형 평형 아파트가 포진됐다.

 

6위는 강남구 압구정 신현대12차(183㎡, 96억원), 7위는 서초구 아크로리버파크(178.9㎡, 95억원), 8위는 서초구 래미안원베일리(133.9㎡, 95억원), 9위는 강남구 압구정 현대1차(196.2㎡, 95억원), 10위는 강남구 압구정 현대2차(198.4㎡, 94억원)로 나타났다.

 

TOP20에는 '래미안원베일리' ‘아크로리버파크’ ‘래미안퍼스티지’의 신축 아파트와 압구정 현대 7차, 2차, 11차, 12차, 1차의 재건축 아파트로 크게 양분됐다.

 

흔히 말하는 강남지역, 강남3구(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TOP70에는 강남구 아파트가 46곳, 서초구 아파트가 24곳이 포함됐으나, 송파구는 TOP70에 한 곳도 들지 못했다.

 

특히 강남구에서는 ‘압구정 현대’ 시리즈(11차, 12차, 2차, 4차, 7차)와 ‘한양’ 아파트, ‘삼성동 아이파크’ 등이 포진했다. 70위까지의 실거래가 하한선은 71억원(강남구 압구정 현대2차, 160.3㎡)으로, 초고가 거래가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강남 3구의 실거래가 상위권은 70위까지 모두 71억원 이상으로, 서울 내 다른 지역과의 격차가 극심하다.

 

실제로 2024년 서울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를 보면, 서초구(25억1800만원), 강남구(24억8300만원), 송파구(16억7500만 원)로 집계돼 도봉구(5억5400만원) 등과 4~5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강남권 고가 아파트는 글로벌 금융자산 유입과 부동산의 ‘저장 자산’ 인식 강화로 가격이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다”며 “자산·소득 양극화와 지역 격차가 더욱 심화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강남비자] 서울대 의대 신입생, 5명 중 1명은 강남 3구…강남비율 순위, 한양대>가천대>고려대>가톨릭대>경희대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지금 이순간에도 강남으로의 이주를 꿈꾸며 ‘강남 환상’ 혹은 '강남의 찐가치'에 사로잡혀 있는 비강남 사람들에게 진실된 모습을 알리고자 한다. 때론 강남을 우상화하고, 때론 강남을 비하하는 것처럼 느껴질 지도 모르지만, 언젠가 강남의 가치가 급등해 비자를 받아야하는 시대가 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서 '강남VISA'라 명명한다. 나아가 강남과 강북간의 지역디바이드를 극복하는데 일조하고 이해의 폭을 넓혀 허상도 파헤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 개인의 사적인 의견이니 오해없이 그냥 가볍게 즐겨주길 바란다. 2025학년도 서울대 의과대학 신입생 중 약 21.9%가 서울 강남, 서초, 송파 등 이른바 ‘강남 3구’ 소재 고등학교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대 전체 신입생 중 강남 3구 출신 비율 12.85%와 비교해 의대에서 특히 높은 수치다. 한양대 의대의 경우 강남 3구 출신 신입생 비율이 31.82%에 달해 전국 39개 의대 중 가장 높은 쏠림 현상을 보이고 있다. 고려대 의대도 강남 3구 출신이 24.78%로 4명 중 1명 꼴이다.​ 1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실이

[The Numbers] 'S2W·명인제약' 대박 이을 하반기 IPO 시장, 대어는?…CJ올리브영·야놀자·더핑크퐁컴퍼니·현대오일뱅크·케이뱅크·SK에코플랜트·노타 '솔깃'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하반기 국내 IPO(기업공개) 시장이 ‘대어급’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다수 유망 기업들의 상장 도전이 이어지고 있다. 7월부터 시행된 IPO 및 상장폐지 제도 개선 방안 적용에도 불구하고, 9월과 10월 신규 상장 예비심사 신청 기업 수는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신제도 적용 첫 기업인 에스투더블유(S2W)와 명인제약이 상장 직후 높은 시초가 상승률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데뷔를 알렸다. 이와 함께 AI 전문 기업 노타, ‘아기상어’ 제작사 더핑크퐁컴퍼니, 인터넷은행 케이뱅크, SK에코플랜트, CJ올리브영, 야놀자, 현대오일뱅크 등 중견 및 대어급 기업들의 상장 준비 움직임도 활발하다. 신규 제도 이후 변화와 시장 상황 2025년 7월부터 적용된 기업공개(IPO) 및 상장폐지 제도 개선안은 기관투자자의 상장 후 빠른 매도를 방지하고 수요예측 단계에서 신중한 참여를 유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에 따라 제도 적용 초기에는 기업들이 제도 적응 차원에서 관망세를 보였으나, 에스투더블유와 명인제약의 성공적 상장이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9월 예비심사 신청은 4곳으로 예상치 1~2곳을 상회했고, 10월에도 의료용 기기

[The Numbers] “할아버지·할머니가 손주에게 준 용돈 1억4000만원”…손주 증여 5년간 3.8조원 '세대 생략 증여' 할증과세 무력화 '우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5년간(2020~2024년) 미성년자가 조부모로부터 직접 증여받은 재산이 3조8300억원에 달하며, 전체 미성년자 증여 중 46.3%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세대를 건너뛴 ‘미성년 세대생략 증여’는 2만8084건으로 1건당 평균 1억4000만원에 이르러, 일반 미성년자 증여 평균액 9000만원보다 약 55.6% 높았다. 1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최기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러한 증여의 66%가 초등학교 졸업 전인 만 12세 이전에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 6세 이하 미취학아동에게는 1조2225억원, 만 7~12세 초등학생에게는 1조3049억원의 증여가 각각 이뤄져 조기 증여가 활발한 상황이다. 세대 생략 증여가 증가하는 배경에는 증여세 부담 회피 목적이 크다. 조부모가 자녀 세대를 건너뛰어 손주에게 직접 증여하면, 부모 세대를 거치는 경우 대비 증여세 부담이 줄어든다. 이를 막기 위해 한국 정부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을 통해 세대 생략 증여에 대해 증여세 산출세액에 30%를 할증하며, 미성년자가 20억원을 초과해 증여받으면 40% 할증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제

[이슈&논란] 주식매도후 다음날 받는다? 예탁결제원·거래소, "T+1 전환 논의"…글로벌 스탠더드 맞춘다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한국 증권 결제 주기가 현행 ‘T+2일’에서 ‘T+1일’로 단축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내 투자자들은 주식을 매도한 다음 날 계좌로 매도 대금을 받아볼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예탁결제원과 한국거래소는 금융투자협회, 증권사 등과 함께 워킹그룹을 구성해 T+1 결제 전환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으며, 내년 이후 구체적인 시행 시점이 정해질 예정이다. 한국, “T+2에서 T+1로”…결제 혁신 나선다 현재 한국 증권시장은 T(거래일)로부터 2거래일 후에 결제가 완료되는 T+2 제도를 운용 중이다. 이는 거래 당일(Monday)에 주식 매도 시, 이틀 뒤(Wednesday)에야 대금이 투자자 계좌로 수령되는 구조다. 이런 구조는 특히 연휴나 주말이 낀 경우 투자자의 자금 회전 능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실제로 예탁결제원이 제공한 사례에 따르면, 올해 추석 연휴 직전인 10월 2일 주식 매도 시 13일이 돼서야 대금이 들어온다. 이번 결제 주기 단축 추진은 한국 자본시장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진화 작업 일환이다. 예탁결제원과 한국거래소는 “T+1 결제가 국제적 스탠더드로 자리잡고 있다”며, 금융회사와 업무 인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