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또 '마약' 터졌다···WSJ "이사들과 마약 파티·왕처럼 행세"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엑스, SNS]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전현직 이사들과 함께 파티를 즐기면서 마약을 복용했으며, 마치 왕처럼 행세하면서 마약 복용을 압박하는 듯한 분위기를 조성했다는 폭로가 나왔다.

 

3일(현지 시각)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머스크 회사인 테슬라, 스페이스X 등의 전현직 이사진이 이같은 압박을 느꼈다고 전했다. 즉 사교모임과 파티에서 케타민을 복용하고, 액상 엑스터시를 마셨다는 것. 게다가 그의 형제인 킴벌 머스크, 스페이스X 초기 투자자인 스티븐 저벳슨과 전 테슬라 사외이사인 안토니오 그라시아스, 에어비엔비 공동 창업자인 조 게비아 등 관련이사까지 공개했다.

 

또한 저벳슨은 엑스터시, LSD를 복용하는 파티들에 머스크와 함께 참석했다. 머스크와 이들 이사진이 함께 사용하는 마약의 분량이 많아지면서 점점 우려가 커졌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WSJ는 이날 보도에서 머스크가 참석했다는 '마약 파티' 장소도 구체적으로 적시했다. 머스크는 최근 몇년 동안 텍사스주 ‘오스틴 프로퍼 호텔’에서 열린 사교 모임에 참석해왔으며, 여기에서 수차례 코 스프레이를 이용해 환락을 목적으로 케타민을 복용했다고 WSJ은 주장했다.

 

WSJ은 앞서 지난달에도 머스크의 마약 복용 의혹을 보도했다. 당시 보도에 대해 머스크는 "검사에서 약물이나 알코올은 미량도 검출되지 않았다"는 해명으로 의혹을 전면 부인한 바 있다.

 

싱가포르가 마약 관련 사범들에 연이어 사형을 집행하며 강력 대응에 나서고 있다. [게티이미지]

 

월스트리트저널은 "머스크와 함께 마약을 복용한 이사들이 불법이란 걸 알았지만, 행동에 나서진 않았다"고 지적했다. 머스크의 기분이 상하는 걸 우려했다는 것이다.

 

이사직 몫으로 거액의 스톡옵션을 받고 있는 데다, 수억 달러의 투자금도 걸려 있어 문제제기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그라시아스는 그의 벤처 캐피털 회사 등을 통해 머스크의 회사들에 15억 달러(2조77억원)에 달하는 투자금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됐다.

 

여기에 머스크와 가깝게 지내며 누릴 수 있는 '사회적 자산'도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마치 '왕'과 가까워지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는 것이다.

 

2018년 테슬라 이사회가 머스크에게 560억 달러(약 74조5000억 원) 규모의 보상 패키지를 지급하기로 한 것에 대해 지난달 30일 재판부가 이를 무효로 판결한 것도 머스크와 이사진의 유착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의 불법 마약 의혹 제기에 머스크 측은 아직까지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젠슨 황 아들 스펜서 황, "휴머노이드 로봇 미래는 두 발 걷기 아닌 양손 조작”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AI 기업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를 차세대 핵심 성장축으로 집중 육성하는 가운데, 젠슨 황 CEO의 장남 스펜서 황이 10월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콘퍼런스 2025’ 산업 패널 토론에 참여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발전 방향과 국내외 기술 협력 전망을 제시했다. 스펜서 황은 2022년 엔비디아에 입사해 로보틱스 부문 프로젝트 리드를 맡고 있으며, 이번 방한에는 여동생 매디슨 황도 동행해 삼성전자 R&D캠퍼스와 수원 생산기술연구소를 방문했다. ZDNet Korea, CNBC, Markets and Markets, IFR에 따르면, 스펜서 황은 토론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발전의 핵심은 두 발 보행이 아닌 양손 조작 능력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 현장과 물류 창고에서 피킹 작업, 다단계 조립과 같은 손을 이용한 작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가장 현실적 출발점이라며 “현재는 범용성을 위해 데이터를 축적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밝혔다. 실제 물류·산업현장 작업 데이터가 로봇 학습과 성능 향상에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로봇이 반복적이고 위험하거나 무거운 작업을 대신하며 현장 근로자들로부터 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