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조금동두천 5.3℃
  • 맑음강릉 11.2℃
  • 구름많음서울 4.6℃
  • 구름조금대전 8.4℃
  • 구름많음대구 10.2℃
  • 구름많음울산 11.3℃
  • 구름많음광주 9.3℃
  • 구름많음부산 15.1℃
  • 구름많음고창 9.5℃
  • 흐림제주 12.1℃
  • 구름조금강화 4.5℃
  • 맑음보은 7.0℃
  • 맑음금산 8.8℃
  • 흐림강진군 10.0℃
  • 구름많음경주시 10.4℃
  • 구름많음거제 13.9℃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칼럼] 태양계 미스터리 천체 키론, 고리 품고 2025년 7월부터 2026년 1월까지 역행…"치유와 내면성찰의 시기"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고리를 가진 독특한 켄타우루스족 천체 키론이 2025년 7월 30일부로 역행에 돌입해 2026년 1월 2일까지 역행 상태를 유지한다. 이 기간 동안 키론은 지구에서 봤을 때 하늘을 뒤로 움직이는 듯한 착시를 일으킨다.

 

천문학적으로는 지구와의 상대운동에 따른 정상적 현상으로, 키론은 매년 약 6개월 정도 역행 모션을 반복한다.

 

NASA·ESA의 JWST 관측 결과 논문, Cafe Astrology, Astronomy & Astrophysics 연구, Phys.org, Independent의 보도를 취합한 결과에 따르면, 키론은 1977년 찰스 코왈에 의해 발견된 뒤 처음에는 소행성으로 분류됐다가 1989년 혜성의 꼬리(코마)를 형성하는 모습이 관측되어 소행성-혜성 하이브리드 천체로 재분류됐다.

 

2023년, 키론의 고리가 발견되면서 태양계 내 고리를 가진 네 번째 비행성체(거대 행성 외)임이 확인되어 큰 주목을 받았다.

 

이 고리는 소행성 카리클로(Chariklo)와 왜행성 하우메아, 콰오아르의 고리들과 함께 태양계 비행성체 가운데 드문 현상이다.

 

2023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의 관측 결과, 키론 표면에서 얼어붙은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물 얼음과 에탄, 프로판 같은 다양한 탄소 화합물이 발견됐다. 게다가 키론 주변의 코마에서 이산화탄소와 메탄 가스가 검출되어, 태양계 형성 초기 화학 조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

 

 

한편 키론은 목성과 해왕성 사이 불안정한 타원 궤도를 지니며 태양을 50년에 한 바퀴 돈다. 궤도는 토성 궤도를 가로지르고 천왕성 궤도 바로 안쪽까지 닿는다.

 

시드니 대학교 라우라 니콜 드리센 교수는 역행은 지구 궤도 역학에 의한 정상적인 착시현상이라며 실제로 키론의 움직임이 거꾸로인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맨눈 관측이 불가능할 만큼 희미해 망원경과 장시간 노출 촬영이 필수다.

 

점성술계에서는 키론을 '상처 입은 치유자(wounded healer)'라 부르며 이번 역행 기간을 내면의 상처를 직시하고 치유하는 시간으로 의미를 부여한다. 특히 이번 키론 역행은 양자리(Aries) 구간에서 진행되며, 자기 주도적 독립성, 자기 가치감과 자기표현에 관한 깊은 성찰을 촉구한다. (7월 30일 10시 42분경 EDT에서 시작해 1월 2일 9시 38분경 EDT에 종료)

 

국제학계에서는 키론의 고리 시스템이 2011년부터 2022년 사이에 크게 변화하는 등 불안정한 상태임이 보고됐다. 324km 거리에서 발견된 고리는 차리클로 고리와 비교해 밀도와 크기, 안정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고리 물질이 우주공간이나 키론 표면으로 손실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키론 연구는 태양계 진화, 소행성-혜성 경계 천체 동력학, 원시태양계 화학 구성 등에서 중요한 과학적 의미를 갖는다. NASA와 유럽우주국(ESA) 협동 연구로 행해진 JWST 관측과 다중 지구 관측망을 통한 섬광(occultation) 연구가 키론 이해에 크게 이바지했다.

 

이번 키론 역행 기간은 왕성한 연구성과 발표와 함께 천문학적 현상뿐 아니라 점성술적 해석에서도 활발한 관심과 논의를 이끌 전망이다. 2026년 1월 2일 역행 종료 후 키론은 다시 순행으로 돌아서면서 태양계 외곽에서의 긴 여정을 이어간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

[The Numbers] 제주항공, 3분기 550억원 영업손실…무안공항 참사 여파 '재무리스크'로 휘청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제주항공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55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3883억원에 그쳤고, 환율 상승과 경쟁 심화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올해 3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등 달러 결제 비용이 크게 늘었고, 중·단거리 노선에서 항공사 간의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점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지난해에 비해 일본 노선이 지진설 여파로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하고, 10월에 추석 연휴가 포함된 점도 실적 저하에 한몫했다.​ 재무적 타격은 3분기 실적에만 그치지 않는다. 2024년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부각됐다. 승객과 유족에 대한 보상 한도는 약 1조4720억원(10억 달러 상당)으로 책정됐으며, 이는 비행기 사고 관련 국제 약관인 몬트리올 협약에 따른 최고 한도액이다. 제주항공 측은 초기 예매금액 환불과 더불어, 약 2421억원(1억6500만 달러)에 달하는 단기 차입금 상환 부담까지 겹치며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 위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