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핼리혜성, 어디까지 아세요?…공전주기 76년·200년 이하 단주기·2061년 관측가능·원일점 통과·태양계 기원의 단서·조선기록 세계유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태양계를 순환하며, 주기를 갖고 나타나는 혜성 중 가장 유명한 천체는 핼리혜성(Halley's Comet)이다. 핼리혜성은 인류가 천문학적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한 천체로, 여전히 많은 과학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 혜성은 약 76년을 주기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유일한 단주기 혜성이다. 이를 최초로 과학적으로 예측한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Edmund Halley)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

 

핼리혜성의 특징의 공전 주기는 76년으로, 이는 태양계에서 단주기 혜성으로 분류된다. 단주기 혜성은 공전 주기가 200년 이하인 혜성을 의미한다. 핼리혜성의 주기는 태양과 지구의 중력 상호작용에 따라 약간씩 변동한다.

 

핼리혜성은 타원형 궤도를 따라 태양 주위를 도는데, 태양에서 멀리 떨어질 때는 태양계 외곽의 카이퍼벨트(Kuiper Belt) 근처까지 도달한다.

 

지구에서는 핼리혜성이 태양 근처를 통과할 때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다. 혜성의 코마(가스층)와 꼬리가 태양풍과 복사압으로 인해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지구에 출현한 가장 최근은 지난 1986년 2월 9일이었다. 당시 핼리혜성은 유럽 우주국(ESA)의 지오토 탐사선과 소련의 베가 탐사선에 의해 관측됐다. 혜성의 가스와 먼지 물질에 대한 중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으며, 과학적 탐사의 첫 성공적인 사례로 기록됐다.

 

다음 출현시기는 2061년 7월 28일로 예측된다. 이때는 훨씬 더 가까운 거리를 지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핼리혜성은 역사적으로 왜 중요할까. 그리고 언제부터 이 혜성의 존재를 알았을까.


핼리혜성은 기원전 240년부터 관측 기록이 있으며, 중국, 바빌로니아, 유럽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문서로 남아 있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역사적 기록에서도 자주 등장한다. 

 

1066년 윌리엄 1세(정복왕)의 노르만 정복 당시, 노르만 군대의 배너에 핼리혜성이 그려졌다. 당시 사람들은 핼리혜성을 불길한 징조로 받아들였으며, 이 사건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시기의 영국 역사와 연관된 혜성의 출현은 권력 교체와 큰 전쟁의 징조로 여겨졌다. 또 1456년 혜성의 출현을 두려움으로 받아들인 유럽 사회의 기록도 남아있다.

 

특히 에드먼드 핼리는 1682년에 혜성이 다시 나타날 것을 예측했으며, 그의 사망 후인 1758년에 예측이 정확히 들어맞았다. 이는 중력 법칙에 기초한 천문학의 승리로 간주되는 과학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낸다. 핼리의 예측은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을 바탕으로 했으며, 현대 천문학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발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핼리혜성은 왜 주기적으로 나타날까?


핼리혜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특정 궤도를 따르기 때문에 일정한 주기로 다시 나타나는 것이다. 이 궤도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중력 상호작용과 혜성 자체의 질량, 속도 등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매 76년마다 태양계 내행성을 지나가며 우리 눈에 관측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핼리혜성과 유사한 다른 단주기 혜성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엔케 혜성 (Encke's Comet)의 공전 주기는 약 3.3년으로, 가장 짧은 주기를 가진 혜성 중 하나다. 태양에 매우 가깝게 접근하며, 꼬리가 짧고 밝기가 약한 편이다. 핼리혜성보다 주기가 짧고, 공전 궤도가 태양계 내부에 국한된다.

 

공전 주기가 33년인 템펠-터틀 혜성 (Tempel-Tuttle Comet)도 있다. 매년 발생하는 사자자리 유성우(Leonid Meteor Shower)의 기원으로, 핼리혜성보다 공전 주기는 짧지만, 꼬리 물질이 유성우를 형성할 만큼 방출량이 많다.


특히 공전 주기 133년으로, 장주기 혜성에 가까운 주기를 가진 스위프트-터틀 혜성 (Swift-Tuttle Comet)도 있다.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Perseid Meteor Shower)의 기원으로, 핼리혜성보다 공전 주기가 더 길며, 궤도가 지구에 더 근접해 충돌 가능성이 논의된 적도 있다.

 

핼리혜성의 76년 주기는 변하지 않는 것일까. 또 핼리혜성의 공전 궤도는 태양계의 다른 행성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핼리혜성은 가벼운 천체지만 태양, 목성 등 큰 행성의 중력 영향을 받으며 궤도가 미세하게 변한다. 핼리혜성은 목성, 토성의 중력 섭동으로 주기가 약간씩 변동(74~79년)한다고 알려졌다. 혜성의 궤도 변화는 장기적으로 소행성대 천체의 궤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혜성이 태양에 접근하면 표면의 얼음과 먼지가 기화되며 방출되는 물질이 태양풍과 충돌한다. 이 입자들은 미세유성체(Micrometeoroids)를 형성하며, 태양계의 미립자 환경에 영향을 준다. 핼리혜성이 남긴 먼지는 오리온자리 유성우(Orionid)와 에타-아쿠아리드 유성우(Eta Aquarids)를 유발한다. 게다가 혜성이 지구 궤도를 근접 통과할 때, 지구 대기에서 유성우가 발생하거나 전자기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1910년 핼리혜성이 지구 근처를 지나가며 지구가 혜성의 꼬리를 통과하게 됐다. 이는 지구 대기와 혜성 물질의 접촉에 대한 관심을 크게 불러일으켰다. 당시 사람들은 혜성의 독성 가스로 인한 지구의 대멸종 가능성까지 대두됐을 정도로 두려움을 느꼈다. 하지만 지구가 혜성의 꼬리와 접촉했으나 물리적 피해는 없었다.

 

핼리혜성은 태양 근처를 지날 때 시속 25만km 이상의 속도로 이동한다. 이를 따라잡기 위해 초고속 엔진과 정밀 궤도 계산이 필요할 정도로 험난한 기술적 도전 과제를 안고있다. 또 혜성 표면은 가스와 먼지 방출로 인해 착륙과 샘플 채취가 어렵다. 무엇보다 혜성탐사선이 태양계 외곽으로 나가면 신호 지연 및 전력 공급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핼리혜성 관측하기 위한 국제 우주 탐사 프로젝트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아직 공식 프로젝트가 출범하지는 않았지만, 2061년 핼리혜성의 귀환은 많은 과학자들에게 흥미로운 주제이며 이를 위해 여러 우주선진국이 공동참여하는 탐사선 발사 프로젝트가 예상된다.

 

핼리혜성 탐사가 태양계의 기원을 밝히는 데 어떤 의미를 가지는 걸까.

 

수소, 헬륨, 메탄, 암모니아, 물 등 우주에서 흔히 발견되는 물질을 포함한 혜성은 태양계 기원의 단서를 제공하며, 혜성의 가스와 먼지가 태양계 형성 당시의 물질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과학적 가치를 지닌다. 즉 혜성은 태양계가 처음 형성될 때의 원시 물질을 그대로 담고 있기 때문에, 그 구성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태양계가 어떻게, 어떤 물질들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다.

 

핼리혜성의 샘플은 태양계 외곽에서 형성된 원시 물질을 담고 있어, 이를 분석하면 태양계 형성 초기의 온도, 압력, 화학 성분을 이해할 수 있다. 이는 태양계뿐만 아니라, 다른 항성계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다.

 

또 혜성의 가스 방출 메커니즘과 궤도 변화를 관측해 행성간 중력 효과를 연구할 수 있다. 특히 혜성에 대한 심도깊은 연구는 미래에 반드시 일어날 혜성 충돌 방지 기술 개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핼리혜성을 관측한 조선 기록물에 대해 2025년을 목표로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추진중이다.


1759년, 조선 조정은 35명의 천문 관료가 25일간 핼리혜성의 이동경로와 위치, 밝기 등을 세세하게 기록해 성변측후단자를 남겼다.

 

성변측후단자란 조선시대 관상감이 작성한 천문관측 국가 공공 기록물로 혜성과 같이 천체의 위치나 밝기가 변하는 것을 성변(星變)이라 하며 성변측후단지는 이러한 천체의 변화를 매일 관측한 기록물이다. 왕실 산하 관청이 관측한 자료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물로, 당시 조선의 천문학 수준을 보여주는 귀중한 기록유산이다.

한편 핼리혜성은 역사적으로 여러 문학 작품과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핼리혜성은 다양한 작품에서 상징적 요소로 활용되며, 인류의 상상력과 창작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핼리혜성이 등장하거나 언급된 주요 작품들 중 영화는 『핼리 혜성의 밤(The Night of the Comet)』이 있다. 1984년 개봉한 미국의 SF 영화로, 혜성의 접근으로 인한 지구의 재난 상황을 그렸다.

 

『마지막 이야기 전달자』(도나 바르바 이게라(Donna Barba Higuera))라는 소설은 2061년 지구와 핼리혜성의 충돌 이후를 배경으로, 세이건 행성에 도착한 마지막 이야기 전달자 '페트라'의 여정을 담고 있다.

 

『혜성에 사는 사람들』(시마다 마사히코(島田雅彦))은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을 모티프로 삼아 세기를 뛰어넘는 사랑 이야기를 담았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김미월 작가)이란 단편 소설은 지구 멸망 하루 전날을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핼리혜성과 신라의 왕위쟁탈전』(서영교 교수)은 한·중·일 고문서에 나타난 혜성 기록을 통해 신라의 역사와 궁중 암투를 새롭게 고증한 역사서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미사일 방어의 ‘게임체인저’? 머스크의 스페이스X, 20억불 ‘골든돔’ 우주방패 수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스페이스X는 미 국방부가 추진하는 골든돔 프로젝트를 통해 미사일과 항공기 추적 위성망 구축 사업의 우선 수임자로 부상했다. WSJ·인디펜던트·로이터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이 위성망은 최종적으로 600기 이상에 달할 전망이며, 여기에 포함된 AMTI 시스템은 전 세계 공중 이동 표적을 실시간 탐지·식별할 예정이다. 실제로 프로젝트 예산은 트럼프 대통령이 1,750억 달러(약 250조원)라고 공개했지만, 미 의회예산처(CBO)는 장기적으로 최대 5,420억 달러(약 778조원), 일부 공화당 의원 및 군사전문가는 “수 조 달러”로 추산하는 등 논란이 계속된다.​ 이번 계약에서 스페이스X가 주목받는 이유는 실전 배치 경험과 초대형 위성망 구축 역량 덕분이다.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를 통해 이미 1만기 이상의 위성을 운용 중이며, 정부 영역에서는 ‘밀넷(Milnet)’이라는 별도의 군사기밀 위성통신망과 지상 감시용 위성 인프라 구축에도 핵심 파트너로 부상했다. 이번 프로젝트의 운영 속도 역시 주목할 포인트로,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 내(2028년 전) 골든돔 시스템의 주요 기능이 가동될 수 있도록 일정 단축을 독려 중이다.​ 반면, 미군

[우주AtoZ] "외계 행성 내부에서 물을 생성할 수 있다" 연구나왔다…내부 화학반응으로 물 생성, 우주 물의 분포 '재정립'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행성에 물이 있다는 것은 우주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지구 생명체가 물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만큼, 천문학자들은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을 생명체 거주 가능성의 주요 기준으로 삼아왔다. 물은 생명체가 신진대사를 하고 세포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용매 역할을 하며, 다양한 생화학 반응의 매개체가 된다. 따라서 외계 행성에서 액체 물의 존재는 그곳에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을 크게 높이는 지표가 된다.​ 또한 행성에 물이 있다는 것은 그 행성이 적절한 온도와 환경을 갖추었음을 암시하며, 이는 지구와 비슷한 물리적 조건을 뜻한다. 이는 과학자들이 외계 생명체 탐색에서 좁은 ‘골디락스 존’(적당한 온도의 거주 가능 영역)을 중시하는 이유다. 액체 물이 존재할 수 있는 환경은 생명체가 탄생하고 진화할 수 있는 기본 토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최근 과학자들이 먼 별을 공전하는 일부 외계 행성들이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물을 생성할 수 있다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전통적으로는 모항성에 매우 가까이 위치해 높은 온도와 압력 탓에 물이 존재하기 어려울 것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로렌스 리

[우주AtoZ] 中, 유인우주선 선저우 21호 발사 성공…"300마리 중 우주생쥐 4마리 선정해 사육"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중국이 우주 탐사와 생명과학 연구의 새 지평을 열면서 선저우 21호 유인 우주선을 지난 10월 31일 발사했다. 이번 미션은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에서 6개월간 머무르며 생쥐를 대상으로 하는 세계 최초의 포유류 우주 사육 실험을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 총 3명의 우주비행사가 탑승해 임무를 수행한다. 이는 중국의 우주사업이 인류 우주 탐사 역사의 한 페이지를 새롭게 쓴 사례로 평가된다.​ 중국 우주기술의 새 장을 여는 ‘생쥐 우주 사육’ 중국은 11월 1일 밤 11시 46분(현지시간) 간쑤성 주취안 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長征) 2호 F야오 로켓에 실린 선저우 21호 우주선을 성공적으로 발사하며, 6개월간 우주에서 생쥐를 키우는 최초의 포유류 우주 생물학 실험에 돌입했다. 이 프로젝트는 중국이 자체 개발한 톈궁 우주정거장 내 과학 연구 환경에서 생물 몸체의 무중력 적응 과정과 스트레스 반응 등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저우 21호는 현재 중국의 여섯 번째 우주정거장 유인 비행이자, 전체 유인 우주 임무 37번째에 해당한다. 승무원은 총 3명으로, 선저우 15호 임무경험자 장루(張陸), 중국항천과기집단(CASC

[이슈&논란] “비즈니스라면서 이정도?” 안선영, 대한항공 서비스 '저격'…프레스티지 클래스 불만 '폭주'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방송인 안선영(49)이 캐나다 출국길에 올라 국내 대표 항공사인 대한항공의 비즈니스 클래스인 ‘프레스티지석’ 서비스에 대해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출해 화제가 됐다. 안선영은 2025년 10월 29일 자신의 SNS를 통해 “프레스티지라면서 좌석 좁고 칸막이도 없으며 구형”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핸드폰 충전 케이블 USB타입 하나도 없는데 X망”이라며 강한 불편감을 나타냈다. 이어 모닝캄 회원 혜택까지 포기하고 싶어지는 순간이었다고 토로했다. 대한항공의 프레스티지 클래스는 국제선 비즈니스석으로, 일반적으로 좌석은 풀플랫(180도 완전 평면) 형태이며 승객에게 고급 라운지 이용, 우선 탑승, 추가 수하물 허용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하지만 최근 이 좌석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안선영뿐 아니라 배우 왕빛나, 방송인 이지혜 등도 SNS를 통해 라운지 환경, 식음료 구성, 좌석 구조 등에 대해 불편함을 토로한 바 있다. 안선영이 언급한 “좌석 좁음” 및 “칸막이 미비” 문제는 일부 구형 보잉777-300ER 기종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이 기종 프레스티지석은 2-2-2 배열로 상대적으로 사생활 보호와 좌석 간 공간이 현

[이슈&논란] “한반도 핵추진 잠수함 시대 열린다” 李대통령, 트럼프에 ‘핵잠 연료 공급 허용’ 공개 요청…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논의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2025년 10월 29일 경북 경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연료 공급을 허용하는 결단을 공개적으로 요청했다. 이는 30여 년간 이어진 한국 군의 숙원 사업인 핵추진 잠수함 도입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공식 논의되는 첫 사례로, 한미 간 원자력협정 개정을 통한 핵추진 잠수함 도입 추진이 본격화되는 계기가 됐다.​ 핵추진 잠수함은 일반 디젤 잠수함과 달리 고농축 우라늄(U-235)으로 동력을 얻는 원자력기관을 사용해 소음이 적고 잠항 능력이 뛰어나 전략적·전술적 측면에서 현대 해전의 핵심 무기로 평가받는다. 특히 한국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 능력을 확보한 만큼, 핵추진 잠수함 확보 시 북한에 대한 억제력이 크게 강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번 이 대통령의 발언은 ‘핵무기 탑재’가 아닌 ‘핵연료 추진’ 잠수함 도입에 중점을 둔 것으로, 재래식 무기를 탑재하는 전술 핵추진 잠수함(SSN)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 대통령은 “디젤 잠수함은 잠항 능력이 부족해 북한과 중국 잠수함 추적에 제한적”이라며, 연료 공급을 허용해주면 한국 기술로

한미, 기술협력 전방위 확대…AI·6G 그리고 우주탐사까지 '협력강화'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미 정상회담에서 체결된 '기술번영 업무협약(MOU)'은 AI, 6G, 우주, 바이오, 양자기술 등 첨단 과학기술 분야에서 전방위적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아, 양국의 과기 협력 관계를 새로운 도약대로 끌어올릴 전망이다. 이번 협약은 10년 만에 맺어진 것으로, 양국이 미래 핵심기술 분야에서 기술적 리더십과 신뢰 기반 협력을 도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 협력 내용 및 기대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협약을 통해 ▲AI 응용 및 혁신 가속화, ▲신뢰할 수 있는 AI 기술 수출을 비롯한 데이터셋 개발, 안전한 AI 혁신 촉진, 그리고 교육과 미래세대 양성까지 광범위한 협력 방안을 마련했다. 특히 양국은 AI 정책 프레임워크를 공동 개발하고, AI 생태계 조성 및 기술 수출 확대를 추진하며, 글로벌 수준에서 공동 연구와 인력 교류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차세대통신인 6G 연구개발과 우주 탐사 분야에서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상업용 지구 저궤도 우주정거장 개발까지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우주 분야에서는 글로벌 우주 경쟁에서 선도적 역할을 모색하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