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수)

  • 맑음동두천 -9.5℃
  • 맑음강릉 -5.2℃
  • 맑음서울 -7.5℃
  • 맑음대전 -6.1℃
  • 맑음대구 -4.0℃
  • 맑음울산 -3.2℃
  • 맑음광주 -4.9℃
  • 맑음부산 -1.2℃
  • 흐림고창 -7.5℃
  • 구름많음제주 3.7℃
  • 맑음강화 -9.0℃
  • 맑음보은 -7.1℃
  • 맑음금산 -5.7℃
  • 맑음강진군 -4.2℃
  • 맑음경주시 -3.8℃
  • 맑음거제 -0.9℃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만약 우주복 없이 우주로 간다면?…체액 끓는 '에뷸리즘' 발생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이종화 기자] 지구에서만 사는 우리 인류에게 우주라는 공간은 항상 새롭고 미지의 영역, 동경의 대상이다. 하지만 인간이 생존하기에 극도로 적대적인 환경이다.

 

만약 우주복 없이 진공 상태의 우주에 노출될 경우, 엄청난 생리적, 물리적 변화가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이는 이미 학적 연구와 시뮬레이션에 기반을 둔 사실이다. 그래서 우주전문 과학자들이 더욱 더 최첨단 기술이 반영된 우주복 개발에 적극 나서는 이유이기도 하다.

 

우주복 없이 인간이 우주에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현상을 알아봤다.(NASA, "Human Exposure to Vacuum," NASA Technical Reports)

 

우선 지구의 대기압은 약 101.3 kPa(1기압)이다. 그러나 우주는 진공 상태로 기압이 0에 가깝다. 즉 갑작스러운 기압 상실로 폐에 남아 있는 공기가 팽창하며 폐가 손상될 수 있다. 호흡을 멈추고 있더라도 폐 내 산소는 진공 상태로 인해 빠르게 빠져나가게 된다. 또 6.3 kPa 이하의 기압에서는 체액이 끓기 시작한다. 이를 '임계압(Critical Pressure)'이라고 한다.

 

 

혈관 내 액체였던 혈액이 용해되며 기체에서 빠르게 기포로 변하며, 심각한 혈관 막힘(색전증)을 초래한다. 이는 뇌와 심장 등 주요 기관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뿐만이 아니다. 우주에서의 급속한 기압 강하로 인한 체액 비등(體液沸騰) 현상인 에뷸리즘(ebullism)이 일어난다. 즉 체내 액체(혈액, 점액, 타액 등)이 정상 체온(37°C)에서도 끓기 시작한다. 이어 체내 체액의 증발로 인해 부피가 증가하며 피부 아래 조직이 팽창한다. 

 

눈, 입, 귀의 점막 부위에서 기포가 생성된다. 피부가 팽창하지만, 인체의 결합조직은 강도가 높아 폭발하지는 않는다. NASA의 진공실 테스트에서 연구원은 "우주복이 손상된 실험자가 의식을 잃기 전, 체내 침이 끓는 것을 느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어 산소 부족으로 인한 질식을 맞게된다. 우주는 산소가 없는 환경으로, 인간은 몇 초 안에 산소 부족(저산소증)으로 고통받기 시작하다 10초 이내 의식을 잃고, 90초 이내 뇌손상이 시작되며, 2~3분내 사망에 이른다. 우리 인간의 뇌는 산소 부족에 민감하며, 산소 공급이 차단되면 10~15초 내에 의식을 잃는다.

 

 

우주는 대기가 없어 열을 전달할 매개체(전도, 대류)가 없다. 따라서 열 전달은 복사(Radiation) 방식으로만 이루어진다. 태양빛을 직접 받는 면은 약 +120°C, 태양빛이 닿지 않는 면은 약 -120°C에 이른다.

 

게다가 지구 대기와 자기장이 없는 우주에서는 태양과 우주에서 오는 방사선에 직접 노출된다. 방사선의 종류에는 자외선(UV), 감마선, 고에너지 입자(양성자, 헬륨핵)등이 있다. 이로 인해 피부 화상(Solar Radiation Burn)이 단 몇 초 안에 일어나고 DNA 손상과 세포 파괴가 즉각적으로 발생해 결국 죽게된다.


결국 우주복 없이 우주 환경에 노출된 인간은 10초 이내 의식을 잃고, 90초 안에 생존 불가능한 상태에 도달한다. 이는 산소 부족, 체액의 끓음, 방사선 노출, 극한의 온도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우주복의 주요 목적은 이러한 극단적인 환경에서 인체를 보호하고 생명을 유지하는 데 있으며, 우주복의 생명 유지 시스템은 산소 공급, 기압 유지, 방사선 차단, 온도 조절 기능을 통해 우주에서도 인간이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지구의 쌍둥이' 금성의 비밀을 파헤치다…462도·자전이 공전보다 길다·태양행성 중 시계방향 자전 '유일'· 화산존재·지구미래·2031년 베리타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금성은 태양계의 두 번째 행성이다. 지구와 크기와 질량이 유사해 '지구의 쌍둥이'로 불린다. 외형만 비슷할 뿐 그 내부는 극도로 다른 환경을 지니고 있다. 생명체는 살 수 없지만 행성 형성과 진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 호기심을 자극하는 연구대상이 돼 왔다. 금성은 두꺼운 대기 때문에 표면을 직접 관측하기 어렵지만 1990년대 미 항공우주국(NASA)의 마젤란 호가 직접 탐사에 나서 표면이 과거 광범위한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많은 화산으로 덮여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면서 실체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특이하게도 금성은 자전 주기가 약 243일로, 공전 주기인 224.7일보다 길다. 이는 금성의 하루가 금성의 1년보다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금성은 시계 방향으로 자전하는데, 이는 태양계 행성 중 유일하다. 금성은 극한의 온도와 대기로 인간이 도저히 살 수 없는 환경이다. 금성의 평균 표면 온도는 약 462°C로, 태양에 더 가까운 수성보다도 뜨겁다. 이는 두꺼운 이산화탄소 대기에 의한 강력한 온실 효과 때문이다. 또한, 대기압은 지구의 약 90배에 달하며, 황산 구름이 대기를 덮고 있어 표면 관측조차 어렵다. 하지만 밖에서 보면 달처

KAIST, AI로 성능 높인 전기추력기 개발…누리호 위성에 실려 우주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KAIST(카이스트)가 개발한 우주산업 핵심 AI(인공지능) 기술이 올해 11월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에 실려 발사된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최원호 교수 연구팀이 인공위성이나 우주탐사선의 엔진인 홀 전기 추력기(홀추력기, Hall thruster)의 추력 성능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법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홀 추력기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고효율 추진 장치다. 플라스마는 전기를 띤 이온 입자로 가득 찬 초고온 상태의 기체다. 강한 에너지를 쓰는 만큼 적은 연료만으로도 위성이나 우주선의 추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군집위성의 대열 유지, 위성의 궤도 이동, 심우주 탐사 등 다량의 추진제가 필요한 우주 기술에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뉴스페이스 시대에 접어들어 우주산업이 확장됨에 따라 우주 임무가 다양해지고 있고 이에 맞는 홀추력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각각의 고유한 임무에 최적화된 고효율 홀추력기를 신속하게 개발하기 위해서는 설계단계에서부터 추력기의 성능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기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들은 홀추력기 내에서 복잡하게 일어나는 플라즈마 현상을 정밀하게 다루지

美 아메리칸항공 탑승자 67명 전원 사망…한국계 10대 피겨 유망주도 탑승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 워싱턴DC 인근에서 발생한 여객기와 군용 헬기 충돌 사고로 두 항공기 탑승자 67명이 전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현지시간) AP통신, CNN, CBS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29일(현지시각) 워싱턴DC 비행기 충돌 사고로 아메리칸항공 비행기 승객 60명과 승무원 4명, 미 육군 블랙호크 헬리콥터 탑승자 군인 3명 등 67명이 전원 사망했다. 이번 사고 여객기에 한국계 10대 피겨스케이팅 선수 2명이 탑승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캔자스 위치타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스펜서 레인, 지나 한 등 한국계 청소년 피겨스케이팅 선수 2명을 포함해 20명쯤의 선수, 코치, 학부모 등이 타고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지난 20일부터 26일까지 캔자스주 위치토시(사고기의 출발지)에서 열린 미국 유망주 훈련 캠프에 참가했다 돌아오던 중이었다. 러시아의 유명 피겨스케이팅 선수 부부도 사고 여객기에 탑승 중이었다. 러시아 타스통신은 전직 피겨스케이팅 선수인 예브게니아 시슈코바와 바딤 나우모프 부부와 아들 막심도 여객기에 타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시슈코바와 나우모프는 1994년 국제빙상경기연맹(ISU) 피겨스케이팅 세계선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