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맑음동두천 3.7℃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추락 여객기, 러시아 미사일 맞았다”…아제르바이잔, 예비조사 결론

WSJ “추락한 아제르 항공기, 러 방공망에 격추됐을 가능성”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38명이 사망한 아제르바이잔 여객기가 러시아의 대공 미사일을 맞고 추락한 것이라는 예비조사 결과가 나왔다.  러시아는 “결론이 나오기 전에 가설을 세우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며 "조사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27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아제르바이잔 조사 당국은 자국 민항기가 러시아의 대공 미사일이나 그 파편의 공격으로 추락한 것으로 파악했다.  여객기가 러시아 영공을 비행하다 러시아군 방공망에 걸려 공격받았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 25일 아제르바이잔항공 J2 8243편 여객기는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에서 러시아 체첸공화국 수도 그로즈니로 향하던 중 돌연 항로를 변경했다. 초기엔 사고원인을 새떼로 인한 것으로 파악했으나, 이후 동체에 난 구멍들의 모양 때문에, 러시아 방공망에 의한 오인 격추 가능성이 강하게 제기됐다.

 

사고 여객기는 카스피해 상공을 지나 카자흐스탄 서부 악타우시 인근에 비상 착륙을 시도하다가 비틀거리며 추락했다. 67명의 탑승자 가운데 38명이 사망하고 29명이 생존했다.

 

WSJ는 이번 사고 조사에 정통한 관계자들을 인용해 “러시아가 이 여객기를 자국 영공에서 이탈시키고 GPS를 교란했다”면서 “여객기가 추락하기 전에 큰 폭발음을 들었다는 생존자들의 증언도 나왔다"고 보도했다. 이어 “러시아가 이번 사고에 책임이 있다면, 2014년에도 말레이시아항공 여객기가 우크라이나 상공에서 러시아제 미사일에 맞아 탑승자 298명 전원이 사망한 사고와 비슷한 사고일 것“이라며 ”러시아는 당시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사고 여객기 잔해에서도 외부 공격으로 추정되는 흔적이 나왔다. 기체 꼬리 부분에 미사일 파편에 의해 손상된 것으로 의심되는 구멍이 여럿 보인다는 것이다.

 

WSJ는 “러시아의 방공 미사일은 일반적으로 항공기와 충돌하기 직전에 폭발하면서 수류탄처럼 파편을 흩뜨리며 기체를 관통한다”고 했다.

 

CNN은 미국 국방부 고위 관리의 말을 인용해 “훈련이 제대로 되지 않은 러시아군 부대가 우크라이나의 드론으로 오인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우크라이나도 사고 여객기가 러시아 미사일에 격추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 국가안보 당국자 안드리 코발렌코는 "여객기 일부와 내부 구명조끼 등에 난 구멍을 근거로 러시아 방공시스템에 의해 격추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러시아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에 어떤 가설을 내놓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며 “조사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추락한 아제르바이잔 항공 J2 8243편 여객기는 전날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출발, 러시아 그로즈니로 향하던 중이었다. 그러나 갑자기 항로를 변경했고 카스피해 동쪽으로 건너간 뒤 카자흐스탄 서부 악타우에서 착륙을 시도하던 중 추락했다. 여객기에는 아제르바이잔인 37명, 러시아인 16명, 카자흐스탄인 6명, 키르기스스탄 3명 등 67명이 타고 있었으며 이 중 38명이 사망했다.

 

러시아 오인 격추설은 사고 직후부터 제기됐다. 여객기가 지나던 러시아 북캅카스 상공은 최근 몇 주간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의 표적이 됐던 지역이었다. 러시아 국방부는 전날 밤까지 우크라이나 드론 59대를 격추했다고 밝혔고, 여객기 추락이 발생하기 3시간 전에도 우크라이나 드론 1대가 그로즈니 서쪽 블라디캅카스 상공에서 격추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네티즌 의견 0

0/300자
  •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애플‧머스크, 위성통신 확장 '정면충돌'…아이폰 vs 스페이스X, 주파수 대역 놓고 '갈등심화'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애플이 위성통신에 막대한 투자금을 쏟아부으면서 일론 머스크가 경영하는 스페이스X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3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위성 서비스 확장을 위해 두 기업은 한정된 주파수 대역을 놓고 경쟁 중이며, 애플이 투자한 미국의 위성통신 사업자 '글로벌스타'로 인해 머스크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스페이스X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애플이 지원하는 위성 확장 계획을 저지할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WSJ는 "애플과 스페이스X 간의 갈등은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과 최고 부호의 충돌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면서, "위성 기술을 통한 연결성 확대는 아이폰 판매 증가와 스타링크 서비스 확산이라는 양측의 이익과 직결된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두 기업은 서로의 전략 추진을 위해 협력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앞서 애플은 지난해 글로벌스타에 10억달러(1조4743억원) 이상을 투자했다. 애플은 아이폰이 터지지 않는 외딴 지역에서도 아이폰 이용자가 긴급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2022년부터 글로벌스타와 제휴해 왔다. 양측의 갈등은 주파수 범위를 놓고 경쟁을 벌이면서 시작됐다.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