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9일 오전 전남 무안군 무안공항에서 여객기가 추락해 불길이 솟아오르고 있다. [SNS]](http://www.newsspace.kr/data/photos/20241252/art_17354776419883_67f6df.png)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무안국제공항에서 29일 승객 등 181명을 태운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가 착륙 중 활주로 외벽에 충돌한 뒤 화재가 발생해 179명이 숨지고 2명은 다쳤다.
사고가 난 제주항공 7C2216편에는 승객 175명, 객실승무원 4명, 조종사 2명 등 총 181명이 타고 있었다.
소방청 등 구조 당국은 29일 오후 8시 38분 기준 무안공항 사고 현장에서 사망자 179명을 수습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사고 생존자는 수색 초기 기체 후미에서 구조한 객실승무원 2명에 불과했다.
사망자들의 신원은 지문 대조 등을 통해 중이며, 지금까지 77명의 신원이 확인됐다. 승객 175명은 한국인이 173명, 나머지 2명은 태국인으로 확인됐다. 거주지 기준으로 승객들은 대부분 무안공항 주 이용객인 광주·전남 지역민인 것으로 추정된다.
승객은 175명 전원이 사망하고, 승무원 2명 외 생존자가 더는 나오지 않으면서 이 사고는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 가운데 가장 많은 인명피해를 낸 참사로 남게 됐다. 제주항공 참사 이전에 국내에서 발생했던 가장 인명 피해가 큰 항공기 사고는 1993년 아시아나 해남 추락 사고로 당시 66명이 숨졌다.
역대 최악의 항공기 사고가 발생하자 정부는 내년 1월 4일 24시까지 7일간을 국가애도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해 희생자에 대한 조의와 애도를 표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가 밝힌 시간대별 사고 상황을 종합하면 관제탑은 오전 8시 57분께 기장에게 조류 충돌 우려를 전달했다. 그러자 여객기는 착륙 활주로 변경을 시도했다. 그런데 기장은 경고 직후 1분 만에 긴급구난신호 요청을 의미하는 ‘메이데이’를 알렸고 2분 후 변경한 활주로로 착륙하던 중 사고가 났다. 버드 스트라이크, 즉 조류 충돌로 인한 바퀴 미작동으로 기장이 동체 착륙을 시도했고 그 과정에서 여객기가 외벽을 들이받아 폭발 화재로 이어졌다는 게 국토교통부 설명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는 전남 무안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피해수습, 유가족 지원, 부상자 치료 등 필요한 지원을 다하겠다”며 “국토교통부에 설치된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등과 함께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해 책임소재를 밝히고 유족과 국민께 신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또 “향후 비참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범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