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스, 로이터, AFP 통신 등에 따르면 28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이 이날 알리예프 대통령과 전화 통화했다고 보도했다. [KBS방송화면]](http://www.newsspace.kr/data/photos/20241252/art_17354370528033_7116c8.png)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8명이 숨진 아제르바이잔 여객기 추락사고와 관련해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에게 사과했다. 러시아가 직접적인 책임을 언급하진 않았지만, 오인 격추한 것이란 점을 사실상 인정한 셈이다.
다만 명시적 책임부분에 대해서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어 국제사회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다.
타스, 로이터, AFP 통신 등에 따르면 28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이 이날 알리예프 대통령과 전화 통화했다고 보도했다. 크렘린궁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영공에서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한 데 대해 사과하고 희생자 가족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하며 부상자들의 빠른 회복을 기원했다. 크렘린궁은 이번 통화가 푸틴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또 "사고 당시 그로즈니, 모즈도크, 블라디캅카스가 우크라이나 드론의 공격을 받고 있었고, 러시아 방공 시스템이 이 공격을 방어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크렘린궁은 민간과 군 관계자들이 조사받고 있다고 전했다. 푸틴 대통령은 또 카자흐스탄의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에게도 전화를 걸어 추락 사고로 인한 희생자에 대한 애도를 표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5일 아제르바이잔항공 여객기 J2-8243편이 카자흐스탄 서부 악타우 공항에 착륙하던 중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여객기에는 아제르바이잔인 37명, 러시아인 16명, 카자흐스탄인 6명, 키르기스스탄 3명 등 67명이 타고 있었으며 이 중 38명이 사망했다.
아제르바이잔 당국이 전날 사고 여객기가 러시아 대공미사일 또는 그 파편에 맞았다는 예비조사 결론을 내놓자 푸틴 대통령은 그로부터 하루 만에 격추 의혹을 인정하고 사과의 뜻을 전한 것이다.
![12월 25일(현지시각) 카자흐스탄 악타우 근처 해변에 추락한 아제르바이잔 항공 J2 8243편 여객기(엠브라에르 ERJ-190AR)의 동체 잔해가 널브러져 있다. [EPA]](http://www.newsspace.kr/data/photos/20241252/art_17354370504529_bc37a4.png)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푸틴이 책임을 인정한 것 같지만, 나는 그나 내 팀과 아직 이야기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사고에 대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드론의 위치추적과 통신 시스템에 혼란을 일으키기 위해 GPS를 교란하고, 이를 공중 방어 시스템으로 격추하기도 한다"면서 "민항기가 전쟁 지역에서 수백 마일 떨어진 곳을 비행할 때조차도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후방을 타격하기 위해 드론을 대량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고 위험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NYT는 "러시아가 책임을 인정하지 않은 채 사과한 것은 이들 국가가 러시아와의 우호 관계를 해치지 않으면서 자국민과 세계 앞에서 약하게 보이지 않으려는 입장을 견지하는데 복잡성을 더하고 있다"고 전문가를 인용해 지적했다.
특히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은 2020년 아제르바이잔 군이 실수로 러시아 군 헬리콥터를 격추한 사건에 대해 푸틴 대통령에게 곧바로 사과한 바 있다. 당시 아제르바이잔은 신속히 책임을 인정하고 사망한 2명의 러시아 군인에 대해 보상을 제공했다.
2020년에는 이란 혁명수비대가 실수로 우크라이나 여객기를 격추해 탑승자 176명 전원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또 2014년에는 말레이시아 항공 MH17편이 동부 우크라이나 상공에서 격추돼 승객과 승무원 298명이 사망했다. 네덜란드 조사단은 러시아제 BUK 미사일 시스템에 의한 공격이라고 결론지었으나 러시아는 관련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