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7 (목)

  • 흐림동두천 5.8℃
  • 구름많음강릉 9.4℃
  • 구름조금서울 6.7℃
  • 구름조금대전 7.4℃
  • 구름조금대구 9.8℃
  • 구름조금울산 11.6℃
  • 구름많음광주 8.0℃
  • 구름많음부산 11.5℃
  • 흐림고창 8.3℃
  • 황사제주 12.4℃
  • 맑음강화 5.9℃
  • 흐림보은 4.9℃
  • 구름많음금산 7.0℃
  • 구름많음강진군 9.7℃
  • 흐림경주시 10.7℃
  • 구름많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랭킹연구소] 국적 항공사 피해구제신청 TOP9…진에어·아시아나·티웨이·대한항공·에어부산 順

국적 항공사 대상으로 한 피해 구제 신청 10건 중 7건이 ‘운항 지연’
2020~올해 6월까지 3202건… 출발·도착시간 미준수가 대부분
2021년 11월 12일 ‘전산체계’ 마비됐던 진에어(1847건)가 최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4년여 동안 국적 항공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던 피해 구제 신청 10건 가운데 7건가량은 운항 지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탑승객 불편 해소를 위해 항공사들이 더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충북 청주시흥덕구)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국적 항공사에 대한 소비자의 피해 구제 신청 건수는 3202건으로 집계됐다.

 

항공사별로는 진에어가 1847건(57.7%)의 피해 구제 신청을 받아 최다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아시아나항공은 377건(11.8%), 티웨이항공은 295건(9.2%), 대한항공은 173건(5.4%), 에어부산은 161건(5%), 에어서울은 113건(3.5%), 에어프레미아는 108건(3.4%), 이스타항공은 63건(2%), 제주항공은 28건(0.9%), 플라이강원은 3건(0.1%)이었다.
 

유형별로는 운송 불이행 및 지연이 2394건(74.8%)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위탁 수하물 분실 450건(14%), 항공기 탑승 장애 및 마일리지 누락 등 기타 189건(5.9%), 항공권 대금 환불 지연 130건(4%), 탑승 위치 및 항공편 등 관련 정보 미제공 34건(1%), 항공권 초과 판매 2건(0.06%) 순이었다.

 

피해 구제 처리 건수도 진에어(1459건)가 가장 많았다. 특히 2021년 하반기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 1373건이 집중됐다. 이 가운데 1358건(99%)이 운송 불이행 및 지연으로 인한 피해였다. 2021년 11월 12일 이 항공사의 전산체계가 10시간가량 마비되면서 대부분의 항공편이 정상 출발하지 못한 것이 이유다.

 

피해 구제 신청에 대해 합의 및 보상이 이뤄진 사례는 1946건이었다. 전체 신청 건수의 60.8%에 이르렀다. 항공사가 대처할 수 없는 기상 악화, 공항 사정, 앞선 항공편 때문에 빚어진 지연 등은 합의 및 보상 대상에서 제외됐다.

 

아시아나항공은 위탁수하물 분실 및 파손(157건)으로 인한 피해가 전체 국적 항공사 중 가장 많았으며 피해 구제 처리 건수(96건) 역시 최다였다. 티웨이항공은 환불 대금 지연에 대한 피해 구제 신청 건수 102건, 처리 건수 26건으로 이 부문에서 국적 항공사 중 1위였다.

 

같은 기간 외항사에 대한 피해 구제 신청은 2355건으로 파악됐다, 처리율은 60%(1395건)였다. 필리핀 항공에 대한 피해 구제 신청·처리 건수가 각각 756건·28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비엣젯(412건·269건)이 뒤를 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장보고함 바치고 공들인 韓 한화 잠수함 수주전 좌초"…폴란드, 8조원 규모 ‘5세대 잠수함’ 사브 A26 선택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이종화 기자] 폴란드 정부가 발트해 안보 강화를 위한 신형 잠수함 사업 ‘오르카(Orka) 프로젝트’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스웨덴 사브(Saab)의 A26 블레킹급 잠수함을 공식 선정했다. 결국 한화오션을 중심으로 한 한국 측 수주 전략은 사실상 좌초됐다. 한국 정부가 우리 해군 첫 잠수함인 1,200톤급 장보고함(ROKS Jang Bogo·SS‑061)의 무상 이전까지 카드로 꺼내들며 수조원대 방산 패키지 수출을 노렸지만, 폴란드는 ‘발트해 맞춤형 5세대 잠수함’과 스웨덴·나토 네트워크를 택했다.​ 폴란드, 3척·최대 14조5000억원 투입…2030년 첫 인도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아크‑카미시 폴란드 국방장관은 26일(현지시간) 내각 회의 직후 “신형 잠수함 사업자로 스웨덴 사브를 선정했다”며 “늦어도 내년 2분기까지 최종 계약을 체결하고 2030년께 첫 함정을 인도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폴란드 정부가 밝힌 기본 계약 규모는 약 100억 즈워티(PLN·약 4조원)지만, 무기체계 통합과 유지·정비, 수명주기 비용까지 포함한 전체 사업비는 최대 360억 즈워티(약 14조5000억원)로 추산된다.​ 오르카 프로젝트는 노후 소련제 킬로급 잠

[이슈&논란] 177명 탄 이스타항공 여객기, 화물칸 문 열린 채 제주공항 착륙…국토부 조사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177명의 승객을 태운 이스타항공 ZE217편 여객기가 지난 24일 오후 3시45분 김포공항을 출발해 제주공항에 착륙하는 과정에서 앞쪽 화물칸 문이 일부 열린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되어 국토교통부가 이에 대해 전면 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사고는 기내 압력을 유지하는 여압 시스템에는 이상이 없었고, 비행 중 화물칸 문이 열린 상태였던 것은 아닌 것으로 국토부는 잠정 판단하며, 착륙 충격으로 인한 화물칸 잠금장치 부품의 손상으로 문이 벌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스타항공 관계자는 "운항 전 점검 과정에서는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운항 중 구조상 화물칸 문이 열릴 수 없고, 조종실에 화물칸 문이 열렸다는 경고등이 점등돼 알게 됐다"고 밝혔다. 또 "착륙하면서 일부 잠금장치 부품에 문제가 생겨 문이 벌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안전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전했다. 국토부는 조종사들이 항공기 매뉴얼에 따른 절차를 제대로 수행했는지, 정비사들이 적절한 정비를 시행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중이며, 사고 여파로 인해 해당 항공기의 다음 연결편 운항은 52분, 그 다음 연결편은 114분 지연됐다. 항공업계 전문가들은 비행 중 화물칸 문이

[우주칼럼] 누리호 11월 27일 새벽 네 번째 발사…"우주서 바이오 신약 단서 찾는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네 번째 발사가 오는 11월 27일 새벽 0시 54분부터 1시 14분 사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예정되어 있다. 이번 발사에는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큐브위성 12기가 싣혀 우주로 발사된다. 특히 이번 4차 발사부터는 우주 의료와 바이오 기술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한다. 주목받는 큐브위성 ‘BEE-1000’은 미국 MSD의 면역항암제(펨브롤리주맙, 키트루다) 단백질 결정화 과정을 미세중력 환경에서 관찰하여 신약 개발 고해상도 데이터를 확보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이번 누리호 발사는 1~3차 발사와 동일한 3단 로켓 구조이지만, 고도 600km 태양동기궤도에 진입하는 특수 임무의 차세대중형위성 3호 탑재를 위해 야간(새벽) 발사를 최초로 추진한다. 발사 성공률은 전문가들이 약 90% 이상으로 분석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기상 조건과 우주 물체 충돌 위험성 등을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최종 발사 시각을 결정한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주로 오로라 관측 및 우주 환경 연구를 수행하며, 탑재된 ‘바이오캐비닛’은 한림대 연구팀이 개발한 3D 줄기세포 프린팅과 세포 분화·배양 기술을 우주 환경에서 검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