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미국 여권이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여권 순위에서 20년 만에 처음으로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2025년 헨리앤파트너스(Henley & Partners)가 발표한 '2025년 헨리 여권 지수'에 따르면 미국 시민은 현재 180개국에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 말레이시아와 공동 12위에 올랐다. 이 같은 하락은 지난 2014년 1위에서 시작해 점진적으로 무비자 입국 국가 수가 줄어든 결과다.
반면 아시아 국가들의 여권 파워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1위는 193개국 무비자 입국 권한을 지닌 싱가포르가 차지했고, 한국은 190개국으로 2위를 유지했다. 일본은 189개국으로 3위에 올라 아시아 3국이 세계 최상위권을 독점했다. 한국 여권의 2위 유지 배경에는 외교력과 국제적 신뢰 구축이 자리한다.
미국 여권의 순위 하락은 상호주의 부족과 각국의 입국 제한 정책 강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올해 4월 브라질은 미국, 캐나다, 호주 시민에 대해 무비자 정책을 철회하고 전자비자(eVisa) 제도를 도입했다.
베트남 역시 최근 미국인을 무비자 입국 대상국에서 제외했고, 중국도 2025년 급속히 확대한 무비자 정책에서 미국을 포함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미국 여권 보유자는 입국 자유가 상대적으로 축소됐다.

헨리앤파트너스 크리스천 케일린 회장은 "미국 여권 약화는 단순한 순위 변동이 아닌 글로벌 이동성과 소프트 파워 역학의 근본적 변화"라고 평가하며 "개방성과 협력을 수용하는 국가는 앞서 나가지만, 과거 특혜에 머문 국가는 뒤처지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미국의 엄격한 이민 정책과 비자 발급 제한 역시 이러한 추세에 영향을 미쳤다. 시사평론가들은 최근 미국 행정부의 이민 및 비자 정책 강화가 미국 여권 경쟁력 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중국은 2015년 여권 순위 94위에 불과했으나, 2023년부터 무비자 정책을 대폭 확대해 이번 2025년에는 64위(82개국 무비자 입국 가능)로 급상승했다. 이는 중국이 국제관계에서 관광 및 교류 강화에 주력한 결과다.
전체적으로 글로벌 여권 파워 순위는 국제 정치, 외교, 경제 협력의 변화와 연동되고 있으며, 아시아 국가들이 무비자 협정을 확대하며 세계 여권 파워 판도를 재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