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LG그룹이 우주항공산업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5년 11월 14일 경남 사천시 우주항공청 본청에서 정수헌 LG사이언스파크 대표를 비롯한 LG 주요 기술 경영진과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두 번째 간담회를 갖고 우주항공 산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는 지난 6월 서울 마곡동 LG사이언스파크에서 첫 간담회 이후 이어지는 협력의 일환이다.
이번 간담회에서 LG는 통신모듈, 카메라, 배터리 등 자체 보유 기술을 중심으로 우주산업 진출을 위한 기술 검증 계획과 추진 방향을 공유했다. LG사이언스파크는 R&D 거점으로서 그룹 내 다양한 계열사들의 기술 역량을 결집해 미래 우주 비즈니스 모델을 모색하는 전략을 세웠다. 특히 가전, 디스플레이, 데이터센터 등 LG 전 계열사 기술자산을 연계한 협력 모델도 개발 중이다.
특히 LG는 2028년 자체 제작 큐브위성(초소형 위성) 발사를 목표로 계획을 수립 중이다. 큐브위성은 가로·세로·높이 각각 10cm인 정육면체 한 단위(1U)를 기본으로 하는 초소형 위성으로, 우주 환경에서 실험과 다양한 임무 수행에 적합하다. LG는 이번 누리호 4차 발사에도 큐브위성 컨소시엄 참여로 우주 기술 검증 경험을 쌓았으며, 독자적인 큐브위성 발사 추진으로 우주사업 역량을 집중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항공우주 스타트업과의 협력으로 극한 온도에서도 견디는 항공우주용 배터리 셀을 개발하고 있으며, NASA 우주복용 배터리 공급 경험을 바탕으로 고난도 항공우주 배터리 기술 확보에 나서고 있다.
정수헌 LG사이언스파크 대표는 “우주산업은 LG가 미래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위닝 테크(이기는 기술)’의 핵심 분야”라며 “LG사이언스파크를 중심으로 우주산업 신시장을 개척하고, 국가 우주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도 “민간 기업들이 우주항공사업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민간 역량을 적극 발휘할 수 있도록 우주청 차원에서 지원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LG의 이번 우주항공청과의 협력은 국내 우주항공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정책과 기업 간 연계 확대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우주산업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5년 현재 약 1400조원(1.2조 달러)에 달하며, 민간 주도의 우주사업 확대가 국가경제 성장의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LG는 이런 대세에 발맞춰 통신, 배터리, 센서 기술 활용과 초소형 위성 개발로 단계적 우주사업 진출 전략을 구체화하며, 2028년 큐브위성 발사를 통한 실증에 힘쓰고 있어 국내 우주산업 경쟁력을 크게 높일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