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NASA, '우주미아'된 보이저2호 찾기 '안간힘'···외계인 조우용 '특별장비'?

보이저2호, 지난달 21일부터 199억㎞ 떨어진 우주서 통신두절
안테나도 비뚤어져 ‘지구 겨냥’ 불가능
인류 우주선 중 가장 먼 거리 항해 '보이저1호', 외계 생명체 탐사위해 발사

보이저2호가 동체에 달린 안테나 방향이 비뚤어지면서 7월 21일부터 지구와 교신이 중단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지구에서 190억km 떨어진 지점에서 우주 미아가 된 보이저2호를 찾기 위해 미 항공우주국(NASA)이 안간힘을 쓰고 있다.

 

31일(현지 시간) 미국 과학매체 라이브 사이언스와 NASA 제트추진연구소 등에 따르면, NASA는 보이저2호와 NASA의 지구 관제소 간 교신이 지난달 21일부터 두절돼 신호음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이저 2호는 비행 통제관의 실수로 잘못된 명령을 보내면서 우주 공간 먼 곳으로 향하며 지구와의 통신이 끊긴 상태다. 게다가 우주선 안테나도 지구 방향이 아닌 곳으로 기울어져 있어, 지구와 통신이 두절됐다. NASA는 우주선 안테나가 2%만 방향이 달라져도 통신이 끊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NASA는 공식 발표자료를 통해 “지난달 21일 계획에 따른 명령 신호를 보이저2호로 전송했는데,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보이저2호의 안테나가 기울어졌다”며 “안테나가 정확한 지구 방향에서 2도 비뚤어졌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보이저2호는 지구에서 전달한 명령을 받거나 우주에서 자신이 관측한 자료를 지구로 보낼 수 없게 됐다.

 

보이저2호는 현재 정상 작동 중인 보이저1호와 함께 1977년 발사된 장거리 우주탐사선이다. 보이저2호는 지구에서 199억㎞, 보이저1호는 이보다 먼 240억㎞ 떨어진 우주를 비행 중이다. 두 탐사선 모두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1억5000만㎞)의 100배가 훌쩍 넘는 태양계 밖 먼 우주를 날고 있다.

 

보이저1호는 지금도 지구와 연락이 닿고 있으며, 현재 지구로부터 240억 km 떨어진 위치에 있어 인류가 우주에 보낸 우주선 가운데 가장 먼 거리를 항해하고 있다.

 

NASA는 캔버라에 있는 우주 안테나를 통해서 다음 주쯤 보이저2호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근처에 명령어를 발송할 계획이다. 혹시라도 그 중 하나라도 신호로 잡히면, 보이저2호의 미션을 바로 잡을 수 있다는 게 NASA 제트 추진 연구소의 희망이다. 

 

이 미션이 실패할 경우 보이저2호는 선명한 교신을 위해 안테나 방향을 지구를 향해 맞추도록 프로그래밍 돼 있다. 다음 안테나 재설정 날짜가 올해 10월15일인데, NASA는 이때 보이저2호와 교신을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NASA는 2025년이면 보이저 1·2호 모두 작동이 정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두 우주선은 발사 46년이 지나면서 노후화로 인해 전력 공급 능력이 계속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보이저1, 2호는 역사적·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띤다. 두 탐사선은 지적 능력을 지닌 외계 생명체와의 조우를 대비해 특별한 물건을 동체에 부착하고 있다. 

 

바로 금도금을 한 구리 재질의 동그란 정보 저장장치인 ‘보이저 골든 레코드’다. 지름 30㎝짜리 보이저 골든 레코드에는 클래식 음악과 자연의 소리, 인간의 목소리 등이 녹음돼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스페이스X, 캘리포니아 밴덴버그 우주기지 발사횟수 2배 확대 추진...주 정부와 치열한 갈등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스페이스X가 캘리포니아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의 로켓 발사를 현재 연간 50회에서 거의 두 배 수준인 95회까지 확대하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2024년 초 캘리포니아 해안위원회와 합의한 연간 6회 발사 제한을 크게 초과하는 수치로, 주 정부의 환경 감독과 허가 문제를 둘러싼 심각한 갈등을 촉발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해안위원회 직원은 2025년 8월 초 발표한 보고서에서 미국 우주군의 신청을 거부할 것을 위원회에 권고했다. 그 근거는 신규 발사의 상당수가 군사적 탑재물을 운반하지 않아 주 정부의 허가 면제를 받을 자격이 없으며, 이에 따라 주의 환경 보호 규정에 예외를 둬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위원회는 특히 연안 야생동물 피해, 소음과 파괴적인 음속 폭음으로 인한 지역사회 피해, 환경 영향에 대한 불충분한 모니터링 문제를 지적했다. 그러나 미 우주군과 스페이스X는 발사 확대가 국가 안보 임무 수행과 상업 우주산업의 성장에 필수적이라는 입장이다. 밴덴버그 우주 발사 델타 30 사령관 마크 슈메이커 대령은 “로켓 발사 비용이 감소하고 상업 기업들이 접근하기 쉬워지면서 연간 발사 횟수가 30%씩 증가하고 있다”며 발사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