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지구칼럼] 아마존 '하늘을 나는 강' 붕괴 위기…산림파괴와 가뭄가속에 열대우림 미래 '암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남미 대륙을 가로지르며 대서양에서 서쪽 안데스 산맥까지 수분을 운반하는 아마존의 대기 중 수분 통로, 일명 '하늘을 나는 강(Flying Rivers)'이 산림 파괴와 기후 변화로 인해 심각하게 약화되고 있다는 과학자들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아마존 보전 단체인 아마존 모니터링 프로젝트(MAAP)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브라질에서의 광범위한 삼림 파괴는 대기 중 수분의 서쪽 이동을 교란해, 특히 남부 페루와 북부 볼리비아 지역에서 가뭄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

 

AP News, ABC News, Amazon Conservation MAAP, Mongabay, Nature Communications, Max Planck Institute, Rainforest Foundation, Woodwell Climate Research Center에 따르면, 기후 과학자 카를로스 노브레는 "하늘을 나는 강 시스템이 안데스 근처 서부 아마존 강수량의 최대 50%를 책임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아마존 숲은 마치 거대한 펌프처럼 나무들이 대기로 물을 방출, 수분이 대륙을 횡단하는 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건기 동안 특히 산림 벌채가 집중된 남부 브라질 지역에서는 펌프 기능이 크게 약화되면서 비행하는 강의 흐름이 심각하게 방해받고 있다. 이는 숲이 가장 물을 필요로 하는 시점과 겹쳐 더욱 위험하다.

 

이와 같은 대기 중 수분 흐름의 약화는 아마존 역사상 최악의 가뭄 상황과 맞물려 더욱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3~2024년 아마존 유역의 주요 강들은 기록적인 저수위를 보였는데, 솔리몽이스강은 10월에 표고가 254cm까지 떨어졌고, 마데이라강은 기록 기준 평균치보다 훨씬 낮은 48cm까지 저하되었다.

 

이로 인해 강을 이용하는 원주민 공동체 130여 곳 이상이 고립되는 등 지역 주민들의 생활과 생태적 활동이 심각하게 교란됐다.

 

또한, 이 분석은 국경을 초월한 기후 영향의 심각성도 부각한다. 페루의 대표적 보호구역인 마누 국립공원은 현지의 보전 노력이 강하지만, 수백 마일 떨어진 브라질에서 계속되는 산림 파괴가 그 지역으로 가는 비를 줄이면 결국 지역 생태계와 주민의 생존 기반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

 

아마존 열대우림의 4000억 그루의 나무는 매일 약 200억톤의 물을 대기 중에 방출하며, 이는 라틴 아메리카 6억7000만명의 주민에게 영향을 끼치는 강수 패턴과 날씨를 조절한다. 과학자들은 아마존의 숲 손실이 아르헨티나 등 남미 농업 지역에서 강우량을 최대 40%까지 줄일 수 있다고 경고한다.

 

특히, 최근 연구에 따르면 1985년 이후 건기 강우량 감소의 약 75%가 산림 벌채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40년 넘게 이어져 온 점진적인 숲 훼손은 평균적으로 매년 21mm의 강우 감소를 불러왔으며, 이 효과는 기후 변화에 의한 건기 평균 기온 상승(약 2도)과 맞물려 아마존 기후를 더 건조하게 만들고 있다.

 

만약 이 추세가 이어진다면, 2035년에는 현재보다 건기 강우량이 추가로 줄고 현재보다 0.6도 더 가열된 건조한 기후로 이행할 위험이 상당히 높아진다.

 

페루 및 브라질 아마존 지역 원주민 공동체들은 가뭄으로 인한 강 수위 저하로 교통이 끊기고, 식량 및 의료 지원이 어려워지는 등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페루의 로레토와 우카얄리 지역에서는 130여 개 이상 공동체가 고립됐으며, 전통적인 어로와 사냥, 농사 시기가 무너져 생활 방식에도 큰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원주민 지도자들은 국가의 긴급 지원 부재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한편, 브라질 정부는 2024년 아마존 벌채량을 30.6% 줄여 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전문가들은 여전히 삼림 손실과 기후 변화의 복합적 영향으로 아마존 생태계의 회복 불가능한 전환점(티핑포인트)이 곧 다가올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산림이 대형 사바나로 변화하는 생태계 붕괴 현상이 이미 진행 중이다.

 

아마존의 ‘하늘을 나는 강’ 붕괴는 단순한 환경 문제를 넘어 남미 전체 기후, 생태계, 지역 주민의 생존과 직결된 중차대한 사안이다. 국제사회와 각국 정부, 과학계가 협력해 산림 파괴 저지와 지속 가능한 보전 대책 마련에 즉각 나서지 않는다면, 인류가 의존하는 지구 최대 열대우림의 미래는 심각한 위기에 봉착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사회학] ‘불턱’이란 공간과 해녀들의 ‘숨비소리’…삶과 공동체, 그리고 자연과의 깊은 조화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제주 해녀들이 물속에서 오래 참았던 숨을 ‘호오이—’ 하는 소리로 길게 내쉬는 것으로 숨비소리라고 한다. 이는 단순한 호흡 이상으로, 안도와 회복, 그리고 다음 바다로 들어갈 준비를 상징한다. 이 독특한 숨비소리는 물질이 끝나고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해녀들의 소중한 의식이며, 제주 어촌에서 가정의 생계를 책임지는 강인한 여성들의 삶과 연결된 생명의 울림이다. 숨비소리가 의미하는 것이 잠깐의 휴식과 생존을 위한 필수전략의 1차적 수단이라면, 2차적인 수단이 불턱이란 공간이다. 물질을 한 후 몸이 극도의 피로와 냉기에 지칠 때 해녀들은 ‘불턱’으로 향한다. 불턱은 해녀들이 돌담을 사각형이나 원형으로 쌓아 바람을 막고 불을 피워 몸을 녹이는 공간이다. 이 자연 속 ‘쉼터’는 단순한 휴식 공간을 넘어, 서로 안부를 묻고 오늘의 바다 이야기를 나누며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해녀들의 ‘사랑방’ 역할을 담당한다. 불턱의 철학적·문화적 의미는 제주 해녀문화의 핵심이다. 불턱은 위험하고 험난한 바다 작업 앞뒤에 마련된 생명의 공간이다. 또한 그 자체가 돌봄과 배려, 신뢰가 어우러진 공동체 정신의 상징이다. 한 해녀가 먼저 불을 지피고 다른 해녀들

[공간사회학] '스펀지 도시' 개념으로 "도시 홍수관리 혁신"…건축가 공젠위, 브라질 교통사고로 사망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을 넘어 전 세계 도시 홍수 관리의 판도를 바꾼 ‘스펀지 도시’ 개념의 창시자이자 세계적 조경 건축가 공젠위(龚自伟, Kongjian Yu)가 2025년 9월 23일(현지시간) 브라질 판타나우 습지 인근에서 발생한 비행기 추락 사고로 6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CNN, 로이터, 뉴욕타임스, 에이전시 브라질, SCMP에 따르면, 사고는 브라질 마투그로수두술 주 아키다우아나에서 약 100km 떨어진 농장에서 착륙을 시도하던 중 발생했으며, 공젠위와 조종사, 그리고 두 명의 현지 영화 제작자를 포함한 탑승자 4명 전원이 사망했다. 사망자는 유 씨와 브라질 영화제작자 루이스 페르난도 페레스 다 쿠냐 페라즈, 루벤스 크리스핀 주니어, 조종사 마르셀로 페레이라 데 바로스이다. 사고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브라질 항공안전청이 조사에 착수했다. 공젠위는 ‘스펀지 도시(Sponge City)’라는 자연기반 도시 설계 철학을 통해 재해 예방과 기후변화 대응에 혁신적인 해법을 제시했다. 스펀지 도시는 기존의 빗물 배제 위주의 콘크리트 인프라를 대체해, 도시 곳곳에 빗물을 흡수·저장·재활용하는 생태적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도시 홍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