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6 (수)

  • 맑음동두천 19.9℃
  • 구름많음강릉 11.8℃
  • 황사서울 21.4℃
  • 구름많음대전 25.3℃
  • 맑음대구 21.0℃
  • 맑음울산 15.6℃
  • 맑음광주 20.8℃
  • 흐림부산 15.5℃
  • 맑음고창 21.4℃
  • 맑음제주 18.0℃
  • 구름조금강화 16.7℃
  • 구름조금보은 21.9℃
  • 맑음금산 23.9℃
  • 맑음강진군 16.3℃
  • 맑음경주시 16.1℃
  • 흐림거제 16.3℃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서울 '국평' TOP20 중 11개가 '원베일리'…반포·한강·토지허가제외 '가격견인'

상위 20위 아파트 모두 한강변 위치
TOP20중에서 래미안 원베일리 11개, 아크로리버파크 6개, 압구정 현대14차 3개
‘똘똘한 한채’ 트렌드에 '토지거래허가구역' 정책 수혜도 한몫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해 서울에서 거래된 '국민평형'(국평) 아파트 거래금액 상위 10개 중 7개가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 단지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래미안 원베일리와 맞붙어 있는 아크로리버파크까지 합치면 서울 최고 거래가의 TOP10 중 90%가 서초구 반포동에 집중됐다.

 

16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올해 서울에서 거래된 전용면적 84∼85㎡ 아파트(일명 국민평형)의 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가장 비싸게 거래된 아파트는 8월 2일 60억원에 거래된 래미안원베일리다.

 

래미안원베일리 국평이 60억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가격은 3.3㎡(1평)당 가격이 1억7600만원에 이르는 셈이다. 특히 래미안원베일리는 계속 국평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2위도 7월 18일 55억원에 거래된 래미안원베일리가 차지했다. 3위는 래미안 원베일리와 맞붙어 있는 아크로리버파크로, 8월 7일 51억원에 거래됐다.

 

각각 50억원에 거래된 래미안원베일리와 아크로리버파크는 공동 4위에 올랐다. 서울에서 국평이 50억원을 웃도는 가격에 거래된 것은 이들 2개 단지가 유일하다.

 

이어 6, 7, 9, 10위 모두 래미안원베일리가 차지했다. 거래가 상위 10위에 오른 아파트 가운데 7개가 래미안원베일리다.

 

래미안원베일리와 아크로리버파크를 제외하고는 지난 6일 47억원에 거래된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14차 아파트가 유일하게 거래가 상위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순위를 20위까지 늘려도 래미안 원베일리 11개, 아크로리버파크 6개, 압구정 현대14차 3개 등으로 3개 단지에서 고가 거래 20위권을 모두 차지했다.

 

래미안 원베일리와 아크로리버파크는 한강변 위치한 신축 대단지로 ‘똘똘한 한 채’를 찾는 자산가들의 수요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강남 지역과 달리 토지거래허가구역에 묶여있지 않은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도 나온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이들 단지에서 계속 최고가 경신 사례가 나오는 양상”이라며 “이런 단지 자체가 하나의 가치로 자리 잡은 데다, 매물도 많지 않아 지금과 같은 최고가 경신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비가 와도 OK”, 삼표산업 ‘블루콘 Rain OK’ 한국콘크리트학회 기술인증서 획득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삼표그룹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강우(降雨)시 타설 가능한 콘크리트 ‘블루콘 레인 오케이(BLUECON Rain OK)’가 한국콘크리트학회로부터 기술력을 인정 받았다. 삼표그룹(회장 정도원)의 주력 계열사인 삼표산업은 국내 최고 권위의 콘크리트 전문 학술단체인 한국콘크리트학회로부터 ‘블루콘 레인 오케이’에 대한 기술 인증을 획득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콘크리트학회의 기술인증은 신기술 및 콘크리트 재료, 공법 등의 기술개발 사항을 학회 전문가의 면밀한 검토와 심의를 거쳐 건설 기술에 우수성을 인증하고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한 제도다. 삼표산업 ‘블루콘 레인 오케이’의 인증 분야는 재료 및 자재다. 시간당 3mm 이하의 강우 타설시 혼화제와 최적의 원재료를 사용해 재료 분리 저항성을 높여 콘크리트 공사 표준시방서(KCS 14 20 00)에 따른 강도를 만족하고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트 제조 기술이다. 강우일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빗물이 섞여 강도·내구성·품질 저하 문제로 부실 시공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와 관련해 국민적 공분을 사는 일이 발생한 적도 있다. 이에 삼표산업은 사고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 압축 강도 부족과 품질 저하에 대한

"불황에 살아남아야 강한 브랜드"…신동아·대저건설 '휘청'에 분양 ‘빅 브랜드’로 쏠린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주택시장에서 대형건설사의 브랜드 파워가 재조명 받고 있다. 최근 치솟는 공사비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만기 이슈 등이 맞물려 중견·중소 건설사가 잇따라 부도에 처하는 등 건설업 전반에 위기감이 감돌자 대형건설사의 안정성이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종합건설업체 폐업 신고건수는 ▲2022년 261곳 ▲2023년 418곳 ▲2024년 516곳 등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올해에도 채 1분기를 지나지 않은 시점에 63빌딩을 시공한 신동아건설을 비롯해 경남지역 2위의 대저건설, 시공능력 83위의 대우조선해양건설 등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수요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다 보니 청약시장에서 브랜드 아파트로의 수요 쏠림이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보면 올 1~3월(10일 기준) 전국 분양단지 중 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10개 건설사가 공급한 브랜드 아파트는 총 6곳으로, 일반공급 3800가구 모집에 총 8만9047명이 몰려 1순위 평균 23.4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중견·중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