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6 (일)

  • 맑음동두천 15.8℃
  • 구름많음강릉 17.1℃
  • 맑음서울 15.4℃
  • 맑음대전 15.8℃
  • 맑음대구 18.2℃
  • 맑음울산 18.3℃
  • 맑음광주 17.1℃
  • 맑음부산 15.6℃
  • 맑음고창 14.8℃
  • 맑음제주 16.8℃
  • 맑음강화 10.7℃
  • 맑음보은 16.3℃
  • 맑음금산 15.7℃
  • 맑음강진군 17.9℃
  • 맑음경주시 19.0℃
  • 맑음거제 15.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xAI '잭팟' 기업가치 70조원…트럼프 당선에 스페이스X·xAI '날개'

머스크의 AI기업 'xAI' 기업가치 70조원 평가…60억 달러 펀딩 추진
"엔비디아 칩 10만 개 매입 예정”
기업가치 6개월 만에 두 배 이상 ↑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인공지능(AI) 기업인 xAI가 60억 달러(8조3000억원)의 투자 유치(펀딩)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가치만 500억 달러(69조7000억원)에 달한다. 최근 6개월새 두배이상 껑충 뛰었다.

 

 15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 방송에 따르면, 60억 달러 중 50억 달러는 중동 국부 펀드가 투자하고 나머지 10억 달러는 다른 투자자들이 넣을 예정으로 차주에 마무리 될 전망이다. 이들 중 일부는 투자를 더 늘리고 싶어한다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또 xAI는 이 투자금을 AI칩 선두 주자인 엔비디아의 최신 칩 10만 개를 매입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xAI의 펀딩은 지난달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로 알려졌다. 당시 펀딩 금액은 전해지지 않았고 기업 가치는 40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관측됐다. WSJ 보도보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 후 기업 가치가 100억 달러 더 높아진 것이다. xAI는 엄청난 자본 증가 속에 내년 1분기에는 기업가치가 최대 75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xAI는 머스크가 2023년 7월 설립한 AI 기업으로, ‘그록’이라는 AI 챗봇을 출시했다. 그록은 머스크의 소셜미디어(SNS)인 엑스(X·옛 트위터)에서 구동된다. xAI가 신규 투자 유치에 나선 것은 지난 5월 이후 5개월여만이다. 당시에도 xAI는 60억 달러의 자금을 끌어모은 바 있다. 당시 펀딩때 xAI의 가치는 240억 달러에 달했는데, 6개월 만에 가치는 두 배 이상으로 급증한 것이다.

 

xAI는 테네시주 멤피스에 자칭 세계 최대 규모의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그록의 새로운 버전을 학습시키고 있다. xAI는 X의 데이터로 그록을 훈련한다. 머스크는 최근 xAI가 멤피스 데이터 센터에 들어가는 그래픽처리장치(GPU)를 10만대에서 20만대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완전 자율 주행 기능도 이 데이터 센터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가 소유한 스페이스X와 xAI는 신규자본 확보를 통해 기업 가치가 큰 폭으로 높아지게 됐다. 트럼프의 47대 대통령 당선의 일등공신이자, 트럼프에 올인한 머스크 파워가 다시한번 시장에서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비상장사로는 미 최대 기업이자 세계 최대 로켓 발사 업체인 스페이스X는 오는 12월 기존 주식을 주당 약 135달러에 매각할 계획이다. 장외시장에서 경매로 매각하는 대신 투자자들의 주식 매수 신청을 받아 그 가격대에서 주식을 매각하는 방식이다.

 

스페이스X는 트럼프의 후원 속에 화성 탐사선 발사, 지구 저궤도에 6000개 인공위성으로 구성된 위성 인터넷망 구축이라는 머스크의 꿈을 실현하는 데 한 발짝 더 다가갈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트럼프 관세전쟁에 반발한 '훼방꾼' 등장…머스크 "유럽과 무관세로 가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트럼프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 장관을 맡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중인 관세정책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일론 머스크 CEO가 미국과 유럽이 관세가 없는 자유무역지대(free-trade zone)를 구축하기를 희망한다고 5일(현지시각) 밝혔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을 비롯해 전 세계 무역상대국에 상호 관세 부과를 발표한 지 사흘 만이다. 머스크는 이날 이탈리아 극우 정당 라 리가(La Liga) 행사에서 화상 연설을 통해 “미국과 유럽이 매우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길 바란다”며 “이상적으로는 무관세 체제로 나아가 자유무역지대(free trade zone)를 실질적으로 창출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무역 불균형 해소라는 목적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의견이 일치하지만, 방법론에 있어서 관세를 부과한 것에 대한 이견이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머스크는 이어 미국과 유럽 간에 "매우 밀접한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또한 유럽과 북미 간에 "사람들이 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첫 집권 당시에도 머스크는 미국

저커버그의 메타, UFC와 전략적 파트너십…‘스레드’ 독점 콘텐츠·AI글래스로 입체적 관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종합격투기 단체인 UFC와 메타가 다년간 파트너십을 맺고 협업한다. UFC는 3일 “메타와 다년간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며 “메타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전 세계 수백 만 UFC 팬들의 참여를 전례 없는 수준으로 이끌어 낼 계획이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어 “메타가 보유한 메타 AI, 메타 안경, 메타 퀘스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와츠앱, 스레드와 같은 메타의 기술 플랫폼, 서비스, 상품 등을 활용해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팬들을 UFC 콘텐츠에 깊이 몰입시킬 것이다”고 설명했다. 특히 메타는 UFC의 첫 공식 인공지능(AI) 안경 파트너가 된다. 메타는 UFC와 공동으로 AI 안경을 창조적으로 활용해 UFC 대회에서 팬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데이나 화이트 UFC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몇 년간 많은 훌륭한 파트너들이 UFC가 MMA를 발전시키는 걸 도왔지만 마크 저커버그와 메타 직원들은 정녕 UFC 팬들을 깜짝 놀라게 할 일들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메타는 기술 분야에서 가장 훌륭한 지성들을 보유하고 있고, 그들은 팬들의 참여를 완전 다른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이라며 “우린

[공간차트] 테슬라 주가 폭락에도 머스크 503조원 '세계 최고 갑부'…포브스 선정 올해 억만장자 순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테슬라 주가가 급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총자산 3420억달러(약 503조원)로 포브스 선정 억만장자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4월 1일(현지시간) 포브스는 올해 세계 억만장자 명단에는 지난해보다 247명 늘어난 3028명이 이름을 올렸으며, 이들의 자산 합계가 16조달러(약 2경3552조원)가 넘는다고 발표했다. 머스크는 14년 연속으로 포브스 선정 억만장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는 순자산 3420억달러를 자랑하며 지난해 1위였던 베르나르 아르노 루이비통모에헤네시(VLMH) 회장을 꺾고 1위를 거머쥐었다. 머스크의 자산은 스페이스X와 테슬라 주식에 힘입어 1년 사이에 75% 증가했다. 최근 정치적 행보로 테슬라 주가가 폭락하며 자산도 520억달러(약 74조원)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억만장자 순위 1위를 기록했다. 2위는 2160억달러(약 318조원) 자산을 지닌 페이스북 공동설립자이자 메타 CEO인 마크 저커버그, 3위에는 2150억달러(약 316조원)를 지닌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다. 뉴스위크는 "머스크는 저커버그와 격차가 1000억달러가 넘기 때문에 앞으로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머스크 “13번째 자녀? 내 아이인지 모르겠다…친자 검사 반대 안한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의 13번째 자녀를 출산했다고 밝힌 인플루언서 애슐리 세인트 클레어에게 "내 아이인지 모르겠다. 친자 검사를 거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냈다. 3월 31일(현지시간) 더힐 등 외신에 따르면 두 사람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서 공개적으로 날선 공방을 주고받았다. 클레어는 지난 2월 엑스에 올린 글에서 “5개월 전에 나는 아기를 낳았다. 머스크가 아빠”라고 밝힌 데 이어 머스크가 양육비 지원과 친자 확인 검사를 거부했다며 비난해왔다. 이에 머스트는 클레어가 낳은 아이가 친자식인지 확실치 않지만 이미 37억원에 가까운 돈을 건넸다고 주장했다. 그는 “법원 명령은 필요하지 않다”고 했다. 머스크의 발언은 법원이 머스크에게 친자 검사를 명령했다는 보도가 나온 후에 나왔다. 세인트 클레어는 머스크가 양육비를 줄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머스크는 이에 대해 “확실하지는 않지만, 나는 애슐리에게 250만달러(약 37억원)를 줬고 매년 50만달러(약 7억원)를 보내고 있다”고 반박했다. 세인트 클레어는 올해 2월 엑스를 통해 “5개월 전 머스크의 아이를 출산했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머스크가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