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9.6℃
  • 흐림강릉 11.7℃
  • 흐림서울 12.9℃
  • 구름많음대전 9.6℃
  • 박무대구 7.9℃
  • 구름많음울산 14.0℃
  • 구름많음광주 12.1℃
  • 맑음부산 15.8℃
  • 구름많음고창 10.6℃
  • 구름많음제주 17.7℃
  • 흐림강화 10.9℃
  • 흐림보은 6.5℃
  • 흐림금산 6.6℃
  • 구름많음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6.1℃
  • 흐림거제 16.8℃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랭킹연구소] 외국계 생활가전 TOP7…일렉트로룩스·스메그·리페르 '적자전환' 다이슨 '매출·이익·배당 1위'

한국 생활가전 브랜드, 축구 강국들 '미니 월드컵' 재연
매출 순위, 다이슨>게이트비젼>베르수니>코스모앤컴퍼니>드롱기>일렉트로룩스>스메그 順
영업이익 순위, 다이슨>게이트비젼>드롱기>베르수니>스메그>일렉트로룩스>코스모앤컴퍼니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한국진출 생활가전기업들 '시련의 계절' 다이슨 '유아독존 천상천하'

 

한국에 진출한 생활가전 분야 외국계 기업들의 2023년 한국에서의 성적표를 분석해본 결과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영업이익률, 본사배당 등에서 다이슨코리아가 1위를 차지했다.

 

생활가전 숨은 강자 일렉트로룩스코리아, 생활가전 유통총판 챔피언 코스모앤컴퍼니, 디자인 가전 스메그코리아(제이컬렉션)는 매출도 줄었지만, 영업이익도 영업손실로 바뀌며 적자전환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각각 꼴찌를 기록한 스메그코리아와 코스모앤컴퍼니가 유독 힘든 한해를 보낸 것으로 파악됐다.

 

시장조사업체 GfK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가전시장 매출은 온·오프라인을 합쳐 전년대비 12% 하락했다. 수량 기준으로는 17% 하락했다. GfK는 "물가 상승폭이 커진데다 인플레이션이 지속돼 대부분 업체들이 판매가 줄었다"고 분석했다.

 

현재 한국에는 다이슨(영국), 필립스(네덜란드), 일렉트로룩스(스웨덴), 드롱기(이탈리아), 리페르(독일), 몰리큘(미국), 샤크닌자(미국), 블루에어(스웨덴), 스메그(이탈리아), 브라운(독일), 로라스타(스위스), 노바이러스(아일랜드), 비셀(미국) 등의 생활가전기업이 제품들을 판매중이다. 생활가전기업들 상당수가 축구강국들이라 한국시장을 놓고 마치 월드컵처럼 치열하게 경쟁중이다.

 

매출 순위는 다이슨코리아>게이트비젼>베르수니코리아>코스모앤컴퍼니>드롱기코리아>일렉트로룩스코리아>제이컬렉션(스메그코리아) 순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 순위는 다이슨코리아>게이트비젼>드롱기코리아>베르수니코리아>스메그>일렉트로룩스>코스모앤컴퍼니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다이슨코리아가 한국시장을 거의 독식했다. 2023년 매출은 전년보다 18% 증가한 7943억원,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3.7% 급증한 245억원, 당기순이익도 23.4% 급증한 180억원을 기록했다. 다이슨코리아는 코로나 팬데믹시기부터 2020년 2942억원, 2021년 3858억원, 2022년 6740억원에 급격히 매출상승을 이어가더니 엔데믹시대에도 여전히 고공행진중이다. 

 

소형 생활가전업체들이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다이슨만이 한국 시장에서 날개 돋힌듯이 팔린 셈. 본사배당도 전년(590억원)보다는 크게 줄었지만, 150억원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직원급여로는 192억원, 광고선전비는 764억원, 판매관리비는 2043억원을 지급했다.

 

 

2위는 게이트비젼(대표이사 김성수)이다. 현재 다리미 로라스타(스위스), 공기살균기 노바이러스(아일랜드), 청소기 비셀(미국), 전기장판 이메텍 등의 한국총판이다. 김성수 대표가 지분 100%를 보유중이다. 지난해 18억원을 배당금으로 지급했다. 

 

게이트비젼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730억원)보다 51.4% 급증한 1105억원을 기록했으나, 영업이익은 전년(42억원)보다 확 떨어진 13억원, 당기순이익도 전년(109억원)보다 1/3토막난 37억원을 낸 것으로 파악됐다. 임직원 급여는 38억원, 광고선전비는 33억원, 판관비는 143억원을 지급했다.

 

3위는 베르수니코리아(구 필립스생활가전코리아)로 2023년 매출은 645억원, 영업이익 8.5억원, 당기순이익 4.5억원을 나타냈다. 매출은 전년보다 22.7%, 영업이익은 75.7% 급감했다. 임직원 급여는 34억원, 광고선전비는 101억원, 판관비는 245억원을 사용했다.

 

4위는 코스모앤컴퍼니(대표이사 허경수, 박형철, 손병욱)가 차지했다. 현재 프리미엄 냉장고 리페르(독일), 공기청정기 몰리큘(미국), 다이슨의 강력한 경쟁자로 급부상중인 청소기계의 다크호스 샤크(미국), 주방소형가전쪽의 기린아 닌자(미국), 공기청정기 블루에어(스웨덴)등의 한국총판을 맡아 판매중이다. 지분구조는 허경수 대표가 100% 보유중이다.

 

코스모앤컴퍼니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693억원)보다 566억원으로 소폭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전년(11억원)보다 123억원 떨어진 영업손실 112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 당기순이익도 전년(21억원)보다 160억원이상 감소한 마이너스 143억원을 낸 것으로 파악됐다. 임직원 급여는 57억원, 광고선전비는 4.6억원, 판관비는 171억원을 지급했다.

 

특히 회사가 피고로 진행중인 소송이 1건(부당이득반환 청구)있다. 상기 소송사건에서 1심 승소했으며, 피고가 항소함에 따라 현재 서울고등법원에서 2심이 진행중이다.

 

 

5위는 이탈리아 커피머신 명가 드롱기코리아가 차지했다.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적자를 기록하지는 않았으나, 3개의 지표모두 전년보다 감소했다. 매출은 전년 359억원에서 325억원을, 영업이익은 전년 26억원에서 9.6억원으로, 당기순이익은 전년 20억원에서 6.5억원으로 감소하며 저조한 실적을 거뒀다. 임직원 급여는 20억원, 광고선전비 49억원, 판관비 109억원을 지급했다.

 

드롱기의 대표 제품은 커피머신, 전기포트(무선주전자), 토스트기등이다. 지난해 매출증대의 가장 큰 이유는 '세련된 디자인과 다양한 색감'을 앞세워 주방 인테리어 가전으로 주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기 때문이다.

 

6위는 스웨덴 숨은 강자 일렉트로룩스코리아. 전년 매출 564억원에서 47% 감소한 301억원을, 영업손실 105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2020년 코로나 특수를 누리며 900억원에 육박했던 매출은 매년 내리막길을 걸으며 1/3토막까지 났다.

 

영업이익 역시 적자전환하며 생존의 기로에 서있다. 당기순이익 역시 마이너스 182억원을 기록했다. 임직원 급여는 38억원, 광고선전비는 34억원, 판관비는 218억원을 지급했다.

 

7위는 예쁜 냉장고 스메그코리아(제이컬렉션, 대표이사 정태호). 2023년 매출은 전년 215억원에서 16.3% 감소한 180억원, 영업손실 9.2억원, 당기순손실 14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임직원 급여는 30억원, 광고선전비 9.7억원, 판관비 88억원을 지급했다.

 

경영실적이 부실한 기업의 경우 인터넷 카페, 커뮤니티, SNS등의 게시글에서 단점이 바로 확인가능하다.

 

스메그 고객들의 구매후기를 살펴보면 "예뻐서 샀지만 모양만 냉장고, 기능은 부실" "가전으로 샀는데, 가구로 사용" "장식품 전락한 냉장고, 수납장으로 쓰고 있어요" "디자인은 냉장고, 기능은 수납장" "인덕션도 예뻐서 샀으나, 기능의 불편으로 적응에 한참 걸림" "동일가격에 성능이 무조건 뛰어나야 한다는 분들은 스메그 사면 바로 후회" 등이었다.

 

백화점에서 만난 스메그 사용고객은 "디자인측면에서는 고객들로부터 우수한 평가를 받아, 집안 인테리어로 구매했다"면서 "하지만 막상 사용해보니 '예쁘지만 비싼 쓰XX'라는 혹평이 따라다닐 정도로 실사용 만족도와 가성비측면에서는 최악이었다"고 혹평했다.

 

생활가전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가전제품 업계 대부분이 특수를 누렸지만, 엔데믹 시대가 되면서 양분되고 있다"며 "잘나가는 기업일수록 좀 더 소비자를 소중히하는 AS정책을, 적자기업은 좀 더 한국소비자 타깃의 제품과 가격으로 승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적자기업의 일부는 결국 한국시장 철수 혹은 조직축소의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그동안 한국 소비자를 봉으로 생각했던 일부 외국계기업들은 이번 기회에 시장과 소비자의 무서움을 아는 계기로 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내궁내정] 한 국가의 문화·역사·민족성을 한글자?… 한국 情, 미국 法, 영국 格, 독일 哲, 프랑스 맛, 이탈리아 멋, 중국 中, 일본 和, 인도 敬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주요 국가를 한글자(또는 짧은 단어)로 문화·역사·민족성의 핵심을 표현하는 것은 각국의 정체성과 가치를 직관적이고 흥미롭게 전달하는 방법이다. 이들 국가에 대해 수집한 문화적 특징을 바탕으로 각각을 상징하는 단어를 선정하고, 그 의미와 함의를 분석해보았다. 한국 : 정 (情) – 사람과 관계를 중시하는 정(情)의 문화 한국 문화의 핵심은 ‘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유교문화 속에서 가족과 사회의 관계를 매우 중시하고, 사람 사이에 흐르는 따뜻한 정(情)의 진액이 사회를 이어주는 근간이다. 충성과 예, 가족주의가 근본을 이루며, 현대에 와서도 K-팝·드라마·한류로

[공간혁신] 47년 된 경로당의 변신…강남구, ‘AI 피트니스’ 갖춘 선정시니어센터 개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어르신들의 대표 복합문화시설인 경로당이 AI 기반의 헬스기구를 갖춘 스마트피트니스센터로 변신했다. 강남구(구청장 조성명)가 10월 31일 어르신복합문화시설 ‘선정시니어센터’ 개관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이 센터는 1978년에 건립된 선정경로당을 철거한 후 신축한 건물로, 어르신 복지 수요에 맞춘 스마트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이번에 문을 연 선정시니어센터는 지하 1층~지상 5층, 연면적 605㎡ 규모로 ▲지하 1층 다목적실 ▲2층 스마트피트니스센터 ▲3층 사무실 및 할아버지방 ▲4층 할머니방 ▲5층 라운지로 구성돼 있다. 특히 2층에 조성된 ‘스마트피트니스센터’는 AI 기반 운동기구를 도입한 특화 공간으로, 전담 트레이너의 맞춤형 지도를 통해 고령자의 체력 증진과 건강 관리를 지원한다. 스마트피트니스센터는 강남구가 ㈜론픽과의 ESG 업무협약을 통해 AI 운동기구 3대를 지원받아 조성했다. 이는 지난해 논현노인복지관에 이어 두 번째로 조성된 AI 헬스 특화 시설이다. 이 기기는 이용자의 체력 수준에 따라 자동으로 운동 강도를 조절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해 어르신 건강 증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

[공간혁신] 한강버스, 11월 1일 운항 재개…내년 3월부터 출퇴근 급행노선 신설 및 운항횟수 두배로 확대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서울시가 11월 1일 오전 9시부터 한강버스의 운항을 재개한다. 한강버스는 마곡에서 잠실까지 연결되는 7개 주요 선착장(마곡, 망원, 여의도, 압구정, 옥수, 뚝섬, 잠실)을 하루 16회, 1시간 30분 간격으로 운항한다. 운항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 37분(도착 기준)까지이며, 주중과 주말 모두 동일한 일정으로 운영된다.​ 서울시는 약 한 달간 선박 안전성과 운항 품질 강화를 위해 300회 이상의 무승객 시범 운항을 실시했다. 선박의 접안, 교각 통과 등 실제 운항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 훈련을 통해 안전성을 높였으며, 운항 중 발생한 3건의 경미한 사고는 모두 조치 완료했다. 예비선 1척을 상시 대기시켜 기계 결함으로 인한 결항도 원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요금은 기존과 동일하게 성인 편도 3,000원, 청소년 1,800원, 어린이 1,100원이며, 기후동행카드 ‘한강버스 권종’을 이용하면 5,000원 추가 충전으로 무제한 탑승이 가능하다. 실시간 운항 정보 및 결항 여부는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등 주요 모빌리티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내년 2026년 3월부터는 운항 횟수를 하루 32회로 두 배 확대할 계획

[공간혁신] 젠슨 황·이재용·정의선 ‘깐부치킨’ 성지순례 '등극'…부자·성공 氣받기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10월 30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깐부치킨’에서 열린 젠슨 황(엔비디아 CEO), 이재용(삼성전자 회장), 정의선(현대차그룹 회장)의 ‘치맥(치킨+맥주) 회동’이 국내외 언론과 경제계에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회동은 단순한 친목 모임을 넘어 첨단 AI 반도체 및 미래 모빌리티 협력을 위한 3대 기업 총수들의 전략적 소통의 장으로, 한국 치맥 문화를 글로벌 무대에 알리고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상징적 사건이 됐다.​ 치맥 회동 이후 ‘깐부치킨’은 회동 이튿날부터 ‘성지순례’ 현장과도 같이 변모했다. 오후 3시 문을 열자마자 10명이 넘는 손님이 몰려들면서 치맥 회동 자리 경쟁이 벌어질 정도였다. 66세 김영숙 씨는 “젠슨 황이 앉았던 자리에 앉아 기운을 받으려 3시간 넘게 기다렸다”고 밝혔으며, 방문객들은 포스터 앞에서 인증샷을 찍는 등 축제 분위기를 자아냈다. 가게 측은 이 같은 방문객 급증을 예상해 청소 및 물량 확보에 만전을 기했다.​ 회동 당일 깐부치킨에서 테이블 7개를 예약해 3마리의 치킨과 치즈스틱 등을 포함해 270만원 상당의 식사를 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계산은 1차는 이재용 회장이, 2차는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