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맑음동두천 6.5℃
  • 맑음강릉 9.0℃
  • 맑음서울 9.5℃
  • 맑음대전 7.9℃
  • 맑음대구 8.2℃
  • 맑음울산 10.3℃
  • 맑음광주 11.3℃
  • 구름조금부산 13.1℃
  • 맑음고창 7.1℃
  • 맑음제주 13.1℃
  • 맑음강화 6.3℃
  • 구름많음보은 4.8℃
  • 구름많음금산 5.6℃
  • 맑음강진군 6.8℃
  • 맑음경주시 6.5℃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국내 5大 백화점 68곳, 매출 순위 TOP68…신세계 강남·롯데 잠실·신세계 센텀·롯데 본점·현대 판교 順

신세계 강남 1위, 롯데 잠실 2위…신세계 센텀百, 롯데 본점 제치고 매출 3위 등극
TOP10 백화점 중 신세계 4곳, 현대백화점 4곳, 롯데백화점 2곳 차지
백화점별 매출 구성비는 롯데백화점>신세계>현대백화점>갤러리아>AK 順
3조 이상 2곳, 2조 이상 2곳, 1조 이상 12곳 매출 비중 52.9%로 절반 넘어
68곳 총 매출 전년 대비 0.6% 오른 39.5조원
백화점 매출도 양극화…2조 이상 매출 4곳 VS 2000억 이하 18곳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국내 5대 백화점 68개 점포에서 매출 1위는 어디일까. 


2024년 매출 기준으로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현대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 AK백화점 등 국내 5대 백화점 68개 점포 중에서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이 전국 1위를 차지했다.

 

특히 국내 백화점 중에서 2023년 ‘3조 클럽’에 최초 입성에 이어 2년 연속 3조 클럽에 가입했다. 단일 점포 3조원은 세계 유수의 백화점 중에서도 영국 해러즈 런던, 일본 이세탄 신주쿠점 등 소수 점포만 기록한 드문 성적이다.

 

매출 1위 신세계백화점 강남점과 함께 매출 2위 롯데백화점 잠실점이 연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업계가 집계한 2024년 백화점 5사(롯데·현대·신세계·갤러리아·AK)의 68개점 중 매출 3조원 이상은 2곳, 2조원 이상은 4곳, 1조원 이상 백화점은 12곳으로 집계됐다.

 

68개점 기준 합산 매출은 보합세를 기록했다. 총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6% 늘어난 39조4514억원으로 집계됐다. 2024년 백화점업계는 대형화한 수도권 점포 성장과 지방 점포 쇠퇴가 두드러졌다.

 

매출별 백화점 순위를 살펴보면, 1위는 신세계 강남점 3조3269억원, 2위는 롯데 잠실점 3조551억원, 3위는 신세계 센텀시티점 2조1081억원, 4위는 롯데 본점 2조596억원, 5위는 현대 판교점 1조7314억원으로 조사됐다.

 

TOP5 백화점에서 지난해 3위였던 롯데본점이 4위로, 지난해 4위였던 부산 해운대에 위치한 신세계 센텀시티가 3위로 순위변동이 이뤄졌다. 전년 대비 4.9% 성장한 부산의 신세계 센텀시티점이 2.3% 성장에 그친 서울의 중심 롯데 본점까지 제치고 비(非)서울 백화점 최초로 ‘톱3’ 고지에 이름을 올린 것이 이채롭다.

 

 

2위를 차지한 서울 송파구 롯데 잠실점은 전년대비 10.5%의 신장률을 기록하며 전국 68개 점포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6위는 신세계 대구점 1조5744억원, 7위는 현대 무역센터점 1조2658억원, 8위는 신세계 본점 1조2138억원, 9위는 현대 본점 (압구정) 1조2019억원, 10위는 더현대 서울(여의도) 1조1994억원으로 파악됐다.

 

TOP10 백화점 중 신세계는 1위 점포인 신세계 강남점을 비롯해 3위 신세계 센텀시티, 6위 신세계 대구점, 10위 신세계 본점까지 전국 1·3·6·10위 점포를 동시에 갖게 됐다. TOP4 중에서 4곳을 신세계가 차지했다.


현대백화점그룹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현대백화점은 TOP10 중 5위 현대 판교점, 7위 현대 무역센터점, 8위 현대 본점, 9위 더현대 서울(여의도) 4곳에 이름을 올렸다.

 

TOP10 중 롯데는 2위 롯데 잠실점과 4위 롯데 본점 2곳에 그쳤다.

 

또한 롯데, 신세계, 현대, 갤러리아, AK 등 주요 5대 백화점의 전국 68개 점포 중 상위 10개점은 견조한 실적을 유지한 반면, 그 이하는 48개점이 역신장할 정도로 양극화가 뚜렷해지는 추세다. 전국 68개 점포 중 매출이 늘어난 곳은 20개 뿐이고, 이중 절반이 최상위 10개 점포에 몰려있다. 지방 인구가 줄고 온라인 쇼핑이 보편화된 것이란 분석이다.

 

2조원 이상 매출 매장이 4곳으로 늘어난 반면 2000억원 이하 하위 점포도 18곳(롯데대전, 롯데대구 등)으로 나타났다.

 

18곳 합산 매출이 1위의 3조원에 못미치는 2조7368억원을 기록했다. 업계는 온라인 이커머스 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오프라인 점포는 매출 양극화가 심화됐다는 분석이다.

 

1조원 이상 상위 12곳 총 매출(20조8890억원)은 68곳 전체(39조4514억원)의 52.9%를 차지했다. 작년보다 1.9% 포인트 늘었다. 상위 10위까지의 수도권 점포가 모두 성장했다.

 

 

백화점별 성장률을 살펴보면 총 13개 점포를 운영중인 신세계백화점이 3.0%로 성장률이 가장 높았다. 30개 점포의 롯데백화점은 1.1% 신장했다. 16개 점포의 현대백화점은 0.2% 줄어 보합에 머물렀다. 갤러리아(5곳)와 AK(4곳)는 각각 5.4%, 9.3% 역신장했다.

 

백화점별 매출 구성비를 살펴보면 롯데백화점(13조6175억)이 34.9%로 매출 비중이 가장 컸지만 전년보다 0.2%p 줄었다. 31.3%를 차지한 신세계(12조3345억)는 전년보다 0.8%p 늘었다. 현대백화점(9조4498억)이 24.0%, 갤러리아 7.1%, AK 2.7% 비중을 차지했다.

 

신세계는 센텀시티점을 비롯한 지방점포 강화에 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올해는 강남점에만 있던 VIP 라운지 ‘어퍼하우스(전년도 1억2000만원 이상 구매 고객 대상)’를 신설할 계획이다.

 

대전점(신세계 아트앤 사이언스)에는 올해 루이비통 매장 입점을 추진중이다. 2021년 개점 후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 중 최상위급 매장 유치를 통해 1조원 백화점으로 다시한번 재도약하겠다는 계획이다. 대전점까지 1조클럽에 가입할 경우 신세계가 보유한 13개 점포 중 5개가 1조원 이상 백화점이 된다.

 

게다가 서울 명동 신세계 본점도 올해 대대적인 리뉴얼을 앞두고 있다. 옛 SC제일은행 건물을 럭셔리부티크 전문관 ‘더 헤리티지’로 열고, 기존 본관·신관도 ‘더 리저브’·‘더 에스테이트’로 명칭을 정했다.

 

백화점 업계 점유율 1위인 롯데는 유일하게 10%대 고성장한 잠실점은 앞세워 선택과 집중 전략을 더욱 디테일하게 추진한다.

 

본점 리뉴얼을 과감하고 바꾸고, 인천점 등 주요 점포 경쟁력도 강화한다. 또 폐점한 마산점을 비롯해 비효율 점포에 대한 구조조정도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올해 6월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이 문을 닫는다. 롯데마산과 현대부산은 이미 지난해 6월 폐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이재용 8년 비상경영 끝내고 ‘뉴삼성’ M&A 속도전...글로벌 전장·AI·반도체 시장 주도권 공략 '잰걸음'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8년간 이어온 비상경영 체제를 마무리하고, 대형 인수합병(M&A)을 재가동하며 ‘뉴삼성’ 재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7년간 멈춰 있었던 대규모 M&A 활동을 올해부터 다시 적극 추진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1월 7일 임시 조직이던 사업지원TF를 상설 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격상했으며, 13일에는 전사적 M&A 전담팀을 신설하면서 중장기적인 투자와 사업 재편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사업지원실은 전략팀, 경영진단팀, 피플팀 등 3개 팀 체제에서 M&A팀이 추가되어 총 4개 팀 체제로 운영된다. M&A팀장은 2017년 약 80억 달러 규모 하만 인수를 이끌었던 안중현 사장이 맡아 신사업 개척과 글로벌 빅딜 추진을 총괄한다. 사업지원실장에는 재무·전략 전문가인 박학규 사장이 임명됐다. 그는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과 DS부문(반도체·디스플레이) 경영지원실장을 거친 기획과 운영 전문가로, 안정적인 비상경영 체제에서 공격적 변환과 확장을 설계하는 ‘뉴삼성’의 중심이 될 것으로 평가받는다. 반면 이 회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던 정현호 부회장은 회장 보좌

[이슈&논란] 말도 탈도 많은 교촌치킨, 이재명 대통령 '꼼수 인상' 저격…APEC·슈링크플레이션·배달료 '또 교촌했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국무회의에서 슈링크플레이션, 즉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 용량을 줄이는 이른바 ‘꼼수 인상’ 문제를 강력히 지적하며 치킨업계가 크게 긴장하고 있다. 특히 교촌치킨이 대표적 사례로 거론되면서, 국내 외식업계에 파장이 커지고 있다.​ 교촌치킨은 올해 9월 일부 순살 메뉴의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대폭 줄이면서도 가격은 변동하지 않아 소비자 기만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닭다리살만 사용하던 주재료에 안심살을 섞은 것도 가격 인상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 같은 ‘슈링크플레이션’ 행위는 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에게 질타를 받았고, 대통령실과 공정거래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정부 부처가 대책 마련에 나서게 된 배경이다.​ 소비자들은 교촌의 부도덕한 가격 인상 행태에 “교촌이 또 교촌했다”며 강한 불만과 배신감을 표출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불매운동 움직임과 소비자 신뢰 저하로 이어져 교촌 브랜드의 시장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10월 23일 결국 순살 메뉴 중량과 주재료 구성을 원상복구시키는 결정을 내렸으나, 이 과정에서 국민 신뢰와 브랜드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