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애플이 2025년 10월 28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주가가 268달러를 기록, 0.19% 상승하며 장중 시가총액 4조달러를 넘어서면서 세계에서 세 번째로 ‘4조달러 클럽’에 가입했다. 이로써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MS)와 함께 글로벌 빅테크 ‘빅 3’로 자리매김했다. 애플 주가는 올해 4월 저점 대비 50% 이상 급등해 시총이 약 1조4000억달러 늘었다.
아이폰17 인기 견인…미·중 시장 판매량 14% 증가
NBC News, Forbes, Counterpoint Research, AppleInsider에 따르면, 이 같은 주가 상승 배경에는 지난 9월 출시된 아이폰17 시리즈의 흥행이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아이폰17은 미국과 중국에서 출시 10일 만에 전작인 아이폰16 대비 판매량이 14% 증가했다. 특히 중국에서는 기본 모델 판매량이 전년 대비 거의 두 배에 가까운 대폭 증가세를 보이며, 가격 대비 성능이 개선된 점이 소비자의 높은 관심을 이끌었다.
제품 라인업 강화 및 중국 시장 회복 기대
애플은 아이폰17의 성공에 이어 M5 칩을 탑재한 아이패드 프로, 비전 프로, 맥북 프로 등 신제품을 잇달아 출시하며 연말 쇼핑 시즌을 대비했다. 또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가 커지면서 중국 시장의 회복 전망이 높아 주가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빅테크 중 가장 늦은 AI 경쟁 대응과 주가 전망
웨드부시 증권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애플은 AI 경쟁에서 다소 뒤처졌지만 시총 4조달러 달성은 업계에 큰 분수령"이라면서도,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빅테크 ‘매그니피센트 7(M7)’ 내에서 애플에 대한 매수 의견 비율은 테슬라를 제외하면 가장 낮고, 향후 12개월 목표주가도 현재보다 약 6% 낮은 점을 주목했다.
실질적으로 AI 분야에서 엔비디아와 MS, 구글 등이 앞서가는 가운데 애플의 AI 전략은 다소 보수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시장 점유율과 주가 상승 추이 비교
2025년 들어 애플 주가는 7.3% 상승에 그쳤으나, 엔비디아는 45%, 알파벳(구글) 42%, 메타 30% 상승했고, S&P 500 지수는 17% 상승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10월 현재 엔비디아가 약 4.7조달러로 1위, MS가 약 4조달러, 애플이 뒤를 잇는 구도다. 특히 엔비디아는 AI 칩 제조의 강자로서 지난해 7월 최초로 4조달러 시가총액을 기록한 후 여전히 상승세다.
MS, 오픈AI 지분 확보로 AI 협력 강화
MS 역시 이날 주가가 2% 이상 오르며 4조달러 클럽을 재진입했다. MS는 최근 오픈AI의 지배구조 개편으로 공익법인 형태의 오픈AI 영리 법인 지분 27%를 확보, AI 협력을 강화한다고 발표하며 주가 상승에 힘을 보탰다.
애플의 수익구조 변화와 전망
애플은 아이폰 판매가 47.4%의 매출 비중을 차지하는 핵심 사업이나, 서비스 부문 매출도 29.2%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고수익 사업으로 성장했다. 서비스에는 앱스토어, 애플뮤직, 아이클라우드 등이 포함되며 높은 이익률을 자랑한다. 이번 3분기 실적 발표도 주목되고 있다.
빅테크 전문가는 "올해 애플의 시가총액 4조달러 돌파는 아이폰17의 강력한 판매 실적과 제품 라인업 강화, 중국 시장 회복 기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그러나 AI 경쟁 대응의 늦음과 시장 내 불확실성으로 인해 향후 주가 전망은 다소 엇갈리고 있어, 단기적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