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0.9℃
  • 맑음강릉 12.3℃
  • 맑음서울 12.2℃
  • 맑음대전 12.7℃
  • 구름많음대구 12.5℃
  • 맑음울산 14.8℃
  • 구름많음광주 14.4℃
  • 맑음부산 14.9℃
  • 맑음고창 12.6℃
  • 구름많음제주 16.4℃
  • 맑음강화 9.3℃
  • 맑음보은 11.7℃
  • 맑음금산 12.8℃
  • 구름많음강진군 13.9℃
  • 맑음경주시 10.4℃
  • 구름조금거제 15.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사진작가 "아이폰 품질, 700만원 미러리스 카메라에 필적"…"전통 광학·센서 하드웨어 경쟁에서 AI와 알고리즘 진화"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최근 한 사진작가가 아이폰과 4,000파운드(약 670만원) 상당의 미러리스 카메라를 나란히 비교한 사진 품질 테스트가 공개되면서 사진 촬영의 패러다임 변화가 뜨거운 화두로 떠올랐다.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최신 아이폰은 Smart HDR과 Deep Fusion AI 등 최첨단 컴퓨테이셔널 포토그래피 테크놀로지를 통해 다중 노출을 신속히 통합해, 많은 상황에서 고가의 전문 카메라와 경쟁할 수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 냈다. 이러한 현상은 전통적 광학과 대형 센서에 의존하던 프로용 카메라 산업에 큰 도전장을 내미는 것으로 평가된다.​

 

amateurphotographer.com, gminsights.com, fortunebusinessinsights.com에 따르면, 컴퓨테이셔널 포토그래피는 단일 사진 대신 여러 프레임을 촬영해 하이라이트와 그림자를 최적으로 결합하고, 2,400만 픽셀에 이르는 모든 픽셀을 픽셀 단위로 분석해 디테일과 노이즈 저감까지 수행하는 기술이다. 애플에 따르면 Deep Fusion은 머신 러닝 기반으로 텍스처를 최적화하며, 특히 저조도나 망원 렌즈 사용 시 자동 활성화된다.

 

2023년 전 세계 컴퓨테이셔널 포토그래피 시장 규모는 135억 달러(약 18조원)에 달했으며, 향후 2032년까지 연평균 11.5% 이상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현재 미국 내 97% 이상의 고급 스마트폰에 AI 기반 이미지 개선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반면, 전문가용 미러리스 카메라는 대형 풀프레임 센서를 통해 훨씬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 탁월한 저조도 성능, 그리고 진정한 광학 줌과 보케(배경 흐림) 효과를 제공한다. 센서 크기는 스마트폰 대비 최소 15배에서 최대 30배 가량 크며, 높은 ISO 환경에서도 노이즈 적은 깨끗한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다.

 

하지만 일부 현직 사진작가는 "많은 상황에서 아이폰이 편리함뿐 아니라 5,000달러 상당의 카메라보다 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 때도 있다"고 고백하면서도, "전문가용 카메라가 제공하는 수동 조작과 색 보정 등 최대 편집 자유도는 여전히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사진 촬영 분야는 전통적 광학과 센서 하드웨어 경쟁에서 AI와 알고리즘 발전 중심으로 크게 이동하고 있다. 실생활에서는 아이폰과 같은 고성능 스마트폰의 사진 품질이 SNS용, 일상용으로 사실상 충분하며, 전통적 카메라가 고가의 장비를 요구해왔던 프로페셔널 시장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용자 관점에서 편리성과 가격 효율성, 그리고 AI가 구현하는 이미지 품질을 모두 고려할 때 사진 기술의 미래가 스마트폰이라는 점은 분명하다"면서도, "하지만 진정한 사진 예술과 고급 장비만이 가능한 표현 영역 역시 공존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즉, 오늘날 스마트폰 카메라가 AI 기반의 컴퓨테이셔널 포토그래피로 프로용 카메라에 뒤지지 않는 성능을 구현하며 사진 촬영 양상이 급변하고 있다. 2025년 사진 장비 시장은 스마트폰 중심의 디지털 혁신과 전통 카메라가 공존하는 과도기적 상태에 있으며, 앞으로도 기술 발전과 사용자 니즈 변화에 맞춰 빠르게 진화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내궁내정] "온수 수돗물은 중금속 덩어리, 요리는 반드시 냉수로"…WHO와 EPA 경고 "온수 수돗물, 끓여도 중금속 제거 안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온수 수돗물로 요리하거나 음용하는 행위에 대해 강력히 경고하고 있다. 온수는 보일러나 온수기 내부 배관을 거치면서 배관 내에 고인 오래된 물과 혼합되는데, 이 과정에서 배관에서 녹아 나온 납, 구리, 니켈, 철, 아연 등 중금속이 용출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반면, 냉수는 정수장에서 처리된 깨끗한 물이 가정으로 직접 공급되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온수 수돗물이 중금속을 함유하는 이유는 온도의 상승과 관련이 깊다. 화학적으로 온수가 냉수보다 중금속을 더 빠르게 용해시켜 물 속 중금속 농도를 높인다. 특히 오래된 배관일수록, 금속 용출 위험은 더 커진다. 유해한 중금속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