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맑음동두천 13.0℃
  • 맑음강릉 13.8℃
  • 구름조금서울 14.7℃
  • 맑음대전 13.4℃
  • 맑음대구 16.2℃
  • 맑음울산 14.4℃
  • 맑음광주 16.6℃
  • 맑음부산 16.9℃
  • 맑음고창 14.8℃
  • 맑음제주 17.4℃
  • 구름많음강화 11.1℃
  • 맑음보은 13.6℃
  • 맑음금산 13.5℃
  • 맑음강진군 15.2℃
  • 맑음경주시 13.3℃
  • 맑음거제 12.2℃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삼성電, 5개월 만에 스마트폰 1위 탈환···'세계 첫 AI폰' 통했다

애플(18%) 제치고 글로벌 점유율 20%
갤럭시S24 누적 653만대 팔려...Z폴드·플립5도 호평
美 애플 '경쟁법' 위반 혐의..."삼성 기회, 시장공략 속도"

삼성전자는 서울 영등포구 타임스퀘어, 서초구 센트럴시티, 삼성 강남, 마포구 삼성스토어 홍대 등 4곳에서 갤럭시S24 시리즈의 핵심인 인공지능(AI) 기능을 경험할 수 있는 체험공간 '갤럭시 스튜디오'를 지난 18일부터 운영하고 있다. 서울 강남구 신세계 센트럴시티에 위치한 '갤럭시 스튜디오' 전경 [삼성전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삼성전자가 5개월만에 애플로부터 스마트폰 판매량 세계 1위 자리를 탈환했다. 갤럭시 S24 시리즈를 필두로 삼성이 세계 최초로 선보인 '인공지능(AI)폰'이 북미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덕분이다.

 

31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와 하나증권에 따르면 지난 2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1969만대로 20%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애플은 1741만 대를 팔아 점유율 18%를 가져갔다.

 

삼성이 판매량 기준, 세계 1위를 되찾은 것은 지난해 9월(삼성전자 20%, 애플 19%) 이후 5개월만이다.

 

삼성은 유럽에선 34%의 점유율로 1위를 지켰다. 애플의 텃밭인 미국에서도 선전했다. 삼성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36%로 1월(20%) 대비 16%포인트 뛰었다. 애플이 내준 점유율(64%→48%)만큼 삼성이 가져간 셈이다.

 

1위 탈환의 일등 공신은 1월 출시한 갤럭시S24 시리즈다. 이 제품은 2월 말까지 653만대 팔렸다. 전작인 갤럭시S23의 2023년 2월 말 기준 판매량인 724만대보다 10% 적지만 갤럭시S24 출시 시점이 전작 대비 열흘 정도 늦은 점을 감안할 때 선전했다는 평가다.

 

미국에서 삼성 점유율이 크게 오른 배경에도 갤럭시 S24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월 삼성의 미국 스마트폰 판매량 가운데 52%가 갤럭시 S24 시리즈였다. 업계에선 통화 중 13개국 언어 실시간 번역 기능과 메모 자동 정리·요약·번역 등이 미국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인 것으로 평가한다. 

 

삼성은 미국 법무부가 애플에 '경쟁법(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소송을 제기한 것을 발판 삼아 스마트폰 시장 상승세에 힘을 더할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말도 탈도 많은 교촌치킨, 이재명 대통령 '꼼수 인상' 저격…APEC·슈링크플레이션·배달료 '또 교촌했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국무회의에서 슈링크플레이션, 즉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 용량을 줄이는 이른바 ‘꼼수 인상’ 문제를 강력히 지적하며 치킨업계가 크게 긴장하고 있다. 특히 교촌치킨이 대표적 사례로 거론되면서, 국내 외식업계에 파장이 커지고 있다.​ 교촌치킨은 올해 9월 일부 순살 메뉴의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대폭 줄이면서도 가격은 변동하지 않아 소비자 기만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닭다리살만 사용하던 주재료에 안심살을 섞은 것도 가격 인상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 같은 ‘슈링크플레이션’ 행위는 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에게 질타를 받았고, 대통령실과 공정거래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정부 부처가 대책 마련에 나서게 된 배경이다.​ 소비자들은 교촌의 부도덕한 가격 인상 행태에 “교촌이 또 교촌했다”며 강한 불만과 배신감을 표출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불매운동 움직임과 소비자 신뢰 저하로 이어져 교촌 브랜드의 시장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10월 23일 결국 순살 메뉴 중량과 주재료 구성을 원상복구시키는 결정을 내렸으나, 이 과정에서 국민 신뢰와 브랜드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필코노미’ 트렌드 확산에 CJ온스타일 라방 채팅 수 18만건 '역대 최대'∙∙∙3Q 모바일 라방 거래액 63%↑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CJ온스타일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이하 라방)가 ‘기분이 소비를 이끈다’는 ‘필코노미(Feelconomy)’ 트렌드 속에서 역대 최대 수준의 고객 참여를 이끌어냈다. CJ온스타일은 10월 모바일 라방 채팅 수가 18만 건에 육박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월 초대형 모바일 라이브쇼 론칭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이번 성과는 라부부 등 팝마트와의 협업과 셀럽·인플루언서 100인이 추천하는 상품을 큐레이션한 하반기 최대 쇼핑 축제 ‘컴온스타일’ 흥행이 고객 공감과 활발한 라방 채팅 참여를 이끌어냈다. 특히 지난 17일 진행된 팝마트 라부부∙크라이베이비 라방에는 2만 건의 채팅이 쏟아지기도 했다. 또한 기은세∙박세리 등 셀럽 MC를 중심으로 ‘토크 예능형 라방’을 확대해 시청자가 콘텐츠에 공감하고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점도 성과를 견인했다. 채팅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앱 체류시간과 구매 전환율도 동반 상승, CJ온스타일의 3분기 모바일 라방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8% 증가했다. 라방 채팅창이 서로의 감정을 나누는 교감의 장으로 발전한 사례도 있다. 평일 오전 10시에 방송되는 대표 유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