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15.1℃
  • 맑음강릉 20.3℃
  • 맑음서울 16.6℃
  • 맑음대전 18.9℃
  • 맑음대구 19.5℃
  • 구름조금울산 18.6℃
  • 맑음광주 19.1℃
  • 구름조금부산 18.8℃
  • 맑음고창 18.3℃
  • 구름많음제주 20.3℃
  • 구름많음강화 14.8℃
  • 맑음보은 17.9℃
  • 맑음금산 18.6℃
  • 구름조금강진군 19.3℃
  • 맑음경주시 20.6℃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삼성電, 5개월 만에 스마트폰 1위 탈환···'세계 첫 AI폰' 통했다

애플(18%) 제치고 글로벌 점유율 20%
갤럭시S24 누적 653만대 팔려...Z폴드·플립5도 호평
美 애플 '경쟁법' 위반 혐의..."삼성 기회, 시장공략 속도"

삼성전자는 서울 영등포구 타임스퀘어, 서초구 센트럴시티, 삼성 강남, 마포구 삼성스토어 홍대 등 4곳에서 갤럭시S24 시리즈의 핵심인 인공지능(AI) 기능을 경험할 수 있는 체험공간 '갤럭시 스튜디오'를 지난 18일부터 운영하고 있다. 서울 강남구 신세계 센트럴시티에 위치한 '갤럭시 스튜디오' 전경 [삼성전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삼성전자가 5개월만에 애플로부터 스마트폰 판매량 세계 1위 자리를 탈환했다. 갤럭시 S24 시리즈를 필두로 삼성이 세계 최초로 선보인 '인공지능(AI)폰'이 북미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덕분이다.

 

31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와 하나증권에 따르면 지난 2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1969만대로 20%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애플은 1741만 대를 팔아 점유율 18%를 가져갔다.

 

삼성이 판매량 기준, 세계 1위를 되찾은 것은 지난해 9월(삼성전자 20%, 애플 19%) 이후 5개월만이다.

 

삼성은 유럽에선 34%의 점유율로 1위를 지켰다. 애플의 텃밭인 미국에서도 선전했다. 삼성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36%로 1월(20%) 대비 16%포인트 뛰었다. 애플이 내준 점유율(64%→48%)만큼 삼성이 가져간 셈이다.

 

1위 탈환의 일등 공신은 1월 출시한 갤럭시S24 시리즈다. 이 제품은 2월 말까지 653만대 팔렸다. 전작인 갤럭시S23의 2023년 2월 말 기준 판매량인 724만대보다 10% 적지만 갤럭시S24 출시 시점이 전작 대비 열흘 정도 늦은 점을 감안할 때 선전했다는 평가다.

 

미국에서 삼성 점유율이 크게 오른 배경에도 갤럭시 S24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월 삼성의 미국 스마트폰 판매량 가운데 52%가 갤럭시 S24 시리즈였다. 업계에선 통화 중 13개국 언어 실시간 번역 기능과 메모 자동 정리·요약·번역 등이 미국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인 것으로 평가한다. 

 

삼성은 미국 법무부가 애플에 '경쟁법(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소송을 제기한 것을 발판 삼아 스마트폰 시장 상승세에 힘을 더할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이재용 8년 비상경영 끝내고 ‘뉴삼성’ M&A 속도전...글로벌 전장·AI·반도체 시장 주도권 공략 '잰걸음'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8년간 이어온 비상경영 체제를 마무리하고, 대형 인수합병(M&A)을 재가동하며 ‘뉴삼성’ 재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7년간 멈춰 있었던 대규모 M&A 활동을 올해부터 다시 적극 추진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1월 7일 임시 조직이던 사업지원TF를 상설 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격상했으며, 13일에는 전사적 M&A 전담팀을 신설하면서 중장기적인 투자와 사업 재편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사업지원실은 전략팀, 경영진단팀, 피플팀 등 3개 팀 체제에서 M&A팀이 추가되어 총 4개 팀 체제로 운영된다. M&A팀장은 2017년 약 80억 달러 규모 하만 인수를 이끌었던 안중현 사장이 맡아 신사업 개척과 글로벌 빅딜 추진을 총괄한다. 사업지원실장에는 재무·전략 전문가인 박학규 사장이 임명됐다. 그는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과 DS부문(반도체·디스플레이) 경영지원실장을 거친 기획과 운영 전문가로, 안정적인 비상경영 체제에서 공격적 변환과 확장을 설계하는 ‘뉴삼성’의 중심이 될 것으로 평가받는다. 반면 이 회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던 정현호 부회장은 회장 보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