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구름많음동두천 5.5℃
  • 구름조금강릉 9.7℃
  • 박무서울 8.3℃
  • 박무대전 8.0℃
  • 박무대구 4.5℃
  • 박무울산 7.6℃
  • 박무광주 10.2℃
  • 박무부산 11.4℃
  • 구름많음고창 8.2℃
  • 구름조금제주 14.4℃
  • 흐림강화 6.1℃
  • 맑음보은 3.2℃
  • 구름많음금산 3.2℃
  • 맑음강진군 6.8℃
  • 맑음경주시 3.1℃
  • 맑음거제 10.4℃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애플, 전직 엔지니어 상대로 '애플 워치' 中 오포에 기밀유출 혐의 소송…“미·중 갈등 속 지재권 침해” 경고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애플(AAPL)이 전직 센서 시스템 설계자 첸 시(Chen Shi)를 상대로 애플 워치 개발 관련 핵심 영업비밀 유출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 첸 시는 2020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애플 워치팀에서 근무하며 고도화된 센서 시스템 설계 기술과 내부 설계 문서, 제품 로드맵 등 민감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South China Morning Post, 9to5Mac, MacRumors, The Verge, Android Authority등의 보도에 따르면, 첸 시는 퇴사 직전까지 회사에 자신의 퇴사를 숨기고 고령 부모를 돌본다며 거짓말을 한 반면, 2024년 10월 중순경 중국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제조사 오포(Oppo)의 채용 제안을 받아 이를 은폐한 채 내부에서 ‘기밀 정보 수집’을 지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퇴사 3일 전 애플의 보호된 Box 폴더에서 63건의 파일을 다운로드해 USB로 이동시켰고, 이후 맥북 완전 삭제 방법과 공유 드라이브 내 파일 열람 흔적 감지 여부를 검색하는 등 증거 인멸 준비 정황을 보였다.

 

첸 시는 퇴사 전 애플 워치 팀 내 여러 핵심 연구개발 인력과 다수 1대1 면담을 가지며 심박수 센서 관련 기술을 포함한 핵심 연구 정보 획득에 집중했고, 오포측 고위 임원과 주고받은 메시지에서는 “가능한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이후 오포에서 센서 기술 개발 팀장을 맡아 애플의 독점 정보가 직접 경쟁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이번 사건은 미국과 중국 간 기술 및 지적재산권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벌어진 대표적 사례다. 미국 내 중국 연관 인물들이 연루된 지식재산침해 사건은 2020년 기준으로 FBI에서 1000건 이상이 조사 중이며, 약 12시간마다 새로운 중국 관련 방첩 조사가 개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SIS(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등 싱크탱크는 중화권 관련 사이버 첩보활동이 미국 내 기업과 연구소의 기술을 목표로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애플은 이번 소송에서 오포와 첸 시가 애플의 영업비밀을 사용하거나 공개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금지명령과 함께 반환 및 손해배상, 징벌적 손해배상, 소송비용 등을 청구했다. 애플측은 이번 사건이 웨어러블 시장에서의 경쟁력에 미칠 파급 효과와 관련해 공식적인 언급을 피하고 있다.

 

이번 소송은 미·중 간 첨단 기술 분야에서 영업비밀 보호와 기업 간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의 심각성을 환기하는 동시에, 글로벌 기업들이 내부 직원의 기밀 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AI 거품론 조목조목 반박 "우려할 것 없다"…엔비디아 젠슨 황, 자신감 표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AI 산업을 둘러싼 거품론과 엔비디아 위기설에 대해 젠슨 황 CEO가 강력히 반박하며 회사의 재무 건전성과 성장 가능성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엔비디아는 2025년 3분기에 매출 570억 달러(약 83조4000억원)를 기록해 전년 대비 62% 급증, 순이익도 60% 증가한 319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역대급 실적을 내놓았으나,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자 재고 증가와 매출채권 확대에 대한 우려를 정면 반박하는 7페이지 분량의 자료를 주주들에게 배포해 불안감을 잠재웠다.​ 엔비디아 측은 재고 증가가 수요 둔화에 따른 것이 아니라 4분기 신제품 블랙웰 출시에 대비한 선제적 물량 비축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매출채권 회수 기간도 53일로 과거 평균과 유사하고 연체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AI 관련 스타트업 투자에서 나오는 매출은 전체의 3~7%에 불과해 매출 부풀리기 논란도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해명을 내놨다. 한편, 소프트뱅크와 피터 틸이 보유하던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각한 데 대해서도 "개인 투자 결정이며 회사 내부자들의 판단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젠슨 황 CEO는 직원 간담회에서 시장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이슈&논란] 머스크 떠난 미국 정부효율부, 슬그머니 '해산'…242조원 연방예산 절감 주장에 검증은 '미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의 대표 구조조정 기구였던 '정부효율부(DOGE)'가 공식 활동 종료 시한인 2026년 7월보다 8개월 빠른 2025년 11월 말 사실상 해산됐다. 23일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정부효율부 실질적 수장을 맡았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올해 5월 물러난 후 존재감이 급격히 희미해졌으며, 인사관리처(OPM)가 기능 대부분을 인수, 직원들도 주로 다른 부처로 재배치됐다.​ 정부효율부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출범해 강도 높은 연방정부 구조조정과 공무원 감축, 예산 삭감 작업을 예고했다. 머스크는 이 조직이 연방예산에서 1,750억 달러(한화 약 242조원)의 절감 효과를 낸 것으로 주장했으나, 이에 대한 세부 내역이나 검증 가능한 자료는 공개되지 않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합리적 검증이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정부 신규 채용 금지 및 인력 축소 정책을 강력 추진해 왔으며, 인력 감축은 이민, 국경 치안 등 필수 분야를 제외한 전반적인 부문에서 엄격히 적용됐다. 올해 3월 기준, 연방민간 인력은 약 230만명에 달했으나, 정부효율부 출범 이후 20만~50만명 규모의 감축 및 재배

[내궁내정] "온수 수돗물은 중금속 덩어리, 요리는 반드시 냉수로"…WHO와 EPA 경고 "온수 수돗물, 끓여도 중금속 제거 안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온수 수돗물로 요리하거나 음용하는 행위에 대해 강력히 경고하고 있다. 온수는 보일러나 온수기 내부 배관을 거치면서 배관 내에 고인 오래된 물과 혼합되는데, 이 과정에서 배관에서 녹아 나온 납, 구리, 니켈, 철, 아연 등 중금속이 용출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반면, 냉수는 정수장에서 처리된 깨끗한 물이 가정으로 직접 공급되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온수 수돗물이 중금속을 함유하는 이유는 온도의 상승과 관련이 깊다. 화학적으로 온수가 냉수보다 중금속을 더 빠르게 용해시켜 물 속 중금속 농도를 높인다. 특히 오래된 배관일수록, 금속 용출 위험은 더 커진다. 유해한 중금속은 주